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on Socio-Integrativ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Housings - Focus on Sohaengju, Borin House and Ddabok House Cases in Metropolitan Area -

공동체주택의 사회통합적 계획 특성 비교분석 연구 - 수도권 내 소행주, 보린주택, 따복하우스 사례를 중심으로 -

  • 신유진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18.03.14
  • Accepted : 2018.05.14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Korea achieved compressed growth through rapid industrialization. However, the housing policy of this period was driven by the provision of large scale public rental housing and redevelopment of residential areas, resulting in community collapse and social exclusion. Meanwhile, Korean society needs new housing types and management methods as housing demand varies due to low birthrate, aging, and growing numbe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community that solves these problems by themselves, it is necessary to plan housing that can enhance community in residential space. In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gration plan of community housing which is supplied mainly in the metropolitan area. According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housing cases designed to enhance social integration by promoting community activatio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lexibly apply the type and range of community housing. Second, It is needed to have a housing plan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resident community. Third, social integrated community housing requires not only physical planning, but also mechanism to operate it.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기,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아카넷, 서울, 2004
  2. 국토연구원,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파주, 한울, 2009
  3. 국토연구원, 현대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파주, 한울, 2013
  4. 김영종, 복지사회의 개발: 지역 및 공동체 접근, 서울, 학지사, 2014
  5. 박호성, 공동체론: 화해와 통합의 사회 정치적 기초, 파주, 효형출판사, 2009
  6. 신용하, 공동체이론,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5
  7. 이상안, 공동체 사회통합, 서울, 박영사, 2005
  8. 이종수, 한국사회와 공동체, 다산출판사, 서울, 2008
  9. 이종수, 공동체, 유토피아에서 마을 만들기까지, 서울, 박영사, 2015
  10. 한국도시연구소, 도시공동체론, 서울, 한울, 2003
  11. 황희연, 도시생태학과 도시공간구조, 서울, 보성각, 2002
  12. 강내영, 주거실험공동체 빈집에 대한 연구,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석사논문, 2012
  13. 강성혁, 사회통합형 도심 노후주거지 재생에 관한 연구, 고려대 건축공학과 석사논문, 2007
  14. 강세진, 공동체주택: 도시재생, 사회적 경제, 마을공동체 활성화의 기반,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4
  15. 강세진, 진남영, 이용환, 경기도형 공동체 주거 모델 발굴 연구, 경기연구원, 2015
  16. 권혁삼, 정소이, 백혜선, 최은희, 정재진, 김성훈, 다양한 수요대응을 위한 주택 공급유형 다변화에 관한 기초연구, 국가건축정책위원회, 2015
  17. 김상록, 도시지역 소규모 공동주택의 주거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석사논문, 2014
  18. 김준영, 김혜영, 사회통합 지표 개발 및 16개 광역시도별 사회 통합 수준평가, 복지행정논총, 제22권, 제2호, 2012
  19. 김희연,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지역중심의 복지체계 구축, 이슈 & 진단, 제81호, 2013
  20. 남원석, 박은철, 1인가구시대 맞춤형 주거해법 사회임대형 공동 체주택 활성화, 서울연구원, 2015
  21. 남원석, 서울시 공동체주택 정책의 현황과 과제, 건축, 제60권 제6호, 2016
  22. 박경옥, 류현수, 성미산마을 공동체주거 계획과정의 거주자와 코디네이터의 의견조정 사례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3권, 제3호, 2013
  23. 박경옥, 이상운, 류현수, 거주자참여 코하우징의 평면조정에서 나타난 계획과정의 특성,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4권, 제4호, 2013
  24. 박경옥, 정지인, 도심 마을공동체 내 거주자의 상호작용과 공동체의식,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5
  25. 박슬기, 고령자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거공간 및 프로그램 계획에 관한 연구, 전남대 건축공학과 석사논문, 2017
  26. 변미리,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서울연구원, 2011
  27. 봉인식.이외희.장윤배, 새로운 주택 정책 패러다임, 경기개발연구원, 이슈&진단, 제83호, 2013
  28. 배순석, 천현숙, 진정수, 전성제, 김승종, 도시주거공간의 사회 통합 실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6
  29. 신운경, 김은미, 우현혜, 박철수, 주거단지의 사회통합을 위한 해외 건축계획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2호, 2008
  30. 신유진, 이연숙, 국내외 공공임대주택의 사회통합 계획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6권, 제5호, 2017
  31. 오영은, 이정화, 사회적관계망 크기와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이 단독가구 농촌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제43호, 2012
