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국 전자상거래 해상운송 기종점 분석

An Analysis of Maritime E-commerce Transpor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 신성호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 정현재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 이동현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투고 : 2018.08.28
  • 심사 : 2018.09.28
  • 발행 : 2018.09.30

초록

본 연구는 중국과의 전자상거래 교역에 해상으로 운송되는 화물의 흐름을 분석하고 지역별/품목별로 화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중국으로의 전자상거래 수출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종점 분석 및 시각화 기법을 활용하여 2015년부터 2018년 1분기까지 해상운송을 이용한 대(對)중국 전자상거래 수출입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중국과 해상특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인천항에서 가장 많은 대(對)중국 전자상거래 화물이 수입되고 있었으며, 평택항의 경우,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전자상거래 화물이 다시 인천세관으로 운송되어 통관 절차를 거치는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음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최종 배송지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전자상거래 수입의 경우와는 달리, 해상을 통해 중국으로 수출되는 전자상거래 제품들은 배송대행업체 및 포워더 업체들이 밀집된 서울과 경기지역에만 국한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자상거래 수입과는 달리, 해상을 통해 수출되는 전자상거래 품목은 주로 의류와 화장품류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수출 규모 역시 수입에 비해 적게 나타나고 있다. 해상을 통한 대(對)중국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방안으로는 전자상거래 환적을 통해 중국으로의 수출 제품 다변화로 수출 화물량을 증가시키는 방안과 더불어, 중국과의 전자상거래 운송에 콜드체인(cold chain)을 구축하여 수출품의 다변화를 도모하는 방안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w of e-commerce freight transported by maritime transportation for China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argo by region/item for finding the ways to promote e-commerce export to China.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e-commerce export and import data on cargo moved via maritime transpor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from 2015 to 1Q18, using Origin-Destination(OD) analysis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argest number of Chinese e-commerce cargoes were imported at Incheon Port, which has a clearance facility for e-commerce cargo. In the case of Pyeongtaek Port, e-commerce cargo imported from China has transported to Incheon Customs again, causing the inefficiency through the customs clearance process. Unlike the case of e-commerce imports where the final destination is distributed nationwide, e-commerce products exported to China through maritime transportation were found to be mainly confin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here freight forwarding companies and forwarders are concentrated. In addition, unlike e-commerce import cargoes, e-commerce items exported through maritime transportation were mainly confined to clothing and cosmetics, and export volume was also less than imports. This study provides some possible strategies to increase the volume of freight and to attract export products as follows: i) to diversify products exported to China through e-commerce transshipment, ii) to diversify export items by building the cold chain in e-commerce transport with Chin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달원.심규언.민세홍(2017), 동해. 묵호항의 북방물류 중심지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기종점 (OD) 분석을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제95권, 663-685.
  2. 강효원(2016), 공간정보를 활용한 한-미 교역액의 기종점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3호, 47-72.
  3. 관세청(2014), '전자상거래 간이수출제도 신설', 보도자료(2014. 5. 12.)
  4. 권순국(2015), 한.중 FTA 타결에 따른 한국 상품의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방안, 관세학회지, 제16권 제2호, 97-118.
