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아기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영아 심리사회발달과 유아기 또래상호작용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Paternal Involvement, Maternal Parenting Stress, Psychosocial Development of Infant during Infancy and Peer Interactions during Childhood

  • Jang, Hyo Eun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on Kyung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8.01.30
  • 심사 : 2018.03.24
  • 발행 : 2018.03.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영아 심리사회발달과 유아기 또래상호작용간의 종단적 관계를 잠재성장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PSKC)자료의 0세부터 2세까지와 4세부터 6세까지의 자료인 1차 ~ 3차 년도와 5차 ~ 7차 년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아버지 양육참여 초기값이 유아기 놀이상호작용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양육참여 초기값과 변화율은 유아기 놀이방해 및 단절 초기값과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 양육참여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유아기 놀이상호작용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영아 심리사회발달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 양육참여 초기값이 유아기 놀이방해 및 단절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영아 심리사회발달의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of infant on the influence of paternal involvement during infancy to children's peer interactions. For these objectives, latent growth modeling was used and adapted to the data taken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ave I (0-year olds) to Wave III (2-year olds) and Wave V(4-year olds) to Wave VII(6-year olds). During a total of six years, 1,018 parent respond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initial statu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paternal involvement(initial status) to children's play interaction(initial status). Second, maternal parenting stress(initial status/change rate) had a longitudinal mediating eff ect on the influence of paternal involvements(initial status/change rate) to children's play disruption-disconnection interactions(initial status/change rate). Third, psychosocial development of infants(initial status/change rate) had a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paternal involvement(initial status/change rate) to children's play interactions(initial status/change rate). Fourth, psychosocial development of infant(initial statu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paternal involvement(initial status) to children's play disruption-disconnection interactions(initial statu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란혜(2001).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적능력-취업모 가정과 비취업모 가정의 비교. 한국일본교육학연구, 5, 189-201.
  2. 곽금주(2014). 영아발달. 서울: 학지사.
  3. 김기현,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5), 141-150.
  4. 김난실(2004). 만 2 세반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미소(2016).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유아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에 미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유아 성별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숙령, 최항준, 정경화, 이윤이(2012). 영아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사회,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1), 551-575.
  7. 김순구(2002). 양육행동 개념 분석. 아동간호학회지, 8(4).
  8. 김순진(2013). 어머니 변인이 자녀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을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숙, 조은영(1996). 어머니의 양육 태도,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아동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구. 인간발달연구, 3, 15-24.
  10. 김유미(2009). 뇌를 알면 아이가 보인다. 서울: 해나무.
  11. 김은설, 도남희, 왕영희, 송요현, 이예진, 정영혜, 김영원(2012). 한국아동패널 201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2. 김정주, 박형신(2017).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3), 29-48.
  13. 김재화(2016). 4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문제 행동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역할. 한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노승희(2009).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만 2세 반 두 영아의 놀이특성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량화, 전일우(2010).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자기조절력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9(3), 51-69.
  16. 문무경(2005). 학습과 발달에 대한 이해. 서울: 창지사.
  17. 박연주(2001). 피학대 경험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잎새, 남은영(2015). 부부공동양육, 아버지 양육참여 및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8(4), 135-153.
  19. 박정희, 장영애(2004).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아동과 권리, 8, 327-353.
  20. 백진주, 이양희(2014).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 수준에 따른 자폐성장애아동의 사회성숙도의 차이. 자폐성장애연구, 14(3), 35-51.
  21. 서석원, 이대균(2014).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57-178.
  22. 서은미(201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송은혜(2008).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애선, 김경후, 유지은(2015). 영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의 사회.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 173-191.
  25. 신애선(2017).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7(4), 121-143.
  26. 신은경, 정아현, 김소아(2014). 아동의 기질과 또래 상호작용 간의 관계: 모의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 149-169.
  27. 양승희(2016).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 행동평가를 위한 부모의 반응성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129-147.
  28. 양윤정(2016). 유아의 자율성이 또래놀이행동과 학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엄은나(2007). 의사소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행동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241-261.
  30. 오수진(201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오정윤(2016). 빈곤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육서비스 질 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옥정(2012). 아버지 애착표상, 아버지 탐색민감성, 유아 애착안정성 및 유아 발달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미현, 최혜순(2014). 아버지 양육참여 관련 연구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1(7), 307-330.
