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ecessary Spaces and Area Standards of Integration Faci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과 면적기준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8.06.06
  • Accepted : 2018.08.16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desirable disaster safety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chool disaster safety management training course and demand survey of school staff. First, the problem of the disaster safety training course of the school is not connected with the lack of law and system and the school disaster safety job. Second, improvement of law and system and variety of training should be made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Third, it is necessary to divide curriculum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educational needs of public officials ;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ers course focused on facility safety, maintenance and disaster countermeasure. Educational officials in technical post course addressing approval and permission of school facility projects, seismic reinforcement of school building, etc. Educational supervisors course cover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school safety supervisors in the event of disaster. Teaching staffs course focused on safety instructions for students. Fourth, it is found that lectures and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are the most desirabl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major ranks are earthquake disaster, fire, gas, typhoon, school road, and electrical safety.

본 연구는 '유치원 어린이집 간 격차 완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교육시설 질 균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이 갖추어야 할 필요공간과 면적기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공간의 종류를 표15와 같이 반드시 필요한 필수공간과 교육 보육 활동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추가되면 좋을 권장공간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별 면적기준(안)을 표23과 같이 제시하였다. 아울러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영유아 1인당 대지면적과 연면적, 연면적 대비 공용면적의 비율을 각각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형구 외(2005), 유치원의 공간규모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4(2).
  2. 경기도교육청(2013), 유아수용계획 수립 기준 및 공립유치원 설립 개선 지침.
  3. 김영애 외(2007), 국내 우수보육시설의 시설기준에 대한 사례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8).
  4. 김은영 외(2009), 유치원과 보육시설 시설설비 기준 개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5. 김형돈 외(2010), 유치원 표준설계 지침개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6. 문무경 외(2012). OECD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향상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7. 박성철 외(2011), 공립유치원 신설 소요경비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8. 박정아 외(2011), 보육시설 평면사례분석을 통한 시설규모별 소요실 및 면적특성,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2(1).
  9. 보건복지부(2017), 2017년도 보육사업안내.
  10. 손수연(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인식과 실행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장명림(2013). 유보통합 모형 탐색과 통합 추진 현황.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년 임시총회 및 추계정기학술대회 자료집.
  12. 전라북도교육청(2013), 유아교육발전 5개년 전북 2013 과제별 추진계획.
  13. 정지영(2001), 보육시설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3.
  14. 조진일 외(2014), 초등학교 내 영유아 교육 보육통합시설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연구보고 RR2014-36).
  15. 주서령 외(2000), 유치원 건축계획기준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7(4).
  16. 최경숙 외(2006), 보육시설 설치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보육시설 설치 세부기준 마련 및 설치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여성가족부․한국여성건축가협회.
  17. 하숙녕(2008), 어린이집 유형별 실내디자인 개발 사례, 디자인학연구, 21(6).
  18. Northern Ireland, Department of Education(2009), Building Handbook-Section 2 : Nursery Schools(개정판).
  19. Olds, A. R. (2009), 보육시설 환경디자인(최목화외 역), 파주: 교문사. (원저 2000년 출판).
  20. OECD(2001), Starting Strong I :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 OECD.
  21. OECD(2012), Starting Strong III :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 OECD.
  22. Ontario Ministry of Children and Youth Services(2006), Planning & Design Guidelines for Child Care Centres.
  23. U.S. General Service Administration(2003), Child Care Center Design Guide.
  24.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운영 규정
  25.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2조(보건실 설치기준).
  26.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27. 강원도교육청 고시 제2008-14호, 유치원 교구 설비 기준.
  28. 경기도교육청 고시 제 2012-042호, 유치원 교구 설비 기준.
  29. 경상남도교육청고시 제2003-3호, 학교 교구 설비 기준.
  30. 경상북도교육청 고시 제2013-8호,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 교구 설비 기준 개정- 유치원, 초 중고, 특수학교.
  31. 광주광역시교육청고시 제2004-13호, 학교 교구 설비 기준 -유 초 중 고 특수학교용-.
  32. 대구광역시교육청 고시 제2010-1호, 대구광역시 학교교구 설비기준.
  33. 대전광역시교육청 고시 제2013-16호, 각급학교 교구 설비 기준 고시.
  34. 부산광역시교육청 고시 제2003-53호, 학교 교구 설비 기준.
  35. 서울특별시교육청고시 제2004-5호, 학교교구 설비기준(유치원, 초등학교).
  36.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고시 제2013-74호, 유치원 교구 설비 기준.
  37. 울산광역시교육청 고시 제2003-26호, 학교 교구․설비 기준.
  38. 인천광역시교육청 고시 제2014-114호 인천광역시 유치원 교구 설비 기준.
  39. 전라남도교육청 고시 제2011-1호, 유치원 교구 및 설비 기준.
  40. 전라북도교육청 고시 제2010-1호, 유치원 교구 설비기준.
  41.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고시 제2011-2호, 제주특별자치도 각급학교 교구 설비 기준.
  42. 충청남도교육청고시 제2012-9호, 충청남도교육청 각급학교 교구 설비 기준.
  43. 충청북도교육청고시 제2004-7호,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 교구 설비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