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ideration of Policy on Qualifi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of Childcare Center Staff for Improving Educare Quality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고찰

  • 김의향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
  • 박진옥 (동원대학교 아동보육복지전공)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qualifi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policies of the child care center staff and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of policy.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 care staff policies and related la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philosophy,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some social backgrounds are the stantards required when designating the child care curriculum and essential subjects for attaining class 2 childcare teacher certificates. This study arises the needs of adjustment of the fields of the childcare curriculum contents, change between mandatory and elective subjects, and renewal of the subject title. The standards for competency in provision of childcare service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has to be considered in the adjustment process. The integrated teacher's certificate for teachers training system is needed in the reserve integration process. The systematization of the data and operating system is needed to manage the target of education efficiently, in order to develop childcare center staff's strengthening ability and professionalism. For in-service educati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in body of operation, a periodical monitoring of the conten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re needed. Voluntary participation of in-service education, and the childcare center staffs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making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parents is needed.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의 질 확보를 위한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보육교직원 관련 정책 및 관련법에 대한 각종 자료와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보육교직원 자격기준에 대해서는 철학적, 발달심리학적, 사회적 배경의 논리적, 합리적 근거에 의한 법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보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 기준, 보육관련 교과목영역 선정과 필수교과목 지정에 대한 명확한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이수 교과목 영역 조정과 필수, 선택교과목 조정과 일부 교과목의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NCS(국가직무능력 표준) 보육 분야의 직무능력 수준도 고려하여 교과목을 선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다섯째, 원장의 자격기준 요건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유보 격차 해소를 위해 보육교사, 유치원교사 통합형 영유아교사 양성체제가 필요하다. 보육교직원 역량 강화와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보수교육 대상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운영체계 및 전산 체계화가 필요하다. 보수교육 운영 주체의 다양화, 보수교육 내용의 정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보수교육 행재정적 지원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보수교육의 자발적 참여, 정부와 부모가 지원하는 보육교직원 전문성 계발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순(2013). 보육교직원 역량강화와 처우개선. 2014 보육현안 과제 전망 컨퍼런스. (재)한국보육진흥원.
  2. 김명순(2014). 보육교사 보수교육 체계 개선 방안. 2015 보육정책 컨퍼런스. (재)한국보육진흥원.
  3. 김명순(2015). 보육의 질과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보육관련 5개학회 춘계 통합합술대회 발표 자료집. (재)한국보육진흥원.
  4. 김은설, 안재진, 최윤경, 김의향, 양성은, 김문정(2009). 보육종사자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5. 김의향(2013). 보육교직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격관리와 처우개선 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6. 김의향, 신혜원(2014). 2급 예비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표준교과개요 개정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4(3), 229-252.
  7. 김태연(2015). 예비보육교사의 전공과목 수강에 따른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3), 193-209.
  8. 보건복지부(1991). 보건복지백서. 서울: 보건복지부
  9. 보건복지부(2002 - 2016).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10. 보건복지가족부(2009). 아이사랑플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11. 보건복지부(2013). 제2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세종: 보건복지부.
  12. 보건복지부(2014).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세종: 보건복지부
  13. 보건복지부(2015). 내부자료(보육교사 양성제도 개편방안). 세종: 보건복지부.
  14. 보건복지부(2016). 보육정책 추진방향 설명회 자료. 세종: 보건복지부.
  15. 보건복지부(2017a). 2017년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16. 보건복지부(2017b).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7. 보건복지부(2017c).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http://www.mohw.go.kr(2017.12.27.보도자료 9면)에서 2018년5월31일 인출.
  18. 서문희, 최혜선(2010). 2010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0-12.
  19. 서문희, 최윤경, 김문정(2011). 2011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1-21.
  20. 서문희, 김혜진(2012). 2012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2-24.
  21. 서문희, 이혜민(2013). 2013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3-28.
  22. 서영숙, 박진옥, 서혜전(2014). 보육교직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5-28.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4.005
  23. 손흥숙(2015). 보육정책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24. 신혜원, 김의향(2015). 2급 예비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보육필수영역 교과목 운영의 방향성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15(4), 347-368.
  25. 신혜원, 김의향(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따른 보육분야 3.4수준 교사양성 방향성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15(4), 347-368.
  26. 안지혜(2015). 영유아인권과 보육교직원의 인권. 2015한국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3-22.
  27. 여성가족부(2006). 새싹플랜-제1차 중장기 보육계획(2006-2010). 서울: 여성가족부
  28. 유해미, 강은진, 조아라(2015). 2015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5-21.
  29. 이미정(2013). 통합교사 자격체계 방안의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13(4), 387-402.
  30. 이미화, 강은진, 박진아, 윤재석, 조아라, 신나리, 신혜원(2015). 보육교직원 자격체계 개편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31. 이소은(2001). 보육제도 개선안-제4주제 보수교육제도의 효율적 운영방안. 보육발전위원회기획단.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이정원, 이혜민(2014). 2014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4-22.
  33. 전윤숙(2017).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 비교. 한국보육학회지, 17(4), 1-30.
  34. 한국보육진흥원(2018). 연도별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를 위한 자격증 발급현황. http://www.kcpi.or.kr에서 2018년 4월15일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