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ment of National Examination Security Service

국가시험 보안업무의 발전적 방안연구

  • 하정훈 (중원대학교 체육학부 경호학전공)
  • Received : 2018.05.16
  • Accepted : 2018.05.3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velopment of the examination security business plan based on the problem that guards are now aware of examination security servi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interviews with five field related graduates and seven field specialists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the examination for more than six years. The guard who perform national examination security service proposed a development plan of national examination security services as follows. First, the security guards at the national examination must complete an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nature of the workplace. Second, disaster and emergency response training should be added. Third, national examination security guards should be provided with mental training, search equipment and advanced equipment. Fourth, The National Examination Security Service should be specified in the Security Law so that laws and regulations can actively respond. Fifth, the related organization (contracting party) must raise the cost of service according to reality after realizing the property. Sixth, The national security service should ensure that security guards who have completed the security guards' training will be recruited.

본 연구는 국가시험 보안업무 관련분야 학위소지자와 국가시험 보안업무현장에서 출입관리 및 보안검색 등의 종합적인 보안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현장전문가들이 현재 인지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국가시험 보안업무 운영의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관련분야 학위 소지자 5인과 경력 6년 이상의 현장전문가 7인에게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들은 국가시험 보안업무운영의 발전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시험 보안업무에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이 시행되어져야 한다. 둘째, 재난 및 응급상황 대처교육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가시험 보안업무에 투입되어지는 요원들은 정신교육과 검색장비 및 첨단장비 관련 교육이 필요시 된다. 넷째, 경비업법에 국가시험 보안업무를 명시하여, 법규와 제도가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관계기관(계약상대방)은 용역비용을 재 산정 후 현실에 맞게 인상하여야 한다. 여섯째, 국가시험 보안업무에 경비원 신임교육을 이수한 경비원들이 투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식, 최응렬 (2013). 일본의 민경협력치안제도에 대한 고찰 및 시사점.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6, 29-55.
  2. 김동회 (2008). 우리나라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태환, 박옥철 (2005). 한국 민간경비 실태 및 발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9, 69-98.
  4. 김현수, 최영호, 조정윤, 김상호 (2007). 국가자격시험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박종성, 김상진, 김상호 (2005). 민간자격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백승민 (2013). 한국 민간경비 제도적 실태와 발전방안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서원석, 황성원, 유종선 (2012). 국가시험 관리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8. 송영남 (2013). 델파이(Delphi)와 AHP기법 적용을 통한 의료기관의 안전관리체계 구축방안.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양미진, 이동훈, 고홍월, 김영하, 남현주 (2012).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특성에 대한 질적분석. 상담학연구, 13(3), 1181-1209.
  10. 이양락, 국무조정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국가시험 출제 및 관리매뉴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조정윤, 김현수, 최영렬 (2008). 국가자격시험 관리운영의 효율성 강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하정훈 (2017). 종합병원 경비업무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3, 185-208.
  13. 한국산업인력공단 (2018). 국가기술자격통계연보.
  14. 국가기술자격법 제2조 1항.
  15. 자격기본법 제2조 1항.
  16. 두산백과.
  17. 한국민족문화대백과(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