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rearing Experience of Ex-offenders' Wives: Focus on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남편의 수감 생활 및 출소 과정에서 경험하는 출소자 아내의 자녀양육: 자녀의 발달수준을 중심으로

  • 전지열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 양하나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 김주연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Received : 2018.03.12
  • Accepted : 2018.05.23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17 ex-offenders' wives who is receiving housing support from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to understood the difficulties child-rearing experiences with the grounded theory. Based upon the research outcomes, supporting that needs for prisoners' wives who feel a huge burden on taking care of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by themselves was discussed. The prisoners' wives with children at school age and initial/middle adolescent need to get strong support due to not only the shock about husbands in prison but also the burden and stress that should follow the role as parents of students. Those late adolescent/adulthood who were supposed to follow their dreams, were required for their financial and emotional sacrifice. Result indicates children need to get support to form the right identity, not to get exhausted or shrink from being stigmatized and prejudiced as children of released prisoners.

본 연구는 출소자 아내들이 자녀 양육 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주거지원을 받는 17명의 출소자 아내들을 대상으로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기/학령 전 아동기 자녀(생후 1개월~6세)를 둔 수감자의 아내들은 어린 자녀를 홀로 감당해야 하는 부담감이 매우 컸기 때문에, 이러한 심리적 부담감을 덜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자녀와 건강한 애착 형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아동/초 중기 청소년 자녀(7~17세)를 둔 출소자 아내는 남편의 수감이라는 충격에 더하여 학부모의 역할을 새롭게 수행해야 하는 부담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기 때문에 자녀의 학업 및 학교 적응을 위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후기 청소년/성인기 자녀(18~20세)들은 꿈을 한창 펼쳐가야 할 시기에 아버지의 수감으로 인해 경제적 정서적 희생이 요구되었다. 이들을 위해서는 자녀가 올바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여 출소자 자녀라는 낙인과 편견으로 인해 소진되거나 위축되지 않고 독립적 인격체로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법무연수원, 범죄백서, 2016.
  2. 이동훈 외,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모델 정립과 모델 유형에 따른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연구용역과제, 2015.
  3. 신연희, "부모의 교도소 수용에 따른 자녀들의 문제행동 관련요인-출소준비 수형자 및 출소자 대상조사," 한국아동복지학, 제51호, pp.219-249, 2015.
  4. S. Bilchik, Mentoring: A promis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of Prisoners, Research in Action, Vol.10, pp.03-28, 2007.
  5. 여성한국사회연구소, 가족과 한국사회: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삶 읽기, 경문사, 2000.
  6. P. Boss, Family Stress Management,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1998.
  7. 신연희, 전영실, 김영식, "수용자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제40호, pp.203-225, 2008.
  8. A. Geller, C. E. Cooper, I. Garfinkel, O. Schwartz-Soicher, and R. B. Mincy, "Beyond absenteeism: Father incarceration and child development," Demography, Vol.49, No.1, pp.49-76, 2012. https://doi.org/10.1007/s13524-011-0081-9
  9. A. I. Solomon and J. Zweig, Children of parent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Children at risk,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2006.
  10. L. A. Sroufe, The role of infant-caregiver attachment in development,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pp.18-38, 1988.
  11. 신연희, 변호순, "아버지의 수용과 자녀들의 문제행동," 교정연구, 제63호, pp.145-171, 2014.
  12. 문성희, 이대균, "한부모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가 겪는 어려움, 그리고 바람,"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313-335, 2011.
  13. 최윤진, "한부모가정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2권, 제3호, pp.59-74, 2015.
  14. 황은숙, "서울시 한부모 가정 실태 조사 연구," 한부모가정연구, 제1권, 제1호, pp.1-34, 2006.
  15. B. Bloom and D. Steinhart, Why Punish the Children?: A Reapraisal of the Children of Incarcerated Mothers in America, National Council on Crime and Delinquency, 1993.
  16. D. Johnston, Effects of parental incarceration.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New York: Lexington Books, pp.59-88, 1995.
  17. C. J. Kampfner, Post-traumatic stress reactions in children of imprisoned mothers.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pp.89-100, 1995.
  18.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People of Faith Mentoring Children of Promise: A Model Partnership Based on Service and Community,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2004.
