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물 탐지견 도수사들의 폭발물 탐지업무에 관한 인식 연구

Study Recognizing the Explosives Detection Service of Explosive Detection Dog Handlers

  • 김재엽 (동서울대학교/ 경호스포츠학과) ;
  • 김일곤 (동서울대학교/ 경호스포츠학과)
  • 투고 : 2018.03.01
  • 심사 : 2018.03.30
  • 발행 : 2018.03.31

초록

이 연구는 세계적으로 국가뿐만 아니라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폭발물 테러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기계장치와 인력을 배치하여 폭발물 탐지를 실시하고 있으나 기계장치의 오류, 인간의 감지능력 한계로 인하여 완벽한 폭발물 테러 예방이 어려운 상황임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폭발물 탐지견 도수사들의 인식을 분석을 토대로 폭발물 탐지견 활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폭발물 테러로부터 국가중요시설 및 대형민간 시설과 시설 이용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폭발물 탐지견 활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 대하여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첫째, 국가중요시설 및 대형 민간시설에 대한 폭발물 탐지견 도입 의무사항을 법률제도로서 입법화하는 것이다. 둘째, 폭발물 탐지견의 탐지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폭발물 탐지견의 인증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셋째, 폭발물 탐지견을 운용하는 전문 도수사 활성화를 위한 전문 인력 양성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 perfect detection of explosives by placing various devices and personnel in place of terrorist bomb detection in a situation that is difficult to detect and protect against the use of explosives not only in countries but also in civilians. The result is that the legal system applies, first, the obligation to introduce bomb-sniffing dogs for national critical and large civil facilities. Secondly, it introduces a certification system for bomb-sniffing dogs to verify their detection capabilities. Third, it is to introduce a system for fostering expert manpower to activate expert water supply companies that operate bomb-sniffing dogs.

키워드

참고문헌

  1. 최동권, "탐지견의 행동양식과 훈련 단계별 심박수 변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2.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3.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B%82%B4%EA%B2%AC
  4. 관세청, 탐지견 훈련교범, pp.9-11, 2008
  5. 정하정, 'German shepherd 탐지견의 훈련 중에너지 및 단백질 급여수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6. Mekosh-Rosenbaum, V., et al., 'Age-dependent responses to chemosensory cues mediating kin recognition in dogs (Canis familiaris)'. Physical Behavior. 55(3):495-9, 1994. https://doi.org/10.1016/0031-9384(94)90106-6
  7. 농촌진흥청, 재능을 기부하는 개들, pp.7, 2013.
  8. 농림축산검역본부, 인천공항지역본부, http://www.qia.go.kr/Incheon.
  9. 위키피디아 재팬, ja.wikipedia.org
  10. 김두현, '경호탐지견의 운용실태 및 발전방안',한국경호경비학회, 경호경비학회지, pp.215-234, 2007.
  11. 최승묵, '마약탐지견 활용실태 분석', 석사학위 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2.
  12. 오석일, '진도견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1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