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ag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Self-image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자아이미지 탐색연구

  • Yang, Hea yo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ekSeok University)
  • 양혜영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4.29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develop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imag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self-image. In this study, participants' self-analysis method and in-depth interview were adopted to analyze the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er image. Also, the narrative of pre-service teachers' a famous painting analysis were re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Finding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self-image analysis work made pre-service teachers more enabled them to expend the significance of teacher's image of role in relation to their career decision and future their teacher's job. Moreover, through the experience of self-analysis work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their own ability to build up unique and healthy image. To foster the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self- image, special class teaching methods for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evoking them to have more positive self-image. This study suggested that self-image analysis work experiences should be emphasized in university class for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육교사의 이미지 그리고 현재 자아이미지와 미래 본인들의 보육교사 이미지를 수업(명화 분석지, 조별토론, 자아이미지 성찰지)과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어떻게 구체화 되어가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 1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보육교사들은 자신들의 현재 자아이미지를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깊이 있게 인식해보는 기회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과정들은 현재 자신의 자아이미지가 보육교사직 선택에 대한 갈등 중이며, 자존감이 낮고 자신감이 없어진 자아이미지, 열심히 보육교사직을 준비 중이지만, 불안한 자아이미지를 지니고 있음을 솔직하게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멈추지 않고, 미래를 위한 자신의 자아이미지를 위하여 예비보육교사들은 스스로 자아이미지를 새롭게 구축하려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보육교사직을 희망하고 있기에 앞으로 본인들에게 필요한 건강한 자아이미지를 위해 현재시점에서 구체적인 실천들을 계획했으며, 더 나아가서 미래에 만나게 될 동료 보육교사들과 함께 보육교사의 올바른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모습으로까지 자아이미지가 성장하고 변화되었다. 한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사실은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절실히 필요했던 것은 본인들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존중해주며, 자신감을 불어넣어주는 교사교육자의 역할이었다. 이는 교사교육자인 본 연구자에게도 시사하고 있는 바가 매우 크다. 예비보육교사들을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에서도 교사교육자는 학생 개개인의 수준과 관심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수업내용을 구체적으로 제공해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위한 정서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도 재인식해야 함을 절감하게 되었다. 가르침과 돌봄이 핵심어가 되는 보육교사의 이미지를 교사교육자인 연구자가 먼저 모범으로 실천해야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숙, 김두규(2017).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예비교사들의 영유아, 교사, 원장에 대한 이미지 분석; 보육실습 전과 후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7(3), 43-65.
  2. 국립국어원(2018). 이미지. http://www.korean.go.kr에서 2018년 3월 13일 인출.
  3. 김대욱(2014). 유아교육과 남자 신입생이 인식하는 유아교사 이미지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8(2), 313-337.
  4. 김나림, 곽경화(2013).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 이미지와 갈등의 변화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4), 277-304.
  5. 김병만, 김미진(2013). 유아교사의 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239-262.
  6. 김양은, 하지영(2015). 예비보육교사의 다짐으로 본 보육교사상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577-599.
  7. 김은아(2017). 예비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유아교사의 이미지 및 역할기대분석-신입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2(6), 143-168.
  8. 김정원, 조혜선(2012). 보육실습 전.후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교사-자화상 그리기와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19.
  9. 김정주, 윤정진(2011). 여고생이 인식한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183-207.
  10. 노승희, 이영진(2017). 반성적 저널쓰기와 피드백을 통한 예비보육교사의 강의 수강 경험 의미와 교수자의 교수 방법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4), 75-101.
  11. 류칠선, 이성희(2005). 한국과 독일 유아교사의 교사이미지평가 비교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1(6), 137-155.
  12. 박영미, 이순자(2014). 저널쓰기르 통한 에비유아교사의 교사이미지와 이상적 유아교사이미지 탐색. 육아지원연구, 9(3), 51-72.
  13. 박은주(2016).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1), 163-182.
  14. 박은혜, 조운주(2007).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1(4), 225-246.
  15. 손원경, 김미진(2016). 일반인이 인식하는 어린이집 교사의 이미지. 한국영유아보육학, 98(5), 89-112.
  16. 서현, 이승은(2013).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 한국보육학회지, 13(3), 223-240.
  17. 신건호(2007).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유아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6(3), 35-46.
  18. 신세니, 오정희(2016). 신입생 예비보육교사들이 인식한 보육교사와 원장의 이미지. 교육혁신연구, 26(2), 109-131.
  19. 오선영, 이옥임(2006). 예비보육교사의 현장적응과 변화과정연구-사전실습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6(2), 139-156.
  20. 안소영(2012).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에 중점을 둔 예비 보육교사교육에서 예비 교사가 경험하는 배움의 과정. 한국보육학회지, 12(3), 39-61.
  21. 안소영(2014). 예비 보육교사교육에서 예비교사가 구성한 가르침의 의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237-260.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2.237
  22.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2). 질적 연구의 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23. 유승연(2013). 유아예비교사의 메타포(methaphor) 활용을 통한 전문성 함양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241-276.
  24. 유지영(2004). 교사의 자아이미지와 교수 효과성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25. 윤숙현(2009). 보육시설 예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 자기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9(3), 41-67.
  26. 이서영, 양성은(2017). 보육실습을 통한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아동, 부모에 대한 이미지 변화 및 진로 선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3), 53-66.
  27. 이훈희, 황병순(2015). 보육시설 이용부모가 인식한 보육교사 이미지: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3), 5-28.
  28. 정명숙, 황해익(2010).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아동학회지, 31(3), 67-82.
  29. 조용환(2004). 질적 연구의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30. 조준오, 송주연, 김윤희(2011). 예비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55-75.
  31. 조형숙, 김정숙(2011).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407-428.
  32. 하지영, 김양은(2016).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보육교사직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보육학회지, 16(3), 1-26.
  33.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2012).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이미지 연구. 아동학회지, 33(5), 201-219. https://doi.org/10.5723/KJCS.2012.33.5.201
  34. 최은정, 곽은순(2017). 신문과 TV뉴스에 나타난 보육교사의 신뢰이미지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6), 95-117.
  35. Berthelsen, D., & Brownlee, J. (2007). Working with toddlers in child care: Practitioner' beliefs about their ro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3), 347-362. https://doi.org/10.1016/j.ecresq.2006.12.002
  36. Minor, L. C., Onwuegbuzie, A. J., Witcher, A. E., & James, T. L. (2002).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2), 116-127. https://doi.org/10.1080/00220670209598798
  37. Ng, W., Nicholas, H., & Williams, A. (2010). School experience influences on pre-service teachers' evolving beliefs about effective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 278-289. https://doi.org/10.1016/j.tate.2009.03.010
  38. Shank, M. J. (2006). Teacher storytelling: a means for creating and learning within a collaborative spa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6), 711 -721. https://doi.org/10.1016/j.tate.2006.03.002
  39. Thomas, L., & Beauchamp, C. (2011). Understanding new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metaph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1), 762-769. https://doi.org/10.1016/j.tate.2010.1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