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Action Learning for the College Course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대학에서의 '아동미디어교육' 수업을 위한 액션러닝 사례 연구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국경아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김보규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김민정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김혜민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8.03.20
  • Accepted : 2018.05.10
  • Published : 2018.05.28

Abstract

Action learning is a teaching method that is taught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real problems and finding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ction learning for the college course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which was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at S university in Seoul.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ction learning suggested by Marquardt(2000), college students developed the problem of children's news literacy education and set the purpose, goal and contents of news literacy and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applied it to the education field. The college students' evaluation about the action learning lesson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verbal. They found that active and voluntary problem-solving and field application through action learning help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children's media education class. Finally, the importance of close cooperation with the educational field and of appropriate feedback were discussed as a necessary condition of action learning teaching method.

액션러닝은 실제 문제를 찾아 해결책을 찾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수방법으로 최근 대학 수업에서도 그 사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에 위치한 S 대학교의 아동청소년학과에 개설된 '아동미디어교육' 수업에서 액션러닝 교수법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Marquardt(2000)가 제안한 액션러닝의 구성 요소들과 과정에 따라 학생들은 아동의 뉴스리터러시 교육이라는 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초등 6학년을 위한 뉴스리터러시 교육 목적과 목표, 내용을 설정하고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하였다. 액션러닝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반응과 평가는 설문지와 구두로 수집되었다. 그들은 액션러닝 적용 수업 방식을 통한 능동적이며 자발적인 문제 탐구와 현장에서의 적용이 아동미디어교육 수업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액션러닝 수업방식의 필요 조건으로서 교육 현장과의 긴밀한 협조와 현장 적용 시 적절한 피드백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M. J. Marquardt, Action learning in action, Davies-Black Publishing. 봉현철, 김종근 역, 액션러닝: 최고의 인재를 만드는 기업교육프로그램, 21세기 북스, 2000.
  2. K. W. Chang, "A Case Study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Action Learning at a University,"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Vol.11, No.1, pp.145-169, 2010.
  3. 박수정, "액션러닝을 적용한 교육행정학 강의에 대한 형성학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0권, 제4호, pp.389-416, 2012.
  4. 장경원, 고은현, 고수일, "학교에서의 액션러닝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7권, 제3호, pp.429-455, 2015.
  5. 김대희, "중등 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매체 언어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제37집, pp.106-135, 2010.
  6. W. J. Potter, 김대희, 임윤경 역, 미디어리터러시, 소통, 2016.
  7. http://dadoc.tistory.com/2521
  8. 황덕미, 스마트폰 SNS에서의 초등학생 사이버 언어폭력 실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 졍경희,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스마트폰 SNS 중독성향이 사이버 폭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0. 이정훈, "뉴스리터러시 : 새로운 뉴스 교육의 이론적 탐색,"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9호, pp.66-95, 2012.
  11. J. Fleming, "What do facts have to do with it? Exploring instructional emphasis in Stony Brook News Literacy Curriculum,"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7, No.3, pp.73-92, 2015.
  12. http://www.dadoc.or.kr/2564
  13. http://www.dadoc.or.kr/2554
  14. 원숙경, 윤영태, "디지털 시대의 뉴스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연구," 한국 웰니스학회지, 제11권, 제4호, pp.101-111, 2016.
  15. T. Jolls and C. Wilson, "The core concepts : Fundamental to media literacy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Vol.6, No.2. pp.68-78, 2014. https://doi.org/10.23860/JMLE-2016-06-02-6
  16. 이재원, 박동숙,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리터러시 재개념화 : 뉴스 큐레이션 능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제32권, 제2호, pp.1717-206, 2016.
  17. 이재은, 텍스트 중심 유아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8. 조재윤, 엄혜영, "2009 개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의 매체 수용 연구," 한국초등교육, 제26권, 제1호, pp.103-124, 2015.
  19. 김소연,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의 뉴스, 광고 관련 평가 문항 분석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정현선, "매체 언어 교육단원 개발과 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국어 교과서의 뉴스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제48집, pp.311-354,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