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erification Test of High-Stability SMEs Using Technology Appraisal Items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한 고안정성 중소기업 판별력 검증

  • Received : 2018.10.12
  • Accepted : 2018.12.26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study started by focusing on the internalization of the technology appraisal model into the credit rating model to increase the discriminative power of the credit rating model not only for SMEs but also for all companies, reflecting the items related to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enterprises among the technology appraisal items. Therefore, it is aimed to verify whether the technology appraisal model can be applied to identify high-stability SMEs in advance. We classified companies into industries (manufacturing vs. non-manufacturing) and the age of company (initial vs. non-initial), and defined as a high-stability company that has achieved an average debt ratio less than 1/2 of the group for three years. The C5.0 was applied to verify the discriminant power of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is a difference in import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dustry and the age of company at the sub-item level, but in the mid-item level the R&D capability was a key variable for discriminating high-stability SMEs. In the early stage of establishment, the funding capacity (diversification of funding methods, capital structure and capital cost which taking into account profitabilit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financial stability. However, we concluded that technology development infrastructure, which enables continuous performance as the age of company increase, become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financial stabilit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age of company and industry is 71~91%, and it i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high-stability SMEs by using technology appraisal items.

본 연구는 기술력 평가항목 중 기업의 재무안정성과 관련된 항목을 신용평가모형에 반영하여 중소기업뿐만이 아닌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신용평가모형의 부도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기술력 평가모형의 신용평가모형 내 내재화에 착안하여 시작되었다. 따라서 기술력 평가모형이 부채비율 기준의 고안정성 중소기업을 사전에 판별하는 데 적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상 기업을 업종(제조업 vs. 비(非)제조업)과 업력(창업기업 vs. 비(非)창업기업)으로 구분하고, 3개년 동안 해당 군집의 평균 부채비율 1/2 이하를 달성한 기업에 대해 고안정성 중소기업으로 정의한 후, C5.0 기법을 적용하여 모형의 판별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소항목 수준에서는 업종과 업력에 따라 중요도 간 차이가 있지만, 중항목 수준에서는 기술개발역량이 고안정성 중소기업을 판별하는 중요변수로 도출되었으며, 기업의 업력에 따라 창업 초기에는 자금조달능력(수익창출능력을 고려한 자본구조, 자본비용 및 자금조달 방법의 다양성)이 미래 고안정성 중소기업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변수이지만, 업력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인 성과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개발 인프라가 재무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로 변화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업종과 업력에 따른 모형의 분류 정확도는 71~91% 수준이며,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고안정성 중소기업을 판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세훈, 유재훈, 한상범, "혁신형 중소기업의 조직자본과 성과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9권, 제5호, 2016, pp. 1901-1919. 
  2. 김량형, 유동희, 김건우,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기업부실화 예측 모델 개발과 예측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8권, 제2호, 2009, pp. 173-198. 
  3. 김석진, 김진수, "혁신이 부도위험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8권, 제3호, 2009, pp. 773-797. 
  4. 김진수, "기술혁신활동이 부도위험에 미치는 영향: 매출액성장률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22권, 제6호, 2009b, pp. 3195-3214. 
  5. 김진수, "기술혁신활동이 부도위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7권, 제2 호, 2009a, pp. 55-80. 
  6. 김진수, 윤영준, "기술혁신활동이 부도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매출액과 수익성의 매개 효과", 기술혁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09, pp. 715-739. 
  7. 김태호, 한봉희, "중소기업의 기술평가등급과 재무성과 간의 연관성", 대한경영학회지, 제22권, 제5호, 2009, pp. 2789-2808. 
  8. 안현철,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분류 SVM의 최적화: 기업신용등급 예측에의 응용",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6권, 제3호, 2014, pp. 161-177. 
  9. 이준원,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한 매출액 고성장기업 판별력 검증", 금융정보연구, 제7권, 제2호, 2018a, pp. 51-73. 
  10. 이준원, "기술력 평가항목을 이용한 고수익 중소기업 판별력 검증", 한국혁신학회지, 제13권, 제4호, 2018b, pp. 1-23. 
  11. 이준원, "기술등급(T등급)의 벤처인증제도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지, 제23권, 제4호, 2018c, pp. 105-123. 
  12. 이준원, "기술력 평가결과와 주식가치 간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7, pp. 1-24. 
  13. 이준원, 김주철, "기술력 평가모형과 기업부실 간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제12권, 제2호, 2017, pp. 117-137. 
  14. 이준원, 윤점열, "기술력 평가모형의 기술금융 활용 적합성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20권, 제2호, 2017, pp. 292-312. 
  15. 임동근, 정진화, "제품혁신이 기업의 수익 및 재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제25권, 제4호, 2017, pp. 239-261. 
  16. 정현승, 강창완, 김규곤, "불균형 데이터에 대한 오버샘플링 효과 연구", Journal of Korea Data Analysis Society, 제10권, 제4호, 2008, pp. 2089-2098. 
  17. Agarwal, R., "Technological activity and survival of firms", Economic Letters, Vol.52, 1996, pp. 101-108. 
  18. Banbury, C. M. and W. Mitchell, "The effect of introducing important incremental innovations on market share and business survival",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6, 1995, pp. 161-182. 
  19. Cefis, E. and O. Marsili, "A matter of life and death: Innovation and firm survival",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Vol.14, 2005, pp. 1167-1192. 
  20. Cefis, E. and O. Marsili, "Survivor: The role of innovation in firms' survival", Research Policy, Vol.35, 2006, pp. 626-641. 
  21. Coad, A., A. Segarra, and M. Teruel, "Innovation and firm growth: Does firm age play a role?", Research Policy, Vol.45, No.2, 2016, pp. 387-400. 
  22. Czarnitzki, D. and K. Kraft, "Innovation indicators and corporate credit ratings: Evidence from german firms", Economic Letters, Vol.82, 2004, pp. 377-384. 
  23. Gang, R., T. Hong, and Y. K. Park, "Multi-class SVM+MTL for the prediction of corporate credit rating with structured data",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 Vol.25, No.3, 2015, pp. 579-596 
  24. Hall, B. H.,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firm growth in the US manufacturing sector