  19. N. Garmezy,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Vol.56, No.1, pp.127-136, 1998.
  20. A. S. Masten, D. Miliotis, S. A. Graham-Bermann, M. Ramirez, and J. Neemann, "Children in homeless families: Risks to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1, No.2, pp.335-343, 1993. https://doi.org/10.1037/0022-006X.61.2.335
  21. M. Comfort, "Punishment beyond the legal offender, Annual Review of Law and Social Science," Vol.3, pp.271-296, 2007. https://doi.org/10.1146/annurev.lawsocsci.3.081806.112829
  22. L. Lopoo and B. Western, "Incarceration and the formation and stability of marital un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7, No.3, pp.721-734, 2005.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5.00165.x
  23. E. Anderson, Code of the Street, New York: Norton, pp.107-141, 1999.
  24. D. P. Farrington, "Developmental criminology and risk-focused prevention," In Maguire, The Oxford Handbook of Criminology, Vol.3, pp.657-701, 2002.
  25. D. P. Farrington, J. W. Coid, L. Harnett, D. Jolliffe, N. Soteriou, R. Turner, and D. J. West, "Criminal careers up to age 50 and life success up to age 48: New findings from the Cambridge Study in Delinquent Development," Home Office Research Study, No.299, 2006.
  26. R. Loeber, D. P. Farrington, M. Stouthamer-Loeber, and H. R. White, Violence and serious theft: Development and prediction from childhood to adulthood, Taylor & Francis, 2008.
  27. R. J. Sampson and J. H. Laub, "Crime and deviance in the life course,"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18, No.1, pp.63-84, 1992. https://doi.org/10.1146/annurev.so.18.080192.000431
  28. C. A. Smith and S. B. Stern, "Delinquency and antisocial behavior: A review of family processes and intervention research," Social Service Review, Vol.71, No.3, pp.382-420, 1997. https://doi.org/10.1086/604263
  29. D. J. West and D. P. Farrington, The Delinquent Way of Life: Third report of the Cambridge Study in Delinquent Development,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997.
  30. C. W. Simmons,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CRB note, Vol.7, No.2, 2000.
  31. R. J. Havighurst,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1948.
  32. S. H. Fishman, "The impact of incarceration on children of offenders," Journal of Children in Contemporary Society, Vol.15, No.1, pp.89-99, 1983. https://doi.org/10.1300/J274v15n01_11
  33. 허경미, "주요국의 수형자가족 지원서비스 분석 및 도입모델," 경찰학논총, 제8권, 제2호, pp.329-354, 2013.
  34. 유수연, "독일의 출소(예정)자와 그 가족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보호관찰, 제15권, 제1호, pp.51-77, 2014.
  35.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36789.html
  36. J. W. Creswell, "Five qualitative approaches to inquiry,"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Vol.2, pp.53-80, 2007.
  37. J. M. Morse and P. A. Field, Nursing research: The application of qualitative approaches, Nelson Thornes, 1995.
  38. 이동훈, 전지열, 김주연, "수감자 아내들의 삶,"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1권, 제2호, pp.295-325, 2016.
  39. 이동훈, 전지열, 김주연, "아직도 가야 할 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2권, 제2호, pp.223-261, 2016.
  40. E. G. Guba and Y. S. Lincoln,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81.
  41.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1990.
  42. R. R. Abidin Parenting Stress Index(PSI),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1990.
  43. 김계숙, 김희숙, 이명숙, 김신정, 문선영, 아동간호학, 신광출판사, 1999.
  44. 김희숙, 강경아, 김순애, 김신정, 김현실, 김현옥, 문선영, 양은영, 이명숙, 정혜경, 아동건강간호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6.
  45. 신연희, "부모수용 후 자녀들의 가정환경에 관한 연구," 교정담론, 제10권, 제1호, pp.129-158, 2016.
  46. 최윤진, "한부모가정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2권, 제3호, pp.59-74, 2015.
  47. 이동훈, 조은정, 양순정, 양하나, "교정전문가 및 교정상담자가 인식하는 출소자의 사회재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303-31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303
  48. 박선영, 신연희, "수용자 자녀문제에 관한 미국과 영국의 사례분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연구총서, 제3호, pp.1-270, 2012.
  49. 정명숙,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및 자녀성적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6호, pp.107-121, 2008.
  50. M. D. Newcomb, G. J. Huba, and P. M. Bentler,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stressful life events among adolescents: Derivation and correlat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pp.400-415,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