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Non-compliance of Treatment and Family Support on Depression in Diabetic Patients with Hypoglycemia

저혈당을 경험한 당뇨병 환자의 치료지시 불이행,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손혜경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 정경숙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8.05.16
  • Accepted : 2018.06.12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Depression in Diabetic patients with hypoglycemia. This study used 119 questionnaires from Diabetic patients with hypoglycemia in B city to collect data from October 1, 2015 to March 15, 2016.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Depression in Diabetic patients with hypoglycemia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on-Compliance of Treatment(r=42, p<.001),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amily support(r=-.38, p<.0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were Family support(${\beta}=-.29$, p<.001), Drug therapy(${\beta}=.21$, p=.020), Dietetic therapy(${\beta}=.23$, p=.014), Monthly average income over 3,000,000won (${\beta}=-.20$, p=.014), Monthly average income 2,000-3,000 thousand(${\beta}=-.17$, p=.033), it was explained by 30.0%.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a family support program to reduce the depression of diabetic patients with hypoglycemia.

본 연구는 저혈당을 경험한 당뇨병 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대상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2015년 10월 1일부터 2016년 3월 15일까지 B광역시 소재 일 병원의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한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증,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증(Scheffe's-test), Pearson's correlation,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우울은 치료지시불이행(r=.42,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족지지(r=-.38, p<.001)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지지(${\beta}=-.29$, p<.001), 치료지시불이행의 하위영역인 약물요법(${\beta}=.21$, p=.020), 식이요법(${\beta}=.23$, p=.014), 한 달 평균 수입 300만원 이상(${\beta}=-.20$, p=.014), 한 달 평균 수입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beta}=-.17$, p=.033)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30.0%를 설명하였다(Adj. R2=.30, F=20.06, p<.001).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족지지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당뇨병학회,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http://www.diabetes.or.kr/pro/news/admin.php?category=A&code=admin&number=1546&mode=view, 2018.
  2. 박이병, 백세현, "우리나라 당뇨병의 역학 적 특성-대한당뇨병학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동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당뇨병, 제33권, 제5호, pp.357-362, 2009.
  3. M. M. Funnell, T. L. Brown, B. P. Childs, L. B. Hass, G. M. Hosey, B. Jensen, M. Maryniuk, M. Peyrotet, J. D. Piette, and D. Reader, L. M. Siminerio, K. Weinger, M. A. Weiss,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Diabetes Care, Vol.33, No.1, pp.89-96, 2011.
  4. J. M. Lachin, I. J. Wrchard, and D. M. Nathan, "Update on Cardiovascular Outcomes at 30 Years of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Epidemiology of Diabetes Interventions and Complications Study," Diabetes care, Vol.37, No.1, pp.39-43, 2014. https://doi.org/10.2337/dc13-2116
  5. R. McCoy, H. V. Houten, J. Z. Nilay Shah, and R. W. Steven Smithet, "Self-Report of Hypoglycemia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ype 1 and Type 2 Diabetes," Endocrine practice, Vol.19, No.5, pp.792-799, 2013. https://doi.org/10.4158/EP12382.OR
  6. 문성실,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저혈당 경험, 자가관리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7.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진료지침," 2015. http://www.diabetes.or.kr/pro/publish/guide.php?code=guide&year_v=2015&mode=view&number=625, 2018.05.30.
  8. 안규정, "당뇨병환자에서 저혈당의 임상적 중요성," 임상당뇨병, 제9권, 제2호, pp.106-109, 2008.
  9. S. Barendse, H. Singh, B. M. Frier, and J. Speigh, "The impact of hypoglycemia on quality of life and related patient-reported outcomes in type 2 diabetes: A narrative review," Diabetic Medicine, Vol.29, pp.293-302, 2012. https://doi.org/10.1111/j.1464-5491.2011.03416.x
  10. R. J. Anderson, K. E. Freedland, R. E. Clouse, and P. J. Lustman, "The prevalence of comorbid depression in adults with diabetes: A meta-analysis," Diabetes Care, Vol.24, pp.1069-1078, 2001. https://doi.org/10.2337/diacare.24.6.1069
  11. L. E. Egede and C. Ellis,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metabolic control and quality of life in indigent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Vol.12, pp.257-262, 2010. https://doi.org/10.1089/dia.2009.0143
  12. 김선향, 강희선, "제 2형 당뇨환자의 우울, 자가간호 이행과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78-185, 2008.
