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Work Environment on their Performance of Roles: Focusing on the Regul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 장성예 (나무심리발달연구소) ;
  • 이주연 (세계사이버대학 상담심리학과)
  • Jang, Sung Ye (Namu Psychological Development institute) ;
  • Lee, Ju Yeon (Dept of. Counseling Psychology, World Cyber College)
  • 투고 : 2018.01.30
  • 심사 : 2018.03.24
  • 발행 : 2018.03.30

초록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지역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PASW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별로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와 역할수행과는 부적 상관관계, 직무환경, 자아탄력성과 역할수행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에는 부적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인 원장과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 복지환경, 교사전문성 지원, 운영 및 의사결정의 요인이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 대상 프로그램이나 승급 교육시 직무스트레스는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이 반드시 개입되어야 할 것이라 본다. 또한 보육교사의 복지나 처우, 보육환경 등의 직무환경에 대한 개선이 지속적이며, 가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본다. 나아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적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아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ego resilience has regulating effects in cor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work environment and their performance of roles with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Incheon. PASW 20.0 was employed to conduct frequency, percentage,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of the study questi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is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ir performance of roles. Second, work environment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such as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welfare environment, support for teacher expertise, and factors related to operation or decision making are found to influence their performance of roles. Lastly, in correlation between work environment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performance of roles, ego resilience has regulating effects, and so does it in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heir performance of rol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일영(2004). 시설형태와 개인적 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정신건강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성자(2011).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영란, 문영경(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4. 김리진, 홍연애(2013).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55-74.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055
  5. 김영실, 신애선, 김선미, 곽경화(2014). 영유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1), 73-90.
  6. 김신혜(2007).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현숙(2013). 교직경력에 따른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노수진(2014). 영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보육효능감의 조절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노원중(2009). 축제서비스스케이프가 축제 및 지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게슈탈트 그룹핑법칙의 조절 효과를 포함하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문미선(2007).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복매(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2015).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129-148.
  13.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형경(2016).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관련 변인: 직업 선택 동기, 직무 환경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배성희, 김연화, 한세영(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1), 233-258.
  16. 서근복(2009). 보육교사 근무환경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충북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서정복, 정영숙, 장혜자(2003). 유치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유형과 역할수행 유형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지, 12(5), 595-604.
  18. 성낙숙(2012). 파티이벤트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14(1), 1-13.
  19. 손아랑(2009).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8, 81-101.
  20. 송정애, 장정순(2008).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4), 229-249.
  21. 신은수, 권미경(2004). 유치원 초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과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타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0, 55-75.
  22. 신혜영(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신희연(2004).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안점님(2017). 보육교사의 직업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 및 역할수행능력 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오숙자(2015).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심리적 소진이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2), 45-64.
  27. 오종문(2010).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 역할수행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연구.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유지연, 황혜정(2014).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131-146.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131
  29. 윤희정(2013). 보육교직원의 직업전문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영석, 이세나(2005). 보육교사의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교사의 개인적 변인과 상황변인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43-74.
  31. 이용옥(2015). 보육교사의 성격강점 및 직무스트레스와 역할수행 간의 관계.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은숙, 이경님(201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효능감 및 보육헌신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107-127.
  33. 이정희, 조성연(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4), 559-570.
  34. 이주연, 지명원(2012).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6), 191-200.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191
  35. 임옥희(2004).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직무만족. 한국가정과학회지, 7(1), 101-111.
  36. 임해은(2014).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지명원, 이주연(2012). 정서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2), 249-263.
  38. 정정란(2016). 보육교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6(4), 51-75.
  39. 정효정(200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변인에 관한 연구: 정부지원시설과 민간시설간의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조방제(200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요구분석을 통한 양성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42. 한선희(2014). 어린이집 영아반과 유아반 교사의 보육신념 역할수행인식 및 직무만족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한유진(2009). 시간연장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Block, J. H.(1982).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ln W. A. Collins(Ed.), Development of cogtr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ogy, 13, (pp.39-lOl).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5. Caldwell, B. M., & Bradley, R. H.(1984).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Little Rock: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46. DeBord, K. B., & Reguero de Atiles, J. T.(1991). Teacher perception of mixed-age groupings of childre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60 047.
  47. Dunn, L.(1993). Proximal and distal features of day care quality and children's develop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167-192.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89-4
  48. Hoy, W. K., & Miskel, C. G.(2005).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7th ed.). New York: McGraw-Hill.
  49. Klohnen, E. C.(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50. Pence, A. R., & Goleman, H.(1991). The relationship of regulation, training and motivation to quality of care in family day care. Child & Youth Care Forum, 20(2), 83-101. https://doi.org/10.1007/BF00756691
  51. Wallace, G. R., & Kass, S. E.(1996). Teacher stress and self-concep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279626.

피인용 문헌

  1.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대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vol.21, pp.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21.21.02.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