  32. 오혜진, 1인 가구 공동체주택의 공유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 건축공학과 석사논문, 2016
  33. 유명소, 서울시 코하우징의 거주자 만족도와 지역공동체의 관계,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박사논문, 2017
  34. 유명소, 남진, 소규모 코하우징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제52권, 제1호, 2017
  35. 이연숙, 전은정, 김민주, 안소미, 일본의 보찌보찌나가야 다세대 공동주택의 유형학적 특성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8권, 제4호, 2017
  36. 이종수, 주거공동체에 대한 애착과 신뢰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2015
  37.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지역사회학, 제8권, 제1호, 2006
  38. 이진우, 이주영, 마문호, 황연숙, 사용자중심 디자인 관점에서의 국내 코하우징 공동생활시설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 인학회논문집, 제24권, 제4호, 2015
  39. 이혜진, 사회적 혼합아파트의 사회통합효과 연구, 연세대 주거 환경학과 석사논문, 2011
  40. 장용준, 서울시 공공주도형 공동체주택의 주거만족도 연구,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석사논문, 2016
  41. 조명래, 주택개발에서 사람중심 주거재생으로, 공간과 사회, 제 23권, 제4호,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42. 조문정, 사회적 자본과 공동체 의식 향상을 위한 공동공간의 역할, 성균관대 국정관리대학원 석사논문, 2014
  43. 조정현, 코하우징 계획 시 주민참여 워크숍 프로세스 분석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7호, 2011
  44. 조정현, 최정신, 미국 코하우징의 특성 및 주민참여 현황,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2권, 제2호, 2011
  45. 채종헌, 김종수, 홍성우, 전지훈,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사회통합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4
  46. 천지영, 도시지역 주거 유형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비교 분석,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석사논문, 2009
  47. 천현숙, 대도시아파트 주거단지의 사회자본, 한국 사회학, 제38권, 제4호, 2004
  48. 천현숙, 김선희, 도시재생사업지구 거주자 유형별 사회적 자본 차이 분석 연구, 국토연구, 제63호, 2009
  49. 최상희, 김두환, 김홍주, 신우재, 소규모 계획공동체 특성을 고려한 주거단지 계획방향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013
  50. 최은진, 사회적 자본으로서 사회적 네트워크의 실태 및 주거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도시계획전공 석사논문, 2010
  51. 최준규, 최조순, 윤소은, 경기도 따복공동체의 개념 및 추진방향, 경기연구원, 2015
  52. 최준규, 이병호, 김용국, 김중성, 윤소은, 따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마을공동체, 사회적 경제 사례연구, 경기연구원, 2015
  53. 하성규,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주택연구, 2009
  54. 한민정, 최정신, 이상호, 덴마크와 스웨덴 코하우징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6권, 5호, 2005
  55. 황한선, 공동체주택 사례분석틀 통한 프로그램 연구, 전남대 건축공학과 석사논문, 2017
  56. 홍인옥, 주거공동체와 재건축사업, 도시연구, 제7호, 2001
  57. Atkinson, R. and P. Willis,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 Practical Guide, Housing and Community Research unit, 2006
  58. Bourdieu, P, The Forms Of Capital, Richardson, J.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1986
  59. Fukuyama, F, Social Capital and Civil Society, Prepared for delivery at the IMF Conference on Second generation Reforms, 1999
  60. Hillery.G., Di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1955
  61. McCracken, M, Social Cohesion and Macroeconomic Perfor-mance, Centre for the Study of Living Standards (CSLS), Conference: The State of Living Standards and the Quality of Life, Ottawa, Ontario, Canada, 1998
  62. Putnam, R. The Prosperous Community -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 1993
  63. 국토교통부,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 로드맵, 2017
  64. 기노채, 협동조합주택의 공급과 전망, 한국주거학회 발표자료, 2017
  65. 따복하우스 입주민 유형, 규모별 디자인 가이드라인, 경기도청, 2016
  66. 따복하우스 입주자 모집 공고문, 경기도시공사, 2016
  67. 따복하우스 1차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 민간사업자 공모지침서, 경기도시공사, 2016
  68. 맞춤형 공동체주택 보고서, SH공사, 2017
  69. 박경옥, 공동체주택 거주자의 주요구와 생활, 서울시 공동체주택 세미나 보고서, 2017
  70. 서울시 공동체주택 보고서, 서울특별시청, 2017
  71. 성미산마을과 대안주택 보고서, 한국주거학회 추계견학, 2017
  72. 주민주도의 소규모 주택정비 활성화 방안, 도시재생 뉴딜을 준비하는 정책 토론회 보고서, SH공사, 2017
  7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사회통합의식에 대한 연구, 사회통합위원회 보고서, 2010
  74. 홀몸어르신 맞춤형 공공원룸주택, 보린주택현황 보고서, 금천구 복지지원과, 2017
  75. 경기도 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만들기 지원에 관한 조례, 경기도 조례 제4860호, 2015
  76. 서울특별시 공동체주택 활성화 지원 등에 관한 조례, 서울특별시조례, 제6598호, 2017
  77. 경기도청, www.gg.go.kr.
  78. 경기도시공사, www.gico.or.kr.
  79. 경기도 따복공동체 지원센터, www.ddabok.or.kr.
  80. 금천구청, www.geumcheon.go.kr
  81. 따복하우스, www.ddabokhous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