  13. 서경산, 송미순, "당뇨병이 있는 노인의 행위 변화 동기 요소와 자기관리 행위," 근관절건강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08-318, 2012.
  14. 김동배, 채수진, 조완기, "당뇨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노년교육학회, 제29권, 제1호, pp.101-116, 2009.
  15. P. J. Goodnick, J. M. Henry, and M. V. Buki, "Treatment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 Clin Psychiatry, Vol.56, pp.128-136, 1995.
  16. 전영미, 노인 당뇨병 환자의 치료지시 불이행 정도와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7. 송갑선, 입원 당뇨병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8. 최범성, 김세웅, 박선철, 심세훈, 송후림, 장성혜, 최재성, 이호성, 김여주, 박상호, 권영준, 이화영, "당뇨병을 가진 노인 환자에서의 우울증 유병률 조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제54권, 제4호, pp.475-481, 2015.
  19. L. A. Hay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xercise of Self-Care agency of diabetics and reported compliance to the diabetics regimen, H. S. N, Medical college of ohio at Toledo, contents Pub, 1987.
  20. 심보민, 당뇨병 교육을 받은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수행 방해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1. 김재희, 노인 당뇨병환자의 치료지시이행과 당화혈색소와의 관계,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2. 박오장, 사회적 지지가 당뇨환자의 역할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
  23.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Fen Psychiatry, Vol.4, pp.53-63, 1967.
  24.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제10권, 제1호, pp.98-113, 1991.
  25. 한홍무, 염태호, 신영우, 김교헌, 윤도준, 정근재, "Beck Depression Inventory(BDI)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과학, 제25권, 제3호, pp.487-500, 1986.
  26. 신호철, 김철환, 박용우, 조비룡, 송상욱, 윤영호, 오상우, "우울증 선별도구로서 BDI의 타당성," 대한가정희학회, 제21권, 제11호, pp.1451-1465, 2000.
  27. 신지선, 저혈당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행위 및 가족지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8. 류은경, 노인 당뇨병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환자역할,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9. P. Hubbard, A. Muhlenkamp, and N. Brown, "The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carepractices," Nursing Research , Vol.33, pp.266-270, 1984.
  30. 이금재, 만성질환자의 가족기능정도와 환자역할행위 이행정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당뇨병 환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31. 이용규, 당뇨병 환자의 당뇨지식,가족 지지,자가간호행위 수행간의 관계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2. 윤상영, 강윤희, "제 2형 당뇨병환자의 유머스타일, 우울, 자가관리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제28권, 제2호, pp.31-42, 2012.
  33. P. J. Lustman, R. J. Anderson, K. E. Feedland, M. Degroot, R. M. Carney, and R. E. Clouse, "Depression and glycemic control : ameta analyticreview oftheliterature," Diabetes Care, Vol.23, No.7, pp.934-942, 2000. https://doi.org/10.2337/diacare.23.7.934
  34. 전진수, 신강현, 김완석, 권정혜, "당뇨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개인차 변수들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4호, pp.851-868, 2007.
  35. 이혜정, 당뇨병성 혈액투석환자의 영양상태, 스트레스 및 우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6. D. A. Hamburg, "A Perspective on Copping Behavior," Archives General Psychiatry, Vol.7, pp.277-284, 1967.
  37. 박애란, 정경숙,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활동, 가족지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212-22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212
  38. S. C. Robert, Behavioral concepts and nursing through the life span, Prentice-hall co, New Jersey, contents Pub, 1976.
  39. 전진수, 신강현, 김완석, 권정혜, "당뇨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개인차 변수들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4호, pp.851-86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