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Terrestrial Broadcasting Services Viewing and OTT VOD Usage

지상파 방송 실시간 시청과 OTT VOD 이용 간의 관계

  • Received : 2018.06.07
  • Accepted : 2018.08.07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real-time viewing and OTT VOD usage. The study is based on the ratings and VOD download data, collected from TNmS and pooq.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ratings, 2049 ratings, OTT VOD download over the past 7 days, OTT VOD download over the past 3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in all genres(drama, entertainment, current affairs).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ratings and OTT VOD download over the past 7 days, between 2049 ratings and OTT VOD download over the past 7 days. Nex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ratings and OTT VOD download over the past 30 days, between 2049 ratings and OTT VOD download over the past 30 days. Finally, there was somewhat different among rankings of the ratings and VOD download.

본 연구에서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실시간 시청과 OTT VOD 이용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TNmS와 푹(pooq)에서 수집한 실증적 자료를 사용하였고 장르별로 실시간 가구 시청률, 실시간 2049 시청률, 7일간 OTT VOD 이용자수, 30일간 OTT VOD 이용자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드라마, 예능, 시사교양 장르 모두에서 실시간 가구 시청률과 7일간 OTT VOD 이용자수 간 그리고 실시간 2049 시청률과 7일간 OTT VOD 이용자수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드라마, 예능, 시사교양장르 모두에서 실시간 가구 시청률과 30일간 OTT VOD 이용자수 간 그리고 실시간 2049 시청률과 30일간 OTT VOD 이용자수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상파 실시간 시청률 순위와 OTT VOD 이용자수 순위 간에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www.emarketer.com/Article/Growth-Time-Spent-with-Media-Slowing/1014042
  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방송영상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3. 박현수, "매체환경 변화에 따른 TV시청 패러다임의 변화," 광고학연구, 제25권, pp.7-28, 2014.
  4. 이호철, "N-스크린 및 실시간 빅데이터 시대에 맞는 통합시청률 구현," 방송과 미디어, 제10권, 제19호, pp.68-76, 2014.
  5. 김상훈, 임수현, "VOD 시청률 현황과 측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6권, 제2호, pp.139-161, 2015.
  6. 박상진, 노진우, 이상우, "지상파 실시간 시청과 VOD 시청성과 간의 관계: 올레 tv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2권, 제1호, pp.1-32, 2015.
  7. 성낙일, 곽은경, 이선미, "IPTV VOD 이용행태와 통합시청률: 실증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2권, 제3호, pp.1-31, 2015.
  8. 김영주, "OTT 서비스 확산이 콘텐츠 생산, 유통, 소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27권, 제1호, pp.75-102, 2015.
  9. 황용석, "시간과 공간의 맥락에서 본 텔레비전과 인터넷 이용의 상호관계성 탐구," 방송연구, 제59호, pp.309-338, 2004.
  10. 김은미, 이혜미, "컨버전스 환경에서의 방송콘텐츠 이용 행위에 관하여: 온라인 시청연계 행위는 존재하는가,"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4호, pp.39-81, 2011.
  11. 최세경, 곽규태, 이원태, "N스크린 서비스의 능동적 이용에 대한 영향: 이용동기,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애착,"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4호, pp.371-401, 2014.
  12. 김원식, 유종민, "글로벌 OTT의 국내시장 진출과 미디어 지형 변화 예측," 방송통신연구, 제2015년 여름호, pp.63-101, 2015.
  13. 임성원, "미디어 융합시대 방송 플랫폼의 경쟁구조 연구: 수용자 선택 요인의 플랫폼별 적소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3호, pp.276-326, 2007.
  14.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9876
  15.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11002109931037002&ref=naver
  16. 김관규, "크로스미디어 통합시청률조사의 필요성과 국내외 사례," 방송문화연구, 제26권, 제1호, pp.7-32, 2014.
  17. 임양수, 손현진, "해외사례를 통해 본 통합시청률 도입 영향과 시사점," ISSUE&TREND, pp.1-8, 2013.
  18. 배효승, 신소연, 이상우, "IPTV 셋톱박스 로그분석을 통한 시청률 연구: 국내 시청률 조사방식의 한계점 분석 및 대안적 시청률 조사방식 제안," 방송 문화연구, 제24권, 제1호, pp.167-196, 2012.
  19. 공공미디어연구소, "통합시청률 조사: 현황과 쟁점," 커뮤니케이션 리포트, 제16호, pp.1-30, 2016.
  20. http://star.hankookilbo.com/News/Read/70a4bc329d79485087590b0fd05a2d4e
  21. http://enter.etoday.co.kr/view/news_view.php?varAtcId=121887
  22. 심미선, "융합매체환경 하에서의 장르이용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65호, pp.175-220, 2007.
  23. G. J. Webster and J. J. Wakshlag, "A theory of television program choice," Communication Research, Vol.10, No.4, pp.430-446, 1983. https://doi.org/10.1177/009365083010004002
  24. 최현철, 사회통계방법론, 나남,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