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기출문항 분석

Analysis of the Previous Appointment Examinations for Informatics·Computer Secondary Teachers

  • 강오한 (안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투고 : 2018.07.09
  • 심사 : 2018.07.30
  • 발행 : 2018.07.3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최근 3년 동안 시행된 정보 컴퓨터 표시과목 임용시험의 기출문항을 13개 기본이수과목으로 분류하고, 과목별 점수 및 문항수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기본이수과목 중에서 출제비율이 높은 6개 과목에 대해 평가영역별 점수 구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내용학 분야에서 C언어를 사용한 문항들이 차지하는 점수 비중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교과내용학 분야에서 과목별 점수 비율은 0~17.1%, 문항수 비율은 0~15.8%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3개 과목은 연도별 점수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분석 대상 과목들의 평가영역별 점수 비율은 0~52%로 분포되어 영역별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3년 동안의 임용시험에서 C언어를 사용한 문항의 점수 비율은 평균 3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questions from the last three years' appointment examinations for secondary teachers for informatics computer subjects are classified in a way to fit thirteen basic mandatory courses, for which the composition of score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tested were examined. Of these thirteen basic mandatory courses, questions from six basic mandatory courses with high frequency of assessment were analyzed on their score composition based on the evaluation area. In addition, questions testing knowledge in C language were analyzed separately. The results show scores for the curriculum content subjects ranged from 0% to 17.1%, and the ratio of questions tested from curriculum content subjects 0% to 15.8%. In addition, questions from three courses showed a large deviation in scores for each year. Second, the score composition based on the evaluation area showed a large discrepancy, ranging from 0% to 52.0%. Lastly, the questions tested on the C language exhibited high score on average at 33%.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plans to improve ways to evaluate test takers' aptitud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15-74호, 별책10. 교육부.
  2. 김경훈 외10 (2015).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정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5-17.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www.kice.re.kr/sub/info.do?m=010602&s=kice.
  4. 교육부 (2018). 2018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부.
  5. 교육부 (2015). 교육부고시 제2015-73호. 교육부.
  6. 교육부 (2016). 교육부고시 제2016-106호. 교육부.
  7. 최현종 (2008). 2009년도 중등 임용고사 정보․컴퓨터 과목 출제 표준화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 43-49.
  8. 이인제.김영식 (2008).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정보.컴퓨터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 평가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8-6-34.
  9. 이양락 (2016). 표시과목별 중등교사 자격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발.보완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O 2016-3-1.
  10. 윤성희 (2004). 중등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의 출제 문항 분석과 개선방안. 교원교육, 20(1), 386-397.
  11. 여지원.강오한 (2009). 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2(5), 15-22.
  12. 양혜지.이원규.김자미 (2018).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과목 출제경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2), 11-19.
  13. 김한일(2016). 중등 정보교사의 역량모델 및 교육요구도 연구. 제주대학교 좋은컴퓨터교육연구센터. IGCE 2015-2.
  14. 김자미.이원규 (2016).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3), 3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