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 재난안전 교육연수과정 실태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학교시설에 대한 재난안전관리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Training Course in School - Focused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for School Facilities -

  • 투고 : 2018.06.20
  • 심사 : 2018.08.22
  • 발행 : 2018.08.31

초록

이 연구는 학교 재난안전관리 교육연수과정의 운영실태 분석과 교직원의 수요조사를 통해 바람직한 재난안전 교육과정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학교 재난안전 교육연수과정의 문제점으로 법 제도의 미비와 학교 재난안전 직무와 연계되지 못한 교육과정이었으며 둘째, 전문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법 제도의 개선과 교육연수과정이 다양화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행정직은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와 재난대응 교육과정으로, 교육(지원)청 기술직은 학교시설 사업승인 절차 및 방법과 건물의 내진보강, 구조안전, 석면 해체 제거 등의 교육과정으로, 교육전문직은 학교 재난안전관리 책임자로서 재난대응을 위한 역할, 재난발생시 조치사항 등의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교사는 학생의 안전지도 중심으로 편성함으로써 교직원의 직렬별 수요에 맞는 교육연수과정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강의 및 체험학습 방식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주요 순위는 지진재해, 화재, 가스, 태풍, 통학로, 전기안전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uggests desirable disaster safety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chool disaster safety management training course and demand survey of school staff. First, the problem of the disaster safety training course of the school is not connected with the lack of law and system and the school disaster safety job. Second, improvement of law and system and variety of training should be made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Third, it is necessary to divide curriculum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educational needs of public officials ;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ers course focused on facility safety, maintenance and disaster countermeasure. Educational officials in technical post course addressing approval and permission of school facility projects, seismic reinforcement of school building, etc. Educational supervisors course cover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school safety supervisors in the event of disaster. Teaching staffs course focused on safety instructions for students. Fourth, it is found that lectures and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are the most desirabl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major ranks are earthquake disaster, fire, gas, typhoon, school road, and electrical safety.

키워드

참고문헌

  1. An International Network for Education in Emergencies, http://www.ineesite.org, 2018
  2. 서정표 외, 방재역량 강화를 위한 방재교육훈련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제12권 2호 P 95-105, 2012
  3. 유해복,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2013
  4. 김양수,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2007
  5. 이영재 외, 교육시설 재난.안전사고 데이터 분석 및 공제관리 연구, 2018
  6. 교육부, 국가안전관리 세부집행계획 설명회, 2012
  7. 박성철, 유휴교실을 활용한 안전체험교실 조성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6
  8. 서울특별시교육청, 시설물유지관리지침서, 2015
  9. 울산광역시교육청, 학교 안전점검 종합매뉴얼, 2014
  10.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행정실장안전관리과정(교육교재), 2017
  11. 박효정, 학교 안전교육 현황과 내실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P 21-24, 2015
  12. 일본문부과학성, 제2차 학교안전의 추진에 관한 계획, 2017
  13. 일본문부과학성, 초등학교시설정비지침, 2016
  14. 시.도교육청 교육연수원, 연수운영계획서, 2017

피인용 문헌

  1. Analysis Research of the Disaster Safety Assessment Syste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Focusing on a comparison of Disaster Safety Assessment Tools between Schools in South Korea and Japa vol.19, pp.2, 2018, https://doi.org/10.12813/kieae.2019.19.2.025
  2.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vol.20, pp.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