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Prediction of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Using Bayesian Inference

베이지안 추론을 이용한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 예측 분석

  • Received : 2018.03.15
  • Accepted : 2018.05.11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In order to analyze the prediction of the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ables' interdependencies and their causal relations to the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using Bayesian inference with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For the study, Markov blanket was extracted through General Bayesian Network and the degree of influences was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variables' probabilities. Results showed that the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was significantly changed depending on adjusting the values of the related variables; school learning act, smoking, taunting, fandom, and school rul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ayesian inference could be used in educational filed for predicting and adjusting the adolescents' computer entertainment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의 예측 분석을 목적으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데이터를 대상으로 베이지안 추론을 사용하여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과 관련 변수들의 상호의존성과 인과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통한 마코프 블랭킷(Markov Blanket)을 추출하였다. 또한 변수들의 확률을 변화시켜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은 관련 변수들(학교학습활동, 비행-흡연, 비행-조롱, 팬덤활동, 학교규칙)의 값을 조정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베이지안 추론은 청소년의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을 예측하고 조절하는 등 교육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해경 (2002).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 중독을 예측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4), 463-486.
  2. Anderson, C. A., & Dill, K. E. (2000). Video games and aggressive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 in the laboratory and in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4), 772-790. https://doi.org/10.1037/0022-3514.78.4.772
  3. 이혜주.정의현 (2013). 청소년의 컴퓨터 오락추구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신경망 활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2), 127-135.
  4. Charlton, J. P. (2002). A factor analysis: Investigation of computer addiction and engagement.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3(3), 329-344. https://doi.org/10.1348/000712602760146242
  5. Jensen, F. V. (2001). Bayesian networks and decision graphs. NY: Springer-Verlag.
  6. Pearl, J. (1998). Probabilistic reasoning in intelligent systems: Networks of plausible inference. San Francisco, CA: Morgan Kaufman.
  7. Neapolitan, R. E. (2004). Learning Bayesian network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8. 변성희.김정민 (2007). 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사용수준에 따른 인터넷 게임 이용동기와 학교생활 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47-58.
  9. 이서원 (2012). 학교폭력피해경험이 게임중독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40, 109-137.
  10. Suler, J. (2004). Computer and cyberspace add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Psychoanalytic Studies, 1(4), 359-362. https://doi.org/10.1002/aps.90
  11. Young. K. S. (1998).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3), 237-244. https://doi.org/10.1089/cpb.1998.1.237
  12. 이혜주.정의현 (2012). 의사결정트리 기반의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유형별 관련 변수 추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5(2), 9-18.
  13. 주석진.좌동훈 (2011). 청소년들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예측모형: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족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5), 165-57.
  14. Fryback, D. G., Stout, N. K., & Rosenberg, M. A. (2001). An elementary introduction to Bayesian computing using WinBug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17(1), 98-113. https://doi.org/10.1017/S0266462301104095
  15. 김명화 (2000). 학생의 인지구조 및 변화의 진단 방법으로서의 Bayesian 추론망 모델의 효과성. 교육학연구, 38(4), 181-202.
  16. 박상희.김남순.이선재.홍성두 (2009). 수 교육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통계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특수아동교육연구, 11(3), 341-356.
  17. Fuster-Parra, P., Garcia-Mas, A., Ponseti, F. J., & Leo, F. M. (2015). Team performance and collective efficacy in the dynamic psychology of competitive team: A Bayesian network analysis.. Human Movement Science, 40, 98-118. https://doi.org/10.1016/j.humov.2014.12.005
  18. Scutari, M. (2010). Learning Bayesian networks with the bnlearn R package.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35(3), 1-22.
  19. Cheng, J., Greiner, R., Kelly, J., Bell, D., & Liu, W. (2002). Learning Bayesian networks form data: An information-theory based approach. Artificial intelligence, 137(1), 43-90. https://doi.org/10.1016/S0004-3702(02)00191-1
  20. Norsys Software Corporation (2012). Netica Bayesian network software package. http://www.norsys.com
  21. 노언경.홍세희 (2012).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3(3), 51-76.
  22. 조민식 (2012). 인터넷과 청소년 일상문화의 변형: 청소년 온라인 게임문화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30, 83-124.
  23. Sherer, K. (1997). College life on-line: Healthy and unhealthy internet us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8(6), 655-665.
  24. 박진영.김정현 (2009).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른 인터넷 이용행태 및 생활 습관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27(2), 1-16.
  25. 안은미.김소희.전선율.진성미.정익중 (2012). 팬덤활동 참여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8(2), 421-446.
  26. Funk, J. B., Bushman, J., & German, G. N. (2000). Preference for violent electronic games, self-concept and gender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70, 233-241.
  27. 김현미.정성환 (2013). 망막 질환 진단을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에 기초한 데이터 분석.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16(3), 269-280.
  28. 하선영.장병탁 (2000). Reversible Jump MCM와 베이지안망 학습에 의한 데이터마이닝.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7(2), 90-92.
  29. Uusitalo, L. (2007). Advantages and challenges of Bayesian networks in environmental modelling. Ecological Modelling, 203, 312-318. https://doi.org/10.1016/j.ecolmodel.2006.11.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