  5. 김새로나.방희석(2004), 평택항 발전을 위한 대중국 수출입화물의 기종점 (O/D)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0권 제2호, 53-71.
  6. 김은수.이수영(2016),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권 제1호, 135-149.
  7. 김춘길(1998),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발전방향, 정보과학회지, 제16권 제5호, 5-10.
  8. 김태우.노윤진(2008), 중국 항만 개발과 평택, 당진항의 대응방안, 유통경영학회지, 제11권 제2호, 5-33.
  9. 문광석.유홍성.김연성.이동원(2011), 국제여객터미널의 컨테이너화물 기종점 분석-인천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2호, 195-215.
  10. 문성혁.곽규석.남기찬.송용석(2002), 우리나라 환적 컨테이너화물 유통실태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7호, 51-58.
  11. 문희철.최성월.형정(2008), 한.중 전자상거래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무역학자 전국대회 발표논문집(2008.8), 267-297.
  12. 박창호.전동한(2017), 대중국 역직구를 위한 수도권역 전자상거래 특구화 방안 연구, 전자무역연구, 제15권 제1호, 25-49.
  13. 박형창(2008), 군산항 유치가능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추정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2호, 71-90.
  14. 박호.장현미(2016), OD 분석을 통한 국내 주요 항만의 배후지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통상학회지, 제16권 제4호, 1-14.
  15. 송용석.남기찬(2009), 일본 서안 항만의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 물류비용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제6호, 415-421.
  16. 신승식(2002), 우리나라 해상 수출입 컨테이너의 내륙 기.종점과 환경비용 비교 분석, 국토연구, 제35권, 81-96.
  17. 신승식(2005), 수도권 항만의 중장기 곡물수송 기종점 변화 추이 비교 연구, 물류학회지, 제15권, 81-105.
  18. 유광현(2017), 對중 해외직판 확대를 위한 개정 통관제도를 활용한 복합물류센터 구축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8권 제2호, 97-115.
  19. 윤광운(2002), 동북아지역의 전자상거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17권, 393-420.
  20. 윤광운.김철호(2003), 한.중 전자상거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전자무역연구, 제1권, 143-157.
  21. 윤광운.김철호(2003), 한.중 전자상거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전자무역연구, 제1권, 143-157.
  22. 이경순.조동오.김정인.심동희.함경희(1986), 내륙 화물의 해송전환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3. 이기열.김근섭.김은우.심기섭.신수용(2017), 동북아전자상거래 해상운송 전환수요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4. 이성우.김세원.고재성(2015), 한. 중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 전망과 대응방안, KMI 현안분석, 연구보고서, 제1권, 1-43.
  25. 이영호.고용기.나정호(2015), 여수광양항의 물동량 예측과 대응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30권, 89-107.
  26. 이재원.안영모(2016), 대중국 전자상거래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유통물류연구, 제3권 제2호, 73-85.
  27. 이지훈.김율성.신창훈(2009), 국내 컨테이너항만의 경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제1호, 91-98.
  28. 이충배(2002), 경기권역 기업의 수출입 기종점 (O/D) 분석 및 평택항의 활성화 방안, 국제상학, 제17권, 135-158.
  29. 인천항만공사(2018), '인천항 e-커머스 클러스터 조성전략', 제2회 인천항 비즈니스 네트워크 포럼(2018.05.24)
  30. 정경선(2016), 한.중 전자상거래 화물의 해상운송 추진현황 및 시사점, 우정정보, 제105권, 31-49.
  31. 정태원.최세경(2006), 인천항 컨테이너 화물 유치방안에 대한 연구-컨테이너 OD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제6호, 471-481.
  32. 조민지.김환성(2015), 물류센터 경유를 고려한 화물운송 경로 모형 개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9(1), 61-67.
  33. 천병극(1999), 전자상거래시대의 물류공동화 구축방안, 산업경제연구, 제12권 제5호, 169-191.
  34. 최석범(2009), 한.중 전자상거래 협력사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전자무역협력사업을 포함하여, 전자무역연구, 제7권 제2호, 135-160.
  35. 통계청(2018), '2018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
  36. 한국무역통계진흥원(2016), '新무역통계 개발'
  37. 함숙연.우수한(2018), 해상운송 기반 한중 전자상거래 기종점 분석연구, 해운물류연구, 제98권, 47-68.
  38. 홍진영.심창용(2017), 한국 전자상거래 기업의 대중국 B2C 수출활성화 전략-중국 전자상거래 통관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중국지역연구, 제4권 제1호, 81-108.
  39. KOTRA(2017),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 가이드, 해외시장 뉴스 분석보고서, http://news.kotra.or.kr/user/reports/kotranews/20/usrReportsView.do?reportsIdx=8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