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ublic Rental Housing for Young Generation Utilizing an Alternative Investment of National Pension Fund: Using Apartment Trading Data o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2011 to 2016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를 통한 청년층 공공임대주택 공급 후보지 분석: 2011-2016년 수도권 아파트 거래 자료를 토대로

  • Cho, SeongAh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ong, Yeryun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eongmin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n, Hyu-Seok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조성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홍예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이성민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신휴석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Received : 2018.06.2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Recently, Korea suffered serious social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due to population aging. Anxiety about depletion of the National Pension Fund is one of the social problem to young generation, because of the uncertainty that they will not able to receive the pension they pai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high housing r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emand for housing welfare and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for young generation was increased. There are some opinions about using National Pension Fund to supplying public rental houses in the society. In this research, we were concentrated on finding the suitable areas for the public rental house using National Pension Fund. First,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investment using National Pension Fund for the public rental housing was done. And spatial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to explore the suitable areas for the public rental housing in Seoul metro area. Finally, this study divided young people into three groups and analyzed ways to supply public rental housing for each group in proper areas by their demand. This research's ultimate goals are mitigat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generations and achieving both profitability and publicness of National Pension Fund.

한국의 지속적인 인구 고령화는 다양한 사회 갈등을 야기하고 있는데, 국민연금기금 고갈에 대한 위기감은 청년층과 기성세대 간의 첨예한 갈등의 한 양상이 되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주거복지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를 통한 공공임대주택 공급 방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기금을 통한 청년층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당위성을 검증한다. 그 후 공간통계기법에 기반한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의 수도권 내 후보지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 세 가지 세부 청년층 분류에 따른 공공주택 공급방안이 도출되었으며, 각 지역과 대상 계층에 적합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세대 갈등을 완화하고, 국민연금기금의 수익성과 공공성을 모두 충족함을 목표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우.이자원, 1995, "수도권 인구이동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0(4), pp.21-39.
  2. 김경민.김영곤.서충원, 2016, "국민연금 기금운용을 통한 대체투자로서 부동산투자 특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66, pp.46-58.
  3. 김민철, 2017, "생애주기별 주거소비 특성을 반영한 주거지원 방안," 국토정책 Brief 603, pp.1-8.
  4. 김수완, 2015, "국민연금기금 투자에서의 공공성: 역사적 접근," 한국사회정책 22(4), pp.135-160.
  5. 김연명, 2011, "'신탁기금'인가? '사회투자자본인가?: 국민연금기금의 성격 투자정책에의 함의," 사회복지정책 38(2), pp.221-247.
  6. 김영미, 2014, "국민연금재정의 관리, 운용체계에 대한 법적 고찰," 사회법연구 22, pp.27-57.
  7. 김은정, 2011, "국민연금기금의 성격과 사회투자자본으로서의 활용," 월간 복지동향 152, pp.64-70.
  8. 남재우, 2013, "공적연기금 대체투자의 현황 및 시사점," 부동산 포커스 66, pp.45-53.
  9. 안성학, 2016, "국내외 대체투자 현황 및 시사점,"하나금융정보 30, pp.1-41.
  10. 박영규.김현석.주효근, 2015,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 포트폴리오 구축방안 연구," 재무연구 28(2), pp.235-267.
  11. 박소현.이금숙, 2016,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694-71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694
  12. 박원석, 2014, "대구.경북 가구의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702-717.
  13. 박원석, 2017, "가구의 거주지역 및 인적 특성요인이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173-188. https://doi.org/10.23841/egsk.2017.20.2.173
  14. 박소현.이금숙, 2016,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694-71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694
  15. 송기욱.장인석, 2017, "리츠를 활용한 공공과 민간의 임대주택 공급모델 기법 특성 및 적용사례 비교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9, pp.58-71.
  16. 안성학, 2016, "국내외 대체투자 현황 및 시사점," 하나금융정보, 하나금융경영연구소 30, pp.1-41.
  17. 안영진, 2002, "사무입지에 관한 도시.경제지리학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5(2), pp.229-248.
  18. 양지현.조창현, 2016, "대학생 목적지 선택 행태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68-92.
  19. 원종현.주은선, 2011, "국민연금기금에 대한 다른 생각: 대안적 성격 규정과 운용정책," 한국사회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문.
  20. 이미진, 2016, "국민연금기금의 국공립노인장기요양시설 인프라 투자 방안," 월간 복지동향 211, pp.18-24.
  21. 이상호.이상헌, 2010, "저출산.인구고령화의 원인에 관한 연구: 결혼결정의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pp.1-50.
  22. 이봉조, 2014, "청년 주거문제를 둘러싼 재산권과 주거권 갈등," 도시와 빈곤 107, pp.62-85.
  23. 이수욱, 2016, "청년 주거문제 완화를 위한 주택정책 방안," 국토정책 Brief 560, pp.1-8.
  24. 이슬기.이우성.백수경.정성관.박경훈, 2013, "근린생활권의 물리적 환경이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8(7), pp.5-21.
  25. 이태진.김태완.정의철.최은영.임덕영.윤여선.최준영.우선희, 2016, 청년 빈곤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1-240.
  26. 이호근, 2015, "주거급여법 도입과 사회적 취약계층 주거권 확보를 위한 주거정책 및 법, 제도 개선방안," 사회보장연구 31(1), pp.169-204.
  27. 임경지, 2015, "청년 주거문제 실태와 현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한계," 월간 복지동향 196, pp.5-11.
  28. 정창률, 2010, "국민연금 기금의 근본성격에 관한 연구: 다양한 위상과 가능성 고찰," 사회복지정책 37(1), pp.51-73.
  29. 주은선, 2012, "국민연금기금의 사회복지 부문 투입 방안과 사회적 효용: 사회서비스 공급체계 개편을 위한 연기금 투입," 사회복지정책 39(2), pp.181-209.
  30. 주택산업연구원, 2016, 앞으로 10년, 미래주거 트렌드는 수요자는 에코세대를 중심으로, 주거특성은 실속형과 사용가치 중심형으로 변화, 보도자료 (2016.05.17.), pp.1-11.
  31. 최은영, 2014, "서울의 청년 주거문제와 주거복지 소요," 도시와 빈곤 107, pp.5-61.
  32. 최은영, 2004, "선택적 인구이동과 공간적 불평등의 심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7(2), pp.57-69.
  33. 허화.김영갑, 2004, "연기금의 파생상품 활용에 관한 연구: 대체투자 수단을 중심으로," 금융공학연구 3(2), pp.21-43.
  34. 현대경제연구원, 2015, "전월세 시장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이슈리포트. 현안과 과제," 15(4).
  35.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 pp.93-115.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5.tb00338.x
  36. Orszag, J. M. and Sand, N., 2006, Corporate finance and capital markets, in Clark, G. L., Munnell, A. H. and Orszag, J. M.(eds.), The Oxford Handbook of Pensions and Retirement Income, Oxford University Press, pp.399-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