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ategories of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by Korean Ventures and Their Performances

한국 벤처기업 국제화 전략의 유형과 성과 분석

  • 이기환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무역.마케팅학부) ;
  • 최봉호 (동의대학교 무역학과)
  • Received : 2018.05.14
  • Accepted : 2018.08.13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utilized by Korean venture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se types and internationalization performances. Specifically we tested whether there is a good feasibility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model constr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As a criterion of typification, the capability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the capability of effectuation of a venture were chosen, and a model in which those three types exist based on the capabilities is establish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are explained and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We also test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nationalization performance for each type.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we concluded that there are three types : pioneer, careful preparation and passive response. In addition, these three typ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performances of reputation in foreign markets and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in international management. This implie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erformances of each type of ventures according to their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positions. Therefore, the type of venture should be considered when a venture establishes its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and governments set supporting policy for venture companies.

벤처기업이 내부자원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국제화를 이루는 현상에 대해, 벤처기업의 국제화 전략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유형과 국제화 성과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유형화의 기준으로서 국제화를 수행하는 벤처기업의 글로벌 창업가정신과 실현화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하는 모델이 구성되었다. 그에 대한 유형별 특성과 국제화 전략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며 그에 대한 실증적 분석으로서 군집분석이 행해졌다. 각 유형별로 국제화 성과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실증분석 하였다. 군집분석의 결과 개척자형과 신중한 준비형, 그리고 소극적 반응형의 세 가지 유의한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또한 해외지명도와 지식·경험의 제고라는 국제화 성과에서는 각 유형 간에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한 정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국제화 전략포지션에 따른 유형별 차이와 성과 차이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벤처기업의 국제화 전략과 지원정책의 수립에서 이를 감안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S1A5B5A07042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