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UI Prototyping Based on Personality of Things for Interusability in IoT Environment

IoT 환경에서 인터유저빌리티(Interusability) 개선을 위한 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중심의 UI 프로토타이핑에 대한 연구

  • 안미경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인터랙션디자인 전공) ;
  • 박남춘 (서울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04.06
  • Accepted : 2018.05.23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In the IoT environment, various things could be connected. Those connected things learn and operate themselves, by acquiring data. As human being, they have self-learning and self-operating systems. In the field of IoT study, therefore, the key issue is to design communication system connecting both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subjects, human being(user) and the things. With the advent of the IoT environmen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field of UI design.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take complex factors into account through keywords such as multi-modality and interusability. However, the existing UI design method has limitations in structuring or testing interaction between things and users of IoT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new UI prototyping method. In this paper, the major analysis and studies are as follows: (1) defined what is the behavior process of the things (2) analyzed the existing IoT product (3) built a new framework driving personality types (4) extracted three representative personality models (5) applied the three models to the smart home service and tested UI prototyping. It is meaningful with that this study can confirm user experience (UX) about IoT service in a more comprehensive way. Moreover, the concept of the personality of things will be utilized as a tool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rvices in the future.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시대에는 다양한 사물이 연결되어 사물들 스스로가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학습하고 동작한다. 이는 사물이 사람의 모습을 닮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변화한 사물과 사람이 어떻게 소통하는가를 설계하는 것이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IoT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UI 디자인 분야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멀티모달리티(Multi-modality)와 인터유저빌리티(Interusability) 등의 키워드를 통해서 UI 분야에서도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하려는 연구가 진행됐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UI 디자인 방법론으로는 IoT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설계할 때 사물, 사람, 데이터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해서 구조화하고 테스트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새로운 UI 프로토타이핑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과 연구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사물의 행동 프로세스를 정의하였다. (2) 행동 프로세스를 토대로 기존의 IoT 제품을 분석하였다. (3) 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유형을 구분 지을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작하였다. (4)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 유형을 도출하였다. (5) 3개의 대표 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을 실제 스마트 홈 서비스에 적용하여 프로토타이핑 테스트를 해보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UI 프로토타이핑 방법을 제안하여 더 총체적인 방식으로 IoT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UX)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본 연구를 발전시켜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한 환경에서 지능화된 서비스의 정체성(Identity) 확립의 도구로 사물성격(Personality of Things) 개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다음 백과사전. 사물인터넷의 정의.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XXX10 2017.12.13
  2. 산업연구원.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서울: 휴먼컬처아리랑. 2016.
  3. 임미정.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휴먼-컴퓨터 인터랙션 설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대한민국: 수원. 2006.
  4. Rowland C. User Experience Design for the Internet of Things. London: O'Reilly Media. 2015.
  5. Rowland, C., Goodman, E., Charlier, M., Light, A. and Lui, A. Designing Connected Products - UX for the Consumer Internet of Things. London: O'Reilly Media. 2015.
  6. 이형주. 호텔종업원의 성격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자원활용성과 종업원서비스 지향성의 매개역할.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대한민국: 수원. 2004.
  7. 이형주. 호텔종업원의 성격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자원활용성과 종업원서비스 지향성의 매개역할.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대한민국: 수원. 2004.
  8. 김현수. 프리미엄 휴대폰의 브랜드 개성과 페르소나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LG 싸이언 프리미엄 브랜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대한민국: 서울. 2008.
  9. 박성준. Voice UX Design for Speech Recognition Speaker.https://www.youtube.com/watch?v=VGBv1L9dEYY&t=8s 2017.12.13
  10. Scoble, R. and Israel, S. Age of Context-컨텍스트의 시대. 박지훈, 류희원(역). 서울: 지앤선.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