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후 1, 6개월 완전모유수유율과 영향 요인

Exclusive Breastfeeding Rate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by the 1st and 6th Month of Postpartum

  • 하범만 (국군수도병원 진료부) ;
  • 김선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투고 : 2018.04.02
  • 심사 : 2018.05.04
  • 발행 : 2018.05.28

초록

본 연구는 산후 1개월 및 6개월 완전모유수유율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자료는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 조사 원시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조사 완료된 기혼여성 중 2013년 1월부터 조사시점에 추산 후 6개월이 경과한 2015년 2월 사이에 자녀를 출산한 1,839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카이제곱분석 및 다중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만 후 1개월 및 6개월 완전모유수유율은 각각 54.0%, 9.4%로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완전모유수유율이 감소하였다. 산후 1개월 완전모유수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산모의 나이, 아기의 출생순위, 분만형태, 분만 후 1시간 이내 모유수유 여부였으며, 산후 6개월 완전모유수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산모의 나이, 거주지역, 아기의 출생순위, 산후 1개월 완전모유수유 여부였다. 본 연구결과 완전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출산 후 시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완전모유수유율 향상을 위해 출산 후 각 시기별 완전모유수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중재가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xclusive breastfeeding(EBF) rate and to identify factors which influence EBF by postpartum perio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5 National Fertility Surve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and secondary data analysis were employed for 1,839 mothers who gave birth to baby between January 2013 and February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EBF rate at the 1st and 6th month of postpartum were 54.0%, 9.4%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EBF at the 1st month of postpartum were age of mother, baby's birth rank, type of delivery, breastfeeding within 1 hour after delivery.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EBF at the 6th month of postpartum were age of mother, living area, EBF in the first month. We found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EBF differed by postpartum period. In order to improving the rate of EBF, it is recommended that taioed interventions is needed conside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EBF by postpartum period.

키워드

참고문헌

  1. L. M. Gartner, J. Morton, R. A. Lawrence, A. J. Naylor, D. O'Hare, and A. I. Eidelman, "Breastfeeding and the use of human milk," Pediatrics, Vol.115, No.2, pp.496-506, 2005. DOI: 10.1542/peds.2004-2491.
  2. 사공필용, 김은경, 김윤, 김용익, 이진석, "분만 후 시간대별 모유수유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3권, 제1호, pp.61-72, 2017.
  3. T. Y. Q. Leow, A. Ung, S. Qian, J. T. Nguyen, Y. An, P. Mudgil, and J. Whitehall, "Exploring infant feeding practices: cross-sectional surveys of South Western Syndey, Singapore, and Ho Chi Min City," BMC Peidatr, Vol.17, No.1, p.145, 2017. DOI: 10.1186/s12877-017-0902-0.
  4. D. L. Lowdermilk, S. E. Perry, and K. A. Piotrowski, Maternal Nursing(6th ed), ST. Louis;Mosby, 2003.
  5. M. Vestergaard, C. Obel, T. B. Henriksen, H. T. Sorensen, E. Skajaa, and J. Ostergaard, "Duration of breastfeeding and developmental milestones during the latter half infancy," Acta Paediatrica, Vol.88, No.12, pp.1327-1332, 1999. https://doi.org/10.1111/j.1651-2227.1999.tb01045.x
  6. 김혜련, 황나미, 심재은, 김어지나, 건강한 미래사회를 위한 영양 관련 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모유수유 및 아동.청소년 영양 문제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원, pp.31-31, 2008.
  7. 여정희, "모유수유 기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42-147, 2005.
  8. 홍창의, 소아과학, 대학교과서주식회사, 2008.
  9. http://www.who.int/nutrition/topics/exclusive_breastfeeding/
  10. 이삼식, 박종서, 이소영, 외애, 최효진, 송민영,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세종시, 2015.
  11. L. Y. Chin and L. H. Amir, "Survey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breastfeeding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of The Royal Women's Hospital, Melbourne,"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Vol.14, No.8, pp.1-11, 2008.
  12. 구상미, 김태임,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완전모유수유 실천기간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1672-1683,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4.1672
  13. Y. Sasaki, M. Ali, K. Kakimoto, O. Saroeun, K. Kanal, and C. Kuroiwa, "Predictors of Exclusive Breastfeeding in Early Infancy: A Survey Report from Phnom Penh, Cambodia,"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25, pp.463-469, 2010. https://doi.org/10.1016/j.pedn.2009.04.010
  14. 보건복지부,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1-2020, 보건복지부, 2011.
  15. 곽명순, 완전모유수유 6개월 실천 관련요인,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6. 김현지, 김건엽, 황보정연, "농촌지역 영유아의 모유수유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671-1680,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671
  17. 박지혜,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322-330, 2014.
  18. 이선옥, 나성순, 박경연, "모유수유 의도 어머니의 산후 1, 3, 6개월의 완전모유수유율과 영향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6권, 제1호, pp.44-55, 2012.
  19. 이주영, 박순우, 박정한, "포항시 지역의 모유수유 실태 및 과련요인 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6권, 제1호, pp.149-167, 2002.
  20. 이희숙, 서순림, 김건엽, 김현지, "구미지역의 모유수유 실태와 관련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29-142, 2013.
  21. 김영미, 김성희, 조갑출, "모자동실제 유형에 따른 산모피로도 및 모유수유율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445-455,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5.445
  22. 정은정, 모유수유 시작요인이 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3. 최은진, "모유수유 실천 관련 사회환경적 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pp.72-81, 2017.
  24. 황원주, 정우진, 강대룡, 서문희, "모유수유 실천 및 수유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제39권, 제1호, pp.74-80, 2006.
  25. E. R. Moore and G. C. Anders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very early mother-infant skin-to-skin contact and breastfeeding status,"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Vol.2, pp.129-141, 2007.
  26. 김혜련, "한국의 모유수유 실천양상과 영향요인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pp.49-60, 2013.
  27. 장군자, 김선희, "모유수유 교육 및 지지 서비스가 모유수유 실천율과 영야 성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2호, pp.277-286,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2.277
  28. 최은진, 박은자, 김혜련, 오미애, 이난희, 최지희, 국내 모유수유 실태조사, 한국유니세프위원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29. Y. Nakao, K. Moji, S. Honda, and K. Oishi, "Initiation of breastfeeding within 120 minutes after birth is associated with breastfeeding at four months among Japanese wome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Breastfeeding Journal, Vol.10, No.3, p.1, 2008.
  30. http://www.unicef.or.kr/involve/mommy/withus_hospital.asp
  31.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 건강보험통계연보, 2017.
  32. 조계란, 산후조리원 안전실태 조사결과, 한국소비자원, 2008.
  33. T. F. Leung, W. H. Tam, E. C. Hung, T. F. Fok, and G. W. Wong, "Sociodemographic and atopic factors affecting breastfeeding intention in Chinese mothers," Journal of Pediatrics and Child Health, Vol.39, No.6, pp.460-464, 2003. https://doi.org/10.1046/j.1440-1754.2003.00189.x
  34. N. Berovic, "Impact of Sociodemographic Features of Mothers on Breastfeeding in Croatia: Questionnaire Study," Croatian Medical Journal, Vol.44, No.5, pp.596-600, 2003.
  35. 김윤미,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완전 모유수유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2호, pp.279-287,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2.279
  36. 박설희, 류세앙, "모유수유중재의 산후 1, 3, 6개월 모유수유율에 대한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7권, 제6호, pp.713-73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