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Attacks in the Process of Nuclear Development : Focusing on Israel's Attacks on Iraq and Syria

핵 개발 과정에서의 예방공격 효용성 연구 : 이스라엘에 의한 이라크와 시리아 공격을 중심으로

  • 한승조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고등기술원)
  • Received : 2018.01.03
  • Accepted : 2018.03.23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attacks through cases of military attacks against nuclear facilities in Iraq and Syria that Israel has conducted. It also suggests a desirable approach to preventive attacks against North Korea. The Operation Opera in Iraq in 1981 and the Operation Orchard in Syria in 2007 are examined with an aim to support the opinion "the preventive attack can not be successful in the long run though it may be effective in the short term". It is also possible to denuclearize if the effective preventive attacks on the Korean peninsula are conducted together with removing both nuclear weapons development means and will. In order to guarantee the successful prevent attack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legitimacy of preventive attacks as well as international pressure. Also, the reliable military attack should be done on facilities, manpower and monitored continuously to prevent developing the nuclear afterwards.

본 논문의 목적은 이스라엘이 이라크와 시리아에 대해 수행하였던 핵 개발시설에 대한 공습의 사례를 통해 예방공격의 효용성을 살펴보고, 북한에 대해 예방공격을 수행해야 한다면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군사적 예방공격이 "단기적인 성공은 가능하나 장기적으로는 효과성이 크지 않다"는 주장에 답하기 위해 1981년에 이라크를 대상으로 수행된 Operation Opera와 2007년에 시리아에 감행된 Operation Orchard 수행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예방공격 이후에 각 국가의 핵 개발과정을 살펴본다. 한반도에서 효과적인 예방공격을 위해서는 현재의 국제적 압박 바탕 하에 예방공격의 정당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1회의 확실한 군사적 공격이 시설 외에도 인력 등에 대해서도 이루어져야 하며, 공격 이후에도 지속적인 핵 개발 재개여부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ndrew Futter 저․고봉준 역, '핵무기의 정치', 명인문화사, 2017.
  2. 은종화, "북핵문제 분석을 통한 한국의 WMD 대응방안: 핵 포기 압박의 성공 및 실패사례 비교분석",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3. 김기용, "핵무기 개발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북한과 후발 핵개발 시도 7개 국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4. Malfrid Braut-Hegghammer, "Revisiting Osirak: Preventive Attacks and Nuclear Proliferation Risks", International Security, Vol. 36, No. 1, pp. 101-132, 2011.
  5. Wikipedia, "Operation Opera", https://en.wikipedia.org/wiki/Operation_Opera 2017.12.30.
  6. Spiegel, 'A Dossier Pertaining to a der Spiegel Report of a New Nuclear Site in Syria(April 24)', 2015.
  7. Foreign Policy, 'A radioactive report on Syria(November 11)', 2008.
  8. 신인균, "북한 핵개발의 성격 규명과 군사적 대응의 적절성",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9. Lawrence Freedman, "Prevention, Not Preemption", The Washington Quarterly, Vol. 26, No. 2, pp. 105-114, 2003. https://doi.org/10.1162/01636600360569720
  10. 권태영, 신범철, "북한 핵보유 상황 대비 자위적 선제공격론의 개념과 전략적 선택방향", 전략연구, Vol. 18, No. 1, pp. 7-47, 2011.
  11. 박준혁, '예방공격과 공격-방어이론: 군사전략과 군사기술의 역할에 대한 연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3.
  12. Jack Snyder, 'Myths of Empire: Domestic Politics and International Ambi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13. 박휘락, "북한 도발시 '단호한 대응'과 '확전방지' 조화 방안 : 자위권과 교전규칙을 중심", 전략문제연구, Vol. 54, pp. 97-123, 2012.
  14. 김영원, "국제법상 예방적 자위권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15. 이성우 등, '핵무기의 확산과 위협에 대한 주변국들의 반응', 국방대학교 국방안전보장 문제연구소, 2017.
  16. David Makovsky, 'The Silent Strike : How Israel Bomed a Syrian Nuclear Installation & Kept It Secret, Annals of War in The New Yorker(September 17)', 2012.
  17. 김영호, "신현실주의의 비판적 고찰", 한국국제정치학회, Vol. 37, No. 2, pp. 3-23, 2012.
  18. 서균렬, "북한 6차 핵실험 위력과 의미는?", 통일한국, Vol. 406, pp. 14-17, 2017.
  19. 장용훈, "도발-제재 악순환 속 강대강 위기 고조 지속", 통일한국, Vol. 406, pp. 12-13, 2017.
  20. 홍병진, 임재성, 김완주, 조재명, "사이버공격의 정량적 피해평가를 통한 공세적 대응 규모 산정", 융합보안 논문지, Vol. 17, No. 4, pp. 17-29, 2017.
  21. 우정민, "한반도 군사적 현안에 관한 미중관계 고찰 : 북핵, 사드, 한미동맹의 환경하에서", 융합보안 논문지, Vol. 17, No. 3, pp. 83-93,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