  34. 이선남, 이경옥(2015). 포스터 발표: 유아의 초기발달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5, 536-536.
  35. 이영자, 유효순, 이정욱(2001). 주제중심의 통합적 접근방법에 의한 유아사회교육. 서울: 교문사.
  36. 이은경(2014). 3, 5세 유아의 실행기능과 또래놀이상호작용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이인길(1992). 취학전 자녀의 아버지 역할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주옥(2009).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육아지원연구, 4(1), 115-131.
  39. 임명희, 박윤조(2011).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발달과 영아특성변인, 어머니특성변인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4), 57-82.
  40. 장선아(2014). 유보통합 현장에서 그 길을 묻는다. 61, 유보통합 제 1차 정책 토론회.
  41. 전현정, 정혜원(2015).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7(2), 215-242.
  42. 전홍주, 조수경, 김미정, 최항준(2014). 아버지의 자녀가치, 양육신념, 양육참여가 영아발달특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5(5), 2678-2688.
  43. 정미라, 최혜정, 강수경(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4), 179-199.
  44. 정송희, 전효정(2016). 어머니의 부정적 심리적 특성 및 양육 특성이 자녀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2-213.
  45. 주정혜(2012). 아버지양육참여와만2세영아의사회정서발달과의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숙인(2010). 어머니의 취업 및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지성애, 정재은(2011). 유아의 정서지능과 인지능력, 또래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5(5), 335-358.
  48. 최미숙, 송순옥(2014).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313-332.
  49. 최혜영, 신혜영(2008).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8.
  50. 하지영(2011).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한정현, 심미경(2011). 유아의 정서지능과 아버지의 양육행동과의 관계. 생애학회지, 1(1), 19-31.
  52. 허계형, 이소영, Squires, J., 이준석(2006). K-ASQ 사용지침서.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53. 허혜경, 김민정(201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1),95-110.
  54. 홍성례(1995). 30대 남편의 가족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황선실, 황희숙(2014).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참여도와의 관계. 인지발달중재학회지, 5,71-93.
  56. 황순영, 정영숙, 우수경(2005).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역할만족도 및 유아의사회적 능력.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521-529.
  57. Abidin,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58. Baker, C. E.(2013). Fathers' and mothers' home literacy involvement and children's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family literacy program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17(4), 184-197 https://doi.org/10.1080/10888691.2013.836034
  59. Boivin, M., Hymel, S., & Bukowski, W. M.(1995). The roles of social withdrawal, peer rejection, andvictimization by peers in predicting loneliness and depressed mood in childhood. Development andPsychopathology, 7(4), 765-785.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830
  60. Bronte-Tinkew, J., Carrano, J., Horowitz, A., & Kinukawa, A.(2008). Involvement among resident fathersand links to infant cognitive outcomes. Journal of Family Issues, 29(9), 1211-1244 https://doi.org/10.1177/0192513X08318145
  61. Brownell, C. A.(1986). Convergent developments: Cognitive-developmental correlates of growth inInfant/toddler peer skills. Child Development, 57(2), 275-286. https://doi.org/10.2307/1130582
  62. Brownell, C. A., & Kopp, C. B.(2007). Transitions in toddler socioemotional development. Socioemotionaldevelopment in the toddler years: Transitions and transformations, 1-40.
  63. Coolahan, K., Fantuzzo, J., Mendez, J., & McDermott, P.(2000). Preschool peer interactions and readinessto learn: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peer play and learning behaviors and conduct. Journalof Educational Psychology, 92(3), 458 https://doi.org/10.1037/0022-0663.92.3.458
  64. Coplan, R, J., & Arbeau, K. A.(2009). Peer Interactions and play in early childhood. In K. J. Rubin, W. M. Bukowski, & B. Laursen(Eds.), Handbook of peer interaction, relationships, and groups(pp.143-161). New York: Guilford Press.
  65. Downer, J., Campos, R., McWayne, C., & Gartner, T.(2008). Father involvement and children's earlylearning: A critical review of published empirical work from the past 15 years. Marriage & Family Review, 43(1-2), 67-108. https://doi.org/10.1080/01494920802010264
  66. Duncan, G. J., & Magnuson, K.(2004). Individual and parent-bas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omoting human capital and positive behavior. Human development across lives and generations: The potential for change, 93-135.
