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개화기 초등수학교육 재음미

  • Received : 2018.05.24
  • Accepted : 2018.06.1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paper summarized the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hat took place at the national level during the Enlightenment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eriod from 1876 to 1910. For this purpose, we divided the enlightenment period into three periods and examined major chang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t each period. The necessity of arithmetic education began to be recognized before the reform of the Taoist reform, and arithmetic education became a national curriculum in the beginning of the Taoist reform period. Particularly, during the reforming period of the Gap,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mixed Korean and Chinese were published. In the period when the interven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egan, the arithmetic education has been reduced or weaken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 policy of 'simple' and 'use'. It is also remarkable that an arithmetic book for elementary teachers was published at this time.

이 논문에서는 1876년에서 1910년에 이르는 개화기에 국가적 차원에서 일어난 초등수학교육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개화기를 갑오개혁이전, 갑오개혁, 통감부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초등수학교육의 주요 변화를 살펴보았다. 갑오개혁이전시기부터 산술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었으며, 갑오개혁시기에 산술교육은 본격적으로 국가교육과정이 되었다. 특히 갑오개혁시기에는 국한문혼용의 초등수학교과서가 발간되었다. 일제의 간섭이 본격화된 통감부 시기에는 '간이'와 '이용'의 교육정책에 따라 산술교육도 축소 또는 약화되었다. 이 시기에 발간된 초등교원용 산술서는 특기할 만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 백석윤 (1999). 초등수학교육론. 동명사.
  2. 김경미 (2000). 갑오개혁기 초등교육개혁의 전개 과정과 그 성격. 한국교육사학, 22(1), 23-43.
  3. 김봉희 (1999). 한국개화기서적문화연구한국 개화기 서적 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 김영우 (1984), 한말의 사립학교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1, 5-65.
  5. 박교식 (2014).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체제 비교 : 요소, 영역, 목표, 시수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123-137.
  6. 박교식 (2014).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비교 연구 :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2), 235-249.
  7. 박승배 (2013). 갑오개혁기 교과서는 누가 집필 했을까? :갑오개혁기 학부 교과서 편찬 책임자추정 연구. 초등교육연구, 24(1), 217-233.
  8. 박한식 (1971). 개화기의 수학교육연구. 수학교육, 9(2), 47-54.
  9. 박한식 (1991). 한국수학교육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0. 손봄이 (2011). 대한제국기 공립소학교 연구 : 경기지역 공립소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주.
  11. 송호근 (2013). 시민의 탄생. 서울: 민음사.
  12. 안상원 1983). 우리나라 近代學校의 胎動에 관한 一考. 敎育論叢, 3, 7-23.
  13. 오채환, 이상구, 홍성사, 홍영희 (2010). 19세기(世紀) 조선(朝鮮)의 수학(數學) 교과서(敎科書). 한국수학사학회지, 21(3), 1-24.
  14. 원유만 (1996). 新訂算術(제3권)의 내용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울산대학교, 울산,
  15. 유정화 (2011). 19세기 한중일 근대 통번역 교육제도 비교 연구. 박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16. 이계형 (2008). 대한제국기 통감부의 식민교육정책 연구. 박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서울.
  17. 이광린 (1963). 育英公院의 設置와 그 變遷에 對하여. 동방학지, 6. 101-129.
  18. 이교승 (1901). 신정산술. 광문사.
  19. 이상구, 이재화, 김영구, 이강섭, 함윤미 (2017). 한국 근.현대수학 교재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1(1). 149-177.
  20. 이상국 (1988). 개화기의 서구식 수학 교육의 일별. 한국수학사학회, 5(1).
  21. 전민호 (2012). 개화기 학교교육개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22. 전민호 (2017). 개화기 서당교육의 전개. 한국교육학연구, 23(3). 35-59.
  23. 정일문 (1995). 신정산술의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24. 정재걸 (1990). 韓國近代敎育의 起點에 관한 硏究. 교육사학연구, 2․3, 103-120.
  25. 정재걸 (1994). 한국 근대 학교교육 100년사 연구(I) : 개화기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94-07.
  26. 정지호, 심희보 (1987). 개화기의 한국수학교육. 한국수학사학회, 4(1), 9-23.
  27. 차주연 (2006). 개화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학교수학과 수학교육. 수학교육논문집, 20(2), 207-214.
  28. 최경용 (1999). 新訂算術(제2권)의 내용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울산대학교, 울산.
  29. 학부 (1895). 간이사칙문제집.
  30. 학부 (1895). 근이산술서.
  31. 학부 (1908). 보통학교교원용 산술서.
  32. 한영균 (2016). 대한제국기의 산학(수학) 교재류에 대한 기초적 연구. 한국문화, 73, 207-233.
  33. 함종규 (2003).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 교육과학사.
  34. 허경 (1995). 개화기 초등학교 설립현황 및 교육실태 분석.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