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직업군으로부터의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으로의 직무전환을 위한 재교육과정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Re-training Courses for Nurturing Cybersecurity Professionals from Other Occupational Groups

  • 지주연 (중앙대학교/일반대학원 산업융합보안학과) ;
  • 박상호 (중앙대학교/일반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 유하랑 (중앙대학교/일반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 장항배 (중앙대학교/경영경제대학 산업보안학과)
  • 투고 : 2018.01.27
  • 심사 : 2018.03.30
  • 발행 : 2018.03.31

초록

최근 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서 기존 산업환경이 기술중심 구조에서 가치중심으로 확장되는 산업융합 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보안위험 또한 융 복합적으로 변화하여 그 범위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의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비하여 공급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2020년 까지 21,704명의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나, 신규 인력 공급은 11,850명에 그쳐 9,854명의 신규 인력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수급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이버보안 전공교육을 통한 신규인력 양성방법에 관한 연구에 비해 타 직업군의 재직자나 타 학문분야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형 인력양성방법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교육기관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배출 인력이 많은 인문 사회계열의 대표 전공분야들을 선정하여 각 전공분야의 공통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양성과정과 비교한다. 이를 통해 각 전공분야별 배출인력이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이 되기 위해 어떠한 과목들에 대한 재교육(추가교육)이 필요할 것인지 분석하여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재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타 직업군의 재직자나 타 학문분야 전공자를 대상으로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재교육과정 운영 시, 교육대상자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의 수급차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with the arriv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ecurity risks are converging and complexly changing, and the demand of cybersecurity experts is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the largest of the domestic educational institutions, it has the largest number of emissions talent, and selects the representative major field of humanities and society. Then, after analyzing the common curriculum in each major field, compare it with the training course of cybersecurity experts derived through existing previous research. Through analysis results, we try to design a retraining course for cybersecurity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Utiliz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necessary for the subjects of the re-curriculum education.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resolving the supply-demand gap of cybersecurity professionals.

키워드

참고문헌

  1. Seung-ju Kim, "[CHAPTER 6] Cyber Security Policy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dvance Policy Series, pp. 235-271, 2017.
  2. Future Creation Science Department, "Survey on the status of supply and demand of information protection personnel," 2016.
  3. Future Creation Science Department, "SurvJi-Hye Bae, Young-Min Lee, "Analyzing Talent of Top 30 Companies in Korea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alent Development, " pp. 721-729, 2015ey on the status of supply and demand of information protection personnel," 2016.
  4. Jun-in Kwon, Soon-tai Park, Seong-jin Ahn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Domestic Cybersecuity Education with the NICE," Korean Computer Education Society pp. 108-111, 2012
  5. Won-hyung Park, Seong-jin Ahn, "Enhancing Education Curriculum of Cyber Security Based on NICE," Journal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pp. 321-328, 2017.
  6. Korea Internet Promotion Agency, "Establish roadmap for education and training by occupation," 2013.
  7. Korea Internet Promotion Agency, "Research Report on Establishment and Proliferation of Information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2014.
  8. Hyojik-Lee, One-chul Na, So-young Sung, Hang-bae Chang, "A Design on Information Security Core Knowledge for Security Experts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Framework,"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lectronic Commerce pp. 113-125, 2015.
  9. Jeong-Ho Song, Hwang-Rae Kim, "A Study on the NCS based Curriculum for Educating Information Security Manpower,"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Industrial Science, pp. 537-544, 2016.
  10. Yun-soo Lee, Yong-tae Shin, "A design on information securit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for future convergence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Computer Science, pp. 201-215, 2015.
  11. Do-Hyun Kim, Hyun-Je Park, "Nextgeneration IoT technology and services," Electromagnetic wave technology, pp. 2-1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