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 영재상담 관련 연구동향 분석

Investigating Trends of Gifted Counseling in Domestic through Sementic Network Analysis

  • 투고 : 2018.07.24
  • 심사 : 2018.08.20
  • 발행 : 2018.08.31

초록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8년 6월까지 영재상담과 관련된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국내 KCI등재지에 게재된 83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논문들을 대상으로 키워드 빈도 및 키워드 네트워크, 연결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네트워크 분석결과 영재상담과 관련된 연구는 완벽주의, 진로, 상담, 과학영재의 4가지 키워드가 연구 주제로 주요하게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2001년부터 2018년 6월까지 연도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상위 키워드는 미성취영재, 완벽주의, 과학영재, 영재부모 등으로 나타났다. 상승 키워드는 완벽주의, 이중특수아, 영재부모 등으로 나타났고,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키워드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재상담 연구가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related to gifted counseling by utilizing Sementic analysis methods. For paper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KCI(Korea Citation Index) rated journals were selected 83 pieces published in journals were collected and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SNA) way was utilizing for keyword frequency and Centrality Network Analysis throughout a variety of research articles using krkwic and Ucinet6.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appeared that the trends of paper keywords from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keyword in papers focused on four keywords: perfectionism, career, counseling, and the science gifted. second, Analysis of annual trends from 2001 to June 2018 showed that the top keywords were as follows: the gifted underachievers, the perfectionism, the gifted students of Science, and the science gifted students. the rising keywords were perfectionism, twice-exceptional students, and gifted parents, and the keywords of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Consequently, gifted counseling research should be done from various perspectiv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감정기, 감미아, 박미히(2016). 사회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게재논문(1979-2015)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8(2), 185-211.
  2. 강명구(2000). 정치뉴스에 나타난 한국 정치권력구조의 네트워크 분석: '동시출현빈도'의 타당도 검증. 언론정보연구, 37, 93-130.
  3. 교육부(2015). 영재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부.
  4.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5. 김경식(2015).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구조 규명: 22년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8(3), 1-25.
  6. 김선주, 김민경(2013). 정서지능 수준에 따른 초등 영재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2(3), 5-25.
  7. 김옥분, 김혜진(2013). 영재와 평재의 지적능력신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탐색: 아동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지적능력신념 및 지지, 성취압력, 교실성취목표를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12(1), 207-232.
  8. 남민정, 유형근(2009). 초등학교 미성취 영재의 사회 정서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207-230.
  9. 류은주, 김정은, 백성혜(2011).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영재에 대한 고찰. 영재교육연구, 21(3), 659-682. https://doi.org/10.9722/JGTE.2011.21.3.659
  10. 민현숙, 양연숙(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몰입 비교. 영재교육연구, 22(1), 157-171. https://doi.org/10.9722/JGTE.2012.22.1.157
  11. 박경빈(2012).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 연구, 22(4), 823-840.
  12. 박한우, Loet Leydesdorff,(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8.
  13. 송수지(2007). 미성취 영재를 위한 인지 정서적 교육개입 프로그램 개발. 정서 행동장애연구, 23(3), 301-326.
  14. 송수지(2007). 미성취 영재와 성취 영재 간의 개인적 특성 비교. 아동학회지, 28(5), 175-191.
  15. 송수지, 신명희(2007). 미성취 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학업성취, 학습태도, 학습습관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지, 45(3), 139-166.
  16. 유형근(2009). 미성취 영재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85-208.
  17. 유형근(2010). 초등 영재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2), 241-266.
  18. 윤성민, 전경남(2016). 영재고등학생과 일반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비교. 영재와영재교육, 15(3), 77-101.
  19. 윤소영, 한기순(2015). 초등 영재아동의 완벽주의 성향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2), 93-128.
  20. 윤소영, 한기순(2015). 한국판 PI(Perfectionism Inventory)의 타당화 연구. 영재교육연구, 25(5), 749-765. https://doi.org/10.9722/JGTE.2015.25.5.749
  21. 윤소영, 한기순(2016).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 분석. 영재와영재교육, 15(3), 55-75.
  22. 윤여홍(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1), 79-101.
  23. 윤진아, 김수진, 서혜애(2016). 2010-2015년 사회네트워크분석 방법 활용 국내외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6(2), 347-363. https://doi.org/10.9722/JGTE.2016.26.2.347
  24. 이미순(2012). 음악영재의 완벽주의 및 스트레스가 합리적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2(2), 221-241. https://doi.org/10.9722/JGTE.2012.22.2.221
  25. 이상균, 김순식, 채동현(2017).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3), 290-307.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3.290
  26. 이상균(2016).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과학의 본성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65-87.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65
  27. 이수상(2013).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28. 이승진, 진석언, 최선일 (2016). 중학교 미성취영재를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탐색. 영재교육연구, 26(1), 21-36. https://doi.org/10.9722/JGTE.2016.26.1.21
  29. 이신동, 박성옥, 태진미(2016). 영재상담: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0. 이애리, 이신동(2015). 영재학생의 완벽주의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4(2), 171-192.
  31. 임진현, 전미란, 최승언(2012). 과학영재의 성취동기와 자기개념, 완벽주의, 부모양육행동과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2(4), 985-1007. https://doi.org/10.9722/JGTE.2012.22.4.985
  32. 정덕호, 박선옥, 유효현(2014).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연구, 24(4), 561-576. https://doi.org/10.9722/JGTE.2014.24.4.561
  33. 조무정, 김도희, 최선일(2017).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영재교육연구, 27(4), 505-525.
  34. 진석언, 최선일(2015).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연구, 25(4), 649-667. https://doi.org/10.9722/JGTE.2015.25.4.649
  35. 진선홍, 양태연, 한기순(2012). 영재들의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탐색. 영재교육연구, 22(3), 779-800. https://doi.org/10.9722/JGTE.2012.22.3.779
  36. 차주환, 최선일(2017). 영재 중학생의 낙관성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8(6), 1045-1058.
  37. 최영출, 박수정(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38. 추성경(2013). 영재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액션러닝 적용방안. 영재교육연구, 23(6), 899-917. https://doi.org/10.9722/JGTE.2013.23.6.899
  39. 한기순, 양태연(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40. 허난설(2009). 영재아의 정서안정을 위한 통합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허창재(2002). 영재아동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홍종관(2009). 영재의 이해와 교육 및 상담에 관한 연구. 청소년행동연구, 14, 123-146.
  43. 홍종관(2014). 영재의 정서 발달을 위한 상담에 관한 연구. 청소년행동연구, 19, 35-52.
  44. Daniel, S. & Piechowski, M. (2008). Living with Intensity. Great Potencial Press. 김유미, 이지은 공역(2010). 강력한 삶을 살아가는 영재의 이해와 상담. 아카데미프레스.
  45. Kerr, B. (1991). A Handbook for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VA: American Association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
  46.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Denver, CO: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