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lack Box Design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alysis

집단지성 분석법을 활용한 블랙박스 디자인 개발 연구

  • Lee, Hee young (Department of Design Materia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Hong, Jeong Pyo (Department of Design Materia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Kwang Soo (Department of Design Materia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희영 (전북대학교 디자인 제조공학) ;
  • 홍정표 (전북대학교 디자인 제조공학) ;
  • 조광수 (전북대학교 디자인 제조공학)
  • Received : 2018.03.21
  • Accepted : 2018.06.1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blackbox design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based on the explosive growth of the blackbox market due to development of blackbox design for vehicle accident prevention and post-treatment. In the past, the blackbox market has produced products indiscriminately to meet the ever-increasing demand of consumers. Therefore, we thought a new design method was necessary to effectively investigate the needs of rapidly changing consumers.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best-selling blackbox to understand the design flow, and the optimum area for a blackbox,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associated vehicle. Based on discussion with blackbox design experts, we studied the direction of design and the problems with blackbox use, which were reflected in blackbox development. Through this research, two types of design - leading blackbox (A type) and mass production blackbox (B type) - were proposed for compatibility of the blackbox with the car. The leading type of blackbox was positioned so that it was wrapped with the room mirror hinge before the screw was fastened, in order to achieve an integrated design. Therefore, we designed an integrated form and resolved the placement problem of an adhesive blackbox. To blend, the mass production blackbox implemented material and surface processing in the same way with the car, and adopted the slide structure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main body power when removing the SDcard, reflecting consumer needs. This study considers evolving consumer needs through a case stud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deals with implementation of the whole design process during mass product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blackbox design based on design method and its realization.

본 연구는 교통사고 예방과 사후 처리를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 디자인 개발로 블랙박스 시장 성장에 따른 기업의 대내외 블랙박스 디자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진행되었다. 과거 블랙박스 시장은 꾸준히 증가하는 소비자 수요를 맞추기 위해 무분별하게 상품을 양산했었다. 수많은 종류의 차량용 블랙박스는 현재 사후관리, 품질, 디자인 등 소비자 요구를 잘 반영한 제품만이 생존하고 있다. IT 및 사회관계망의 발전으로 정보와 공유, 소비의 사이클이 빨라지면서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급변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소비자 니즈 조사방법으로 사례연구 및 전문가의 집단지성 방법론을 활용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소비자 요구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에서 베스트셀러 블랙박스를 조사하여 디자인의 흐름을 파악하고, 차량에 장착되는 제품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블랙박스 최적의 거치 구간을 조사했다. 이후, 블랙박스 디자인 전문가 집단의 담론을 통해 디자인의 지향점을 찾고, 블랙박스를 사용하면서 발생한 문제점을 논의하는 과정과 소비자 요구 조사 과정을 거처 블랙박스 개발에 반영했다. 집단지성 분석을 통해 새로운 거치 방식을 제안한 선도형 블랙박스(A type) 타입과 사전조사 분석을 반영한 양산 개선형 블랙박스(B type) 타입으로 나누어 디자인을 제안했다. 선도형 블랙박스는 차량과 일체형으로 디자인을 구현하고자 접착식 거치 방식이 아닌 룸미러 경첩(hinge)를 감싼 후 나사로 체결하는 구조로 구현하였다. 그 결과 차량과 일체화된 형상을 구현할 수 있었고, 집단지성 분석으로 조사된 문제점인 거치대 접착식 블랙박스의 탈 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양산 개선형 블랙박스는 사전 트렌드 조사를 통해 도출된 스타일 및 재질을 차량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했으며 SD카드 탈거시 본체 전원을 자동으로 끌 수 있도록 슬라이드 구조를 채택하여 소비자 요구를 반영 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트렌드 분석과 집단지성 방법을 통해 진화되는 소비자의 니즈를 발견하고 두 가지 분석에 의해 도출된 블랙박스를 비교할 수 있다. Ideation, Modeling, Rendering, Mock-up을 통해 양산을 구현하는 디자인 전 과정을 다루고 있다. 디자인 방법과 구현을 통해 기업의 블랙박스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했다.

Keywords

References

  1. Bae, J. W. (2002).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Concept Based on User Needs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tech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rary.seoultech.ac.kr
  2. Choi, Y. H. (2013).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Cost Saving EDR(Event Data Recorder) Design - Propensity for resonable consumption of male consumers in one's thirties as the central figure. Journal of the Korean Design Forum, 39, 291-302. DOI: 110.21326/ksdt.2013..39.026
  3. Jung, Y. H., & Na, Y. J. (2005). Effects of design detail types of ladies wear on sensibility and emo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7(2), 162-168. DOI: 10.5149/9780807889909_fuller.13
  4. Kang, N. R., & Kim, J. S. (2015). Assessment of Sensibility for the Design of Black Box for Ca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bat University, DaeJeo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hanbat.ac.kr
  5. Kim, M. S., & Han, J. W. (2012). A Study on the Security Issues in the Automotive Black Box.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27(4), 124. DOI: 10.1007/978-3-8348-1990-1_2
  6. Kim, J. S., & Jin, E. M., & Kang, N. R. (2014). A sensitivity Evaluation on the Design of Vehicle Black Box. Korean Design Forum, 45, 183-192. DOI: 10.21326/ksdt.2014..45.017
  7. Kim, B. S. (2017). 80% of drivers, "installed black box"...installing 100% isn't that far away. Journal of the Asia news, 252
  8. Kotler, P. (2000). Principles of Marketing. 8ed, Prentice Hall Press.
  9. Kim, M. S. (2013). A Study on the Design of Vehicle Black Box. Journal of Digital Design, 13(1), 235-241. DOI: 10.17280/jdd.2013.13.1.023.
  10. Levitt, T. (1965). Exploit the product life cycle. Harvard Business Review, 43, 81-94. DOI: 10.1007/1-4020-0612-8_693
  11. Min, B. G. (2010). Black Box Technology Trends Report. Electronic Research Institute Information Center Research Journall 16.
  12. Park, H. K. (2013). A study on design concept and product development of black box by utilizing fundamental needs. The Society of Korea Illusart, 16(4), 85-94.
  13.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Research. (2012). 10 Hit item. Seoul: SERI. 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