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alysis of Maritime Industry Structure on Chungnam Province

충남지역 해양산업 구조 분석 연구

  • Received : 2018.04.14
  • Accepted : 2018.06.2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Maritime industry is recognized as a new value-adding and growth engine industry. It provides high value by creating clusters centering on ports. Advanced international ports are also clashing ahead to create clusters, boost profits,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policies for the establishment and upbringing of maritime industrial clusters in 2015.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which maritime industry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each region and to establish an integration strategy through maritime industrial clusters.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maritime industry in the Chungnam province, which is expected to deal with raw materials(mainly oil products), container throughput, and opening of ferry route with China's port. The study analyzed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maritime industry and classified the industry into 5 major categories, 21 sub-categories, and 84 sub-categories in shipping and logistics, shipbuilding, fishery, marine tourism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Based on the reclassified maritime industry, the structure of the maritime industry in the Chungnam province was analyzed by using location quotient(LQ) and Shift-Share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 fisheries industry showed the highest value(1.718) in the analysis of LQ, followed by the marine tourism industry(1.092), shipbuilding industry(0.823) and shipping and logistics industry(0.789). The total effect of the maritime industry in Chungnam province was 36,315 and the net growth effect, excluding the national growth effect, was estimated to be 21,321. Based on these results, we classify the maritime industry in the Chungnam province as comparative advantage and comparative disadva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ormulating strateg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aritime industry cluster in the Chungnam province in the future.

해양산업은 새로운 부가가치산업 및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항만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해외 선진항만들도 앞 다투어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수익창출과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년 해양산업클러스터 조성과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따라서 각 지역별로 어떤 해양산업이 비교우위에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해양산업클러스터를 통한 집적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류를 중심으로 한 원자재 처리와 함께 컨테이너 처리, 중국과 카페리 항로 개설을 앞두고 있는 충남지역을 대상으로 해양산업 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해양산업 분류에 대한 기존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해운 물류업, 조선업, 수산업, 해양관광업, 기타업 5개의 대분류와 21개 중분류, 84개 소분류로 해양산업을 재분류하였다. 재분류한 해양산업을 기준으로 입지계수와 변이할당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충남의 해양산업 구조를 분석하였다. 충남지역 해양산업 구조 분석결과, 입지계수 분석에 있어서 수산업이 1.7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해양관광(1.092), 조선업(0.823), 해운 물류업(0.789)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충남지역 해양산업의 총 성장효과는 36,315명으로 나타났고 국가성장효과를 제외한 순성장효과는 21,321명으로 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충남지역 해양산업 중 비교우위, 비교열위에 있는 산업을 분류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충남지역 해양산업클러스터 구축 시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호(2014), 비교적 관점에서 지역산업구조의 변이할당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8권 제3호
  2. 김운수(2010), 인천시 해양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인천발전연구원.
  3. 김운수.이명화(2015), 인천항 해양경제특별구역 도입에 관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4. 모수원(2017), 불변시장점유율분석, 변이할당분석, 국별비교우위지수, 국별비교열위지수를 이용한 광양항의 수출경쟁력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3집 제3호 pp.89-102.
  5. 박병주(2013), 해양경제특별구역법 제정추진과 개선과제, 경남정책Brief.
  6. 송계의(2015), 해양경제특구의 성공 요인,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집 제1호, pp.51-68.
  7. 우종균(2016), 해양클러스터의 생태계 변화와 항만물류정책, 2016년 인천국제물류포럼.
  8. 유영명.김형빈.주수현(2010), 부산지역 산업별 구조 변동에 따른 경쟁력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4권 제3호
  9. 이춘근(2006), 지역산업연관분석론, 학문사
  10.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9), 해양기반의 신국부 창출전략(I).
  11.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9), 글로벌 해양전략수립 연구.
  12. 해양수산부(2014), 해양경제특별구역 운영 기본구상 수립을 위한 연구.
  13. 해양수산부(2015), 해양경제특별구역 제도 도입 타당성검토용역.
  14. 허윤수(2013), 북항 재도약을 위한 선택, 해양경제특구지정, BDI포커스.
  15. Juan.C. et al.(2013), Marine Economy : A Proposal for its definition in the European Union.
  16. OECD(2016), The Ocean Economy in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