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ablishment Plan of Promotion Policy for Disaster-Safety Industry Based on Social Media Analysis

소셜미디어 분석을 활용한 재난안전산업 육성정책 수립방안

  • Received : 2017.08.04
  • Accepted : 2018.02.08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level towards safer life is increasing due to not only ever-changing faces of disasters and increased frequency of climate-change related disasters but also enhanced standard of living. Demand for disaster-safety industry is also increasing. Several policies for disaster-safety industry have been introduced. The policies, however, did not fully reflect the level of people's interes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ssible ways to reflect general public's interests towards disaster-safety industry using social media analysis, so that disaster-safety industry can be properly promoted. To examine the level of general public's interest, social media data during the last three years were compiled and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level was highest towards, firstly, information on just-happened real disasters, secondly, necessary knowledge in real life which could be applied immediately if disasters strike. It was also confirmed that social media was useful in analyzing people's interest level quickly, because social data have been found to be sharply increased during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applicable plans for disaster-related industry promotion based on social media data using general public's interest level.

다양하게 변화하는 재난양태와 기후변화로 인한 빈번한 재난발생뿐 아니라 생활수준 향상 등의 이유로 재난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연계하여 재난안전 산업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 동안 다양한 재난안전산업 육성 및 활성화 정책이 수립되었지만, 국가주도의 정책이 대부분이었고, 민간분야와 국민관심도가 반영된 정책은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관심도를 고려한 재난안전산업 육성방안 수립을 위하여 소셜미디어 분석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재난안전분야의 국민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3년간의 소셜미디어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은 실제 발생했던 재난에 대한 내용, 즉각적으로 실생활에서 필요한 분야에 대해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로 경주 지진발생 당시 재난 관련 소셜데이터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뉴스에서는 피해상황 등에 관한 내용이 많은 반면, 트위터와 블로그에서는 구호물품, 대피요령 등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국민적 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셜미디어 활용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재난안전산업의 민간분야 확산 차원에서 국민관심도를 반영한 재난안전산업 정책 수립방안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모.김상락.박상무 (2012), "빅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정보과학회지, 6월호, pp. 25-32.
  2. 강태욱.이영호.류제원.조서림 (2016), "트위터 워드클라우드를 이용한 내일로 추천 관광지의 이미지 분석",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6호, p. 237.
  3.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4), "재난안전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4.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6), "공공 및 도시분야 재난안전산업 동향분석.연구기획".
  5. 국민경제자문회의 산업연구원 (2014), "국가안전대진단과 안전산업발전방안".
  6. 국민안전처 (2017), "2015년 기준 재난안전산업 실태조사 결과".
  7. 김남규.이동훈.최호창 (2017), "텍스트 분석 기술 및 활용 동향",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42권 제2호, pp. 471-492. https://doi.org/10.7840/kics.2017.42.2.471
  8. 김동현.이민화 (2014), "신기술 도입이 의료기술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9. 김성우.김은아.노광택.박지원.이미경.장아름.최성철.한대탁.홍영일.황은송 (2015), "NodeXL 따라잡기", Nodexl Korea.
  10. 김성은 (2017),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키워드 4대강", 물과 미래, 제50권 제1호, pp. 39-44.
  11. 김현희.조진남.김동건 (2014), "국가별 관심도 측정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위키피디아 사용 데이터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9권 제4호, pp. 43-53. https://doi.org/10.9708/jksci.2014.19.4.043
  12. 김홍범.신정우.박경국 (2016), "신성장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가 주도 기술 표준화 추진 방안 비교: 한국과 미국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3권 제3호, pp. 87-114. https://doi.org/10.14383/SIME.2015.23.3.87
  13. 미래창조과학부 (2016), "ICT R&D 중장기 기술로드맵 2022".
  14. 박서연.신민정.이하정.배현지.이미정 (2015), "SN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맛집의 요약적 키워드를 시각화시킨 워드클라우드 제공 서비스", 한국통신학회 2015년 추계종합학술발표회 pp. 268-269.
  15. 박철민.한정민.구본철 (2016), "연구개발투자에 따른 비용저감 효과 분석: ICT산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4권 제3호, pp. 81-105. https://doi.org/10.14383/SIME.2016.24.3.81
  16. 산업연구원 (2014), "안전산업 국내외 시장분석 및 향후과제".
  17. 산업연구원 (201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융복합 안전산업 육성방안 연구".
  18. 소방방재청 (2009), "재난안전관리 산업 실태조사 및 육성방안 연구".
  19. 윤유동.조재훈.허윤아.임희석 (2017),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제6권 제7호, pp. 371-378. https://doi.org/10.3745/KTSDE.2017.6.7.371
  20. 이경순 (2016), "소셜빅데이터 및 설문조사를 기반한 일반대중의 장애인에 대한 관심도와 감성분석", 특수교육, 제15권 제4호, pp. 81-110.
  21. 이태준 (2016), "언론매체와 디지털 공론장에서 나타난 공공이슈의 사회적 관심도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제50권 제2호, pp. 215-241.
  22. 임수정.박덕근 (2016), "국내 재난안전산업 특수분류 현황 및 발전방안", 한국방재학회, 제16권 제5호, pp. 71-83.
  23. 정덕영.이준석.박상성 (2016), "워드 클라우드를 이용한 기술트렌드 분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6권 제1호, pp. 17-18.
  24. 정승화.임지선.박선주.정예림.박경민.최정혜 (2014), "소셜미디어 연구동향 분석: 사회과학분야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1권 제2호, pp. 87-124.
  25. 최정원.강주연.박준형.오효정 (2016), "공공기록관의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 및 이용자 관심도 분석: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제33권 제2호, pp. 135-156. https://doi.org/10.3743/KOSIM.2016.33.2.135
  26. 통계청 (2017),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 잠정결과".
  2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2016 기술영향평가 보고서: 가상.증강현실 기술".
  2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공공 빅데이터 표준분석 모델".
  29. 한국행정연구원 (2016), "재난안전관리를 위한 민간기업 연계 및 산업육성 방안".
  30. 행정안전부 (2017), "민관협력 관점에서의 국가안전대진단 발전방향 논의".
  31. The Freedonia Group (2015), "World Security Equipment, Industry Study with Forecasts for 2014&2019".
  32. Homeland Security Research Corp. (2015), "Global Homeland Security&Public Safety Industry, Technologies Market".
  33. Kaplan A.M., and Haenlein M. (2010),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Vol. 53, No. 1, pp. 59-68. https://doi.org/10.1016/j.bushor.2009.09.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