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ception Changes of Physicians toward Duty to Inform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Revised Medical Law -

설명의무에 대한 의사의 인식 변화 조사 연구 -의료법 개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 Kim, Rosa (Publc Health, Yonsei University)
  • 김로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Received : 2018.09.12
  • Accepted : 2018.09.27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Medical law stipulates regulations about the physician's duty to inform to contribute to patient's self-determination. This law was most recently revised on December 20, 2016, and came into effect on June 21, 2017. There has been much controversy about this, and it has been questioned whether or not it will be effective for physicians to comply with the duty to inform.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s of physicians of whether they observed the duty to inform and their legal judgment about that duty, and analyzed how the revision of the medical law may have affected the legal cognition of physician's duty to inform.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involving 109 physicians over 2 weeks from March 29 to April 12, 2018, and 108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previous research (Lee, 2004). It consisted of 41 items, including 26 item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and legal judgment about the duty to inform, 6 items related to awareness of revised medical law, and 9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9.4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Out of eight situations, the median number of situations that did not fulfill the duty to inform was 5 (IQR, 4-6). In addition, 12 respondents (11%) answered that they did not fulfill the duty to inform in all eight cases, while only one (1%) responded that he/she performed explanation obligations in all cases. • The median number of the legal judgment score on the duty to inform was 8 out of 13 (IQR, 7-9), and the scores ranged from a minimum of 4 (4 respondents) to a maximum of 11 (3 respondents). •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n=26, 52%) were unaware of the revision of the medical law, 27 (25%) were aware of the fact that the medical law had been revised, 20(18%) had a rough knowledge of the contents of the law, and only 5(5%) said they knew the contents of the law in detail.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revised medical law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spondents' sex (p<.49), age (p<.0001), career (p<.0001), working type (p<.024), and department (p<.049). •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revised medical law and the level of legal judgment on the duty to inform.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and cognition of physician's duty to inform are needed,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direct positive effect from the legal regulations per se.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of physicia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redible guideline on the duty to inform within the medical system, and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physicians about their duty to inform and its purpose.

2016년 12월 20일 신설된 「의료법」 상 설명의무 조항과 관련하여, 시행일(2017. 6. 21)이 일 년여가 지난 지금까지도 그 실효성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 10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의료현장에서 의사의 설명 의무 이행/미이행 경험과 그에 대한 법적 판단을 확인하고, 「의료법」 개정이 의사의 설명 의무에 관한 법적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도구는 기존의 한 연구(이윤영, 2004)에서 사용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명의무에 관한 경험 및 법적 판단 관련 26개 문항, 의료법 개정에 관한 인식 관련 6개 문항, 일반적 특성 9개 문항을 포함하였다. SAS 9.4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의료법」에 설명의무에 관한 내용이 신설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응답자가 전체의 절반 이상이었으며 대부분의 응답자가 설명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의무의 이행 혹은 생략에 관한 13개 사례에 대해 법적 판단을 물은 결과 응답자별 평균 8개 사례에 대해 옳은 판단을 내렸으며, 옳은 판단을 내린 개수는 응답자의 「의료법」 개정 사실에 대한 인식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공법적 제재만으로는 설명의무에 대한 의사의 인식 및 이행 강화에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의료체계 내부에서 의료기관의 특성과 의사의 조직문화를 고려한 공신력 있는 설명의무 가이드라인 마련과 설명의무와 그 취지에 대한 의사교육 강화를 제언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흥구, "조직문화가 의료사회 사업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제12권 4호, 2002.
  2. 김천수, "설명의무 의료법 이해할 수 없는 조항 몇 가지", 의협신문(웹사이트), 2017.6.21.
  3. 김천수, "의료계약", 주석 민법 제4판 [채권각칙(5)],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4. 석희태, "의사 설명의무의 법적 성질과 그 위반의 효과", 의료법학 제18권 2호, 2017.
  5. 석희태, "의료계약", 주석 민법 제3판 [채권각칙(5)], 한국사법행정학회, 2000.
  6. 이윤영, 의사의 설명.동의의무에 대한 인식과 실천 조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4.
  7. 이혜용, "병원 조직 내 의사 간 커뮤니케이션 실태와 개선 방안-위계적 의사소통체험을 중심으로", 언어와 언어학 제65권, 2014.
  8. 장희은, 루틴 변화의 선행요인 탐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17.
  9. 정성훈, "인간적 사회와의 작별-니클라스 루만의 사회관을 통한 새로운 사회비판의 출발점 모색", 시대와 철학 제18권 2호, 2007.
  10. 정성훈, "법의 침식과 현대성의 위기-루만(N.Luhmann)의 체계이론을 통한 진단", 법철학연구 제12권 2호, 2009.
  11. 허갑수, "병원조직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2권 1호, 2005.
  12. 홍성수, "법에 의한 인권 보호의 한계와 국가인권기구의 존립근거-'정규 국가기구'로서의 인권위의 기능과 위상", 고려법학 제58권, 2010.
  13. 정미야, 국회입법조사처, "'대리 수술'의 문제점을 통해 본 의료서비스 개선과제", 이슈와 논점, 2015.
  14. 법제처, 의료법[법률 제 14438 호, 2016.12.20., 일부개정] 개정이유서, 2016.
  15. 보건복지부, 의료법 전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의견(개인) 검토결과, 2007.4.23.
  16.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수혈가이드라인 제4판, 2016.
  17.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2016년도 의료분쟁 조정중재 통계연보, 2017.
  18. Cohen D, McDaniel Jr RR, Crabtree BF, Ruhe MC, Weyer SM, Tallia A, et al.(2004).A practice change model for quality improvement in primary care practice.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49(3):155-68. https://doi.org/10.1097/00115514-200405000-00005
  19. Kimberly JR., Quinn RE.(1984).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Managing Organizational Translations.295-313.
  20. Praetorius T.(2016).Improving care coordination using organisational routines. Journal of Health Organization and Management.30(1):85-108. https://doi.org/10.1108/JHOM-07-2013-0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