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효석 단편소설 「돈(豚)」에 나타나는 동물상징

The Animal symbol in Lee Hyo-seok's short story

  • 정문권 (배재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투고 : 2018.05.24
  • 심사 : 2018.06.18
  • 발행 : 2018.06.28

초록

이 연구는 이효석 단편소설 "돈(豚)"에 나타나는 동물상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발현되는 작가의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효석은 문학적 전환을 꾀하였다고 평가받는 1933년 이후부터 두드러지게 동물상징을 사용하였다. 그의 소설에서 동물상징은 비유적 소재를 넘어서 작품의 주제 의식을 구현하는 핵심적인 표상으로 의미가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물상징의 활용에는 작가의 뚜렷한 의도가 숨어있다. 이효석의 순수문학의 출발점으로 평가받는 "돈(豚)"에는 돼지가 주요 상징물로 사용된다. 작품 속에서 돼지는 가난한 농민의 자본으로 상징되며, 동시에 주인공에게 욕망을 일으키는 기폭제로 작용한다. 또한 소설의 결말에 나타나는 돼지의 죽음은 자본의 증식도, 욕망의 실현도 꿈꿀 수 없는 당대 농민의 비참한 현실을 내재하는 상징물로 기능한다. 그렇기 때문에 "돈(豚)"은 표면적으로는 순수문학적 성격을 보이면서도 내재적으로 비참한 농민의 현실을 고발하는 작가의식이 담긴 작품이다. 즉, "돈(豚)"은 리얼과 낭만의 중간적 입장을 구현하기 위하여, '동물상징'이라는 이효석만의 소설작법이 구현된 작품인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animal symbolism shown in the novella by Hyoseok Lee and seeks to shed light on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expressed through such symbolism. Lee used animal symbolism since 1933 which was a literary turning point for him. Animal symbolism in his novels are more than an analogical theme but is used as a core meaning and image. This has a clear intention of the author underneath. Novella which is seen as the starting point of pure literature for Lee, uses the animal pig as a key symbol. The pig serves as a symbol of the capital for poor farmers, while also serving as an amplifier for the desires of the protagonist. The death of the pig that appears at the closing of the novella stands for the tragic reality of the farmers of the time who could not seek growth in their capital or realization of their desires. As such, has characteristics of pure literature but also represents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who brings attention to the tragic reality of farmers. That is, is a work that realized the unique writing style of Lee and his animal symbolism to bring to life a middle way appraoch to realism and romanticism.

키워드

참고문헌

  1. E. Cassirer, 김병옥 역, 인간론, 대양서적, 1975.
  2. 정문권,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동물 상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7.
  3. 이재선, "동물의 문학적 상징: 문학의 동물관," 한국문학주제론, 서강대학교 출판부, pp.489-526, 2009.
  4. 이수정, "현대소설과 동물의 주제학," 한국문학이론과비평, 제6권, 제4호, pp.55-81, 2002.
  5. 김치수, 문학과 비평, 문학과지성사, 1984.
  6. 정현숙, "이효석의 소설론과 그 실제," 어문연구 제81권, pp.237-256, 2014.
  7. 박재익, "이효석 소설에서의 '애욕'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3호, pp.23-48, 2015.
  8.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9. 폴 리쾨르, 윤철호 역, 해석학과 인문사회과학 언어, 행동 그리고 해석에 관한 논고, 서광사, 2003.
  10. 조명기, "이효석의 <山>과 <들>에 나타난 자연의 성격," 한국문학논총, 제37권, pp.129-148. 2004.
  11. 박재익, "이효석 소설에서의 애욕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3호, pp.23-48, 2015.
  12. 이효석, "낭만.리얼 중간의 길," 조선일보, 1934.1.13.
  13.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79.
  14. 이효석, "현대적 단편소설의 상모진실의 탐구와 시의 경지," 조선일보, 1938.4.7.-1938.4.9.
  15. 이효석, "화분을 쓰고-창작여담," 인문평론, 1939.12.
  16. 조성제, 무속에 살고 있는 우리 상고사, 민속원, 2005.
  17. 이승훈, 문학상징사전, 고려원, 1995.
  18. 이효석, <돈(豚)>, 이효석 단편전집1, 가람기획, pp.348-355, 2006.
  19. 김건형, "동양주의 담론에 대응하는 이효석의 서구 표상과 댄디로서의 조선문학," 구보학보, 제14집, pp.97-138, 2016.
  20. 이효석, "서구정신과 동방정취-육체문학의 전통에 대하여," 조선일보, 1938.7.31.-193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