A Study of the Comparison of Cognition between Seafarer and Shipping Operations Manager on Human Factors of Ship Accident

선박사고의 인적요인에 대한 선원과 운항관리자 간의 인식 비교에 관한 연구

  • 김대현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
  • 박호 (군산대학교 물류학과) ;
  • 김상열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8.11.25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uman factor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cause ship accident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based on the derived human factors. In particular,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basis of the human factor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and interviews, and applied the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o develop implications from a comparison of two groups: seafarers and shipping operations managers. Data were collected from 159 practitioners in the Korean shipping industry. The analysis structure consisted of five major factors with 20 components, including unique factors related to ship and shipping management companies, personal competence, in-vessel organization, and personnel's health, as well as social factors. The result of the IPA analysis indicates that in-vessel organization is the most urgent and major factor for improvement. Some differences exist in the components that should be improved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seafarer group, an increase in unskilled onboard crew affected sustainable safety activities, thus implying an area of preferential improvement regarding the in-vessel organization factor. However, for the shipping operations managers group, the difference in recognizing safety standards among the crew members on board and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crew members should be improved first relative to in-vessel organization factors. The personnel's health factor was identified to be of low importance in both groups. Finally,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safety consciousness level according to the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implementation for seafarers on board was different for the two groups.

본 연구는 선박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점차 다양화, 복잡화됨에 따라 선원집단과 운항관리집단을 대상으로 선박사고의 인적요인을 분석하였다. 선박사고에서 인적요인은 큰 비중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적요인(human factor)에 대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인적요인을 기반으로 잠재적 요인을 관련 전문가 조사 등을 통해 확장적으로 도출하여 최종 20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인적요인에 대해 선박안전 관련 전문가 및 실무자들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선원집단과 운항관리자집단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였고, 경영적 관점에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요인들을 추출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의영.김기석.이강로.박견서(2011), 현대인적자원관리론, 청목출판사. 294-298
  2. 김병철(2005), 인적요인에 의한 항공기 사고의 예방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4
  3. 김충련(2012), SPSS 데이터 분석, 21세기사, 270-275
  4. 김홍태.나성.하욱현(2011),해양사고조사를 위한 인적오류 분석사례, 대한인간공학회지, 30(1), 137-150
  5. 나송진.김상수.박진수.정재용(2002), 해양사고 조사매 뉴얼의 비교연구, 한국 항해항만학회지, 26(5), 497-504
  6. 노창균.이종인.신철호.김형근.임정빈(2006), AHP를 이용한 안전관리체제 운영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2(4), 12-26
  7. 박진영.성엽.윤세환(2012), 항공사 선택속성의 IPA 분석을 통한 전략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지, 27(5), 237-252
  8. 송정규(2006), 해운기업의 안전관리체제 운영평가지표 개 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37
  9. 신용존(1999), 해운기업 종업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안전관리 의식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지, 12(6), 397-417
  10. 심미숙(2014), 마리나 서비스품질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지, 27(3), 393-410
  11. 양원재.권석재.금종수(2004), 해양사고의 인적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11
  12. 양원재.금종수(2006), 항해사의 피로도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6
  13. 양찬수(2008), 해양사고에서의 인적오류 분석 체계, 대한 인간공학회지, 30(1), 472-479
  14. 오민재.류재숙, 전통적 IPA와 수정 IPA의 비교: 인천차이나타운의 관광매력성 평가,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0(7), 129-142
  15. 이관석.이영관(2011), 산업 사고 예방을 위한 인적오류의 중요성, 대한인간공학회지, 30(1), 151-160
  16. 이옥용(1994), 해운기업의 선박안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2
  17. 이현덕(2006), 해군함정 리스크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학위논문, 1-79
  18. 임종길(1994), 선원의 안전 활동 측면에서 본 선박의 안전관리 수준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18(4), 83-118
  19. 정창현(2013), 충돌사고 감축을 위한 어선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15(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8-25
  20. 중앙해양안전심판원(2017), 해양사고통계와 사고사례, 7-17
  21. 황병호(2000), 선박충돌사고에 있어서 인적과실 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해양대학교 학위논문, 1-86
  22. 해양수산부(2014), 제1차 국가해사안전기본계획, 57-59
  23. 해양수산부(2013), 해양안전 정책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6-8
  24. 해양수산부(2013), 훈령 104조 해양안전 및 해양사고 등의 수습에 관한 규정
  25. 허용범(2008), 해양사고 발생 주요 원인, 인적과실과 이의 BRM적 해결, 한국도선사협회지, 28-35
  26. Arfena Deah Lestari, Jaswar, A.S.A.Kader(2013), Contribution of Human Factors to Shipping Safety, Jurnal Teknologi, p113-119
  27. Catherine.Rhona.Kathryn(2006), Safety in shipping: The human element, Journal of Safety Research 37, 401-411 https://doi.org/10.1016/j.jsr.2006.04.007
  28. Chin-San Lu.Chaur Luh Tsai(2008), The effect of safety climate on vessel accidents in the container shipping context,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0, 594-601 https://doi.org/10.1016/j.aap.2007.08.015
  29. H.P.Berg(2013), Human Factors and Safety Culture in Maritime Safety,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rine Navigation and Safety of Sea Transportation Vol. 7, 343-352 https://doi.org/10.12716/1001.07.03.04
  30. Jouni.Jenni.Ulla(2012), "Improving maritime safety in short sea shipping", Short Sea Shipping Conference, 1-13
  31. Rothblum(2010), "human error and marine safety", Maritime Human Factor Conference, 1-9
  32. Weijaw Deng(2007), Using a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pprach: The case of Taiwanese hot springs tourism, Tourism Management 28, 274-284
  33. http://www.krs.co.kr(한국선급 웹메거진 Vol.97, 2018년 8월 20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