  67. Duursma, E., Pan, B. A., & Raikes, H.(2008). Predictors and outcomes of low-income fathers' reading with their toddl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3(3), 351-365. https://doi.org/10.1016/j.ecresq.2008.06.001
  68.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M. P., & Sutton-Smith, B.(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 411-431. https://doi.org/10.1016/S0885-2006(99)80048-9
  69. Fantuzzo, J., LeBoeuf, W., Rouse, H., & Chen, C. C.(2012). Academic achievement of African American boys: A city-wide, community-based investigation of risk and resilience.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0(5), 559-579. https://doi.org/10.1016/j.jsp.2012.04.004
  70. Hooper, S. R., & Umansky, W.(2004).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71. Howes, C., & Leslie, P.(1998). Continuity in children's relations with peers. Social development, 98, 340-349.
  72. Jackson, A. P., Brooks-Gunn, J., Huang, C., & Glassman, M.(2000). Single mothers in low-wage jobs: Financial strain, parenting, and preschoolers' outcomes. Child development, 71(5), 1409-1423. https://doi.org/10.1111/1467-8624.00236
  73. Janssen, A. J., Akkermans, R. P., Steiner, K., de Haes, O. A., Oostendorp, R. A., Kollée, L. A., & Nijhuis-van der Sanden, M. W.(2011). Unstable longitudinal motor performance in preterm infants from 6 to 24 months on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2nd ed.)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5), 1902-1909. https://doi.org/10.1016/j.ridd.2011.03.026
  74. Kline, R.B.(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75. Lamb, M. E., & Lewis, C.(2010). The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father-child relationships in two-parent families.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94.
  76. Levant, R. F., Richmond, K., Cruickshank, B., Rankin, T. J., & Rummell, C. M.(2014). Exploring the role of father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y care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42(3), 193-204. https://doi.org/10.1080/01926187.2013.814390
  77. Lipkens, R., Hayes, S. C., & Hayes, L. J.(1993).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derived relations in an infant.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6(2), 201-239. https://doi.org/10.1006/jecp.1993.1032
  78. Marshall, P. J., Reeb, B. C., Fox, N. A., Nelson, C. A., & Zeanah, C. H.(2008). Effects of early intervention on EEG power and coherence in previously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Romania.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0(3), 861-880. https://doi.org/10.1017/S0954579408000412
  79. Mathieson, K., & Banerjee, R.(2010). Pre-school peer play: The beginnings of social competence. Educational and Child Psychology, 27(1), 9.
  80. Meaney, M. J.(2010). Epigenetics and the biological definition of gene x environment interactions. Child Development, 81(1), 41-7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9.01381.x
  81.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1). Childcare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 at 24 and 36 months: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2(5), 1478-1500. https://doi.org/10.1111/1467-8624.00361
  82. OECD.(2001). Starting strong 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Paris.
  83. Oh, J. I.(2012). Relation betwee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development of child's soci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84. Qi, C. H., & Kaiser, A. P.(2003). Behavior problems of preschool children fromlow-income families: Review of the literature.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3(4), 188-216. https://doi.org/10.1177/02711214030230040201
  85. Rinaldi, C. M., & Howe, N.(2012).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yles and associations with toddlers' externalizing, internalizing, and adaptive behavio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2), 266-273. https://doi.org/10.1016/j.ecresq.2011.08.001
  86. Roggman, L. A., Boyce, L. K., Cook, G. A., Christiansen, K., & Jones, D.(2004). Playing with daddy: Social toy play, early head start, and developmental outcomes. Fathering, 2(1), 83. https://doi.org/10.3149/fth.0201.83
  87. Rubin, K. H., Bukowski, W. M., & Parker, J. G.(1998).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88. Sameroff, A.(2010). A unified theory of development: A dialectic integration of nature and nurture. Child Development, 81(1), 6-22.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9.01378.x
  89. Thoits, Peggy A.(2011). Mechanisms linking social ties and support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52, 145-161. https://doi.org/10.1177/0022146510395592
  90. Zeanah, C. H., Boris, N. W., & Larrieu, J. A.(1997). Infant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risk: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6(2), 165-178. https://doi.org/10.1097/00004583-199702000-00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