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생태에 따른 철새의 종·개체수 관계 분석 : 신안군 배낭기미습지

Analysis on Relationships of Migratory Birds Species·Population due to Water-Ecosystem : Shinan-gun Benangkimi wetland

  • 김동현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 이승오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8.04.27
  • 심사 : 2018.06.27
  • 발행 : 2018.06.30

초록

전라남도 완도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소재의 철새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는 배낭기미 습지는 다양한 종과 많은 수의 철새들이 관찰되는 장소이다. 철새의 서식환경의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배낭기미습지의 수리 수문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수리 수문현장조사와 철새 중간 기착지 서식지이용 실태조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배낭기미습지의 수리 수문조사는 2015~2016년(2개년)의 기간 중 연 1~2회 현장계측을 실시하였다. 지형 및 지질, 강우, 수리특성, 습지의 상태에 따라 크게 4개의 구역으로 분류하였고, 철새조사 지역과 동일한 3구역과 습지의 유출부 1구역을 조사 및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봄철과 가을철 철새의 이동시기에 배낭기미습지로 도래하는 이동성 소형 조류들을 중점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배낭기미습지 내 서식환경을 크게 3개의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각 지역에 따른 개체수와 종을 조사한 결과, 각 구역별 수심, 퇴적물 두께와 염도에 따라 서식환경이 달리 나타났으며, 철새가 선호하는 수리 수문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철새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는 배낭기미습지의 과학적 관리방안을 위해 사용될 것이고, 서식환경과 기초 수리 수문자료의 연관성 검토를 통해 생태-수리학의 기초자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Benangkimi wetland, which serves as a stopover place for migratory birds in the Dadohae Marine National Park in Wando-gun, Jeollanam-do, is a place where various species and a large number of migratory birds are observed.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and scientific management plan for the habitat environment of migratory birds, we carried out field survey of Benangkimi wetland. The field survey and survey on habitat use of migratory birds were conducted in parallel to obtain the basic data of hydraulics and hydrology. The hydraulic and hydrological survey of Benangkimi wetland was conducted 1-2 times a year during the period of 2015-2016 (two years). It was classified into 4 sectors according to the topography and geology, rainfall,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wetland conditions. The 3 sectors same as the migratory birds survey sector and the 1 sector as the inflow of the wetland were analyzed. The survey also focused on small migratory birds arriving at Benangkimi wetland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seas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opulation and species in each section, the habitat environmen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sediment thickness and salinity. Migratory birds prefer hydraulic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ill be used for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Benangkimi wetland, which serves as a stopping point for migratory birds, and it will contribute to basic data of ecology - hydraulic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at environment and hydrological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6). Monitoring Manual Chapter 14 : Salinity, Epa-842-b-06-003.
  2.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 Methods for evaluating wetland condition #20 Wetland Hydrology. EPA-822-R-08-024.
  3. Edwards, T. K., Glysson, G. D. (1999). Field methods for measurement of fluvial sediment 3(C2). US Geological Survey; Information Services.
  4. 국립공원관리공단 (2016). 조류조사.연구 결과 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5. 국립공원관리공단 (2015). 도서지역 철새 중간기착지 서식환경 연구.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6. 권영수, 김동원, 이후승, 권인기, 백운기, 유정칠 (2007). 경남 홍도일대에서 번식하거나 중간기착하는 조류. 한국조류학회지. 14(1): 51-60.
  7. 김동원, 권영수, 유정칠 (2009). 경남 홍도를 경유하는 백로와 조류의 이동방향. 한국조류학회지. 16(2): 141-145.
  8. 백충렬, 이진희, 오태훈, 염광석, 한일훈, 정진우, 조삼래 (2010). 수위변동에 따른 오리류의 서식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17(3): 205-216.
  9. 최진환, 문영민, 신주열, 유정칠 (2010). 수위에 따른 이용 가능한 취식지 면적의 변화와 월동 수금류와의 관계, 한국조류학회지. 17(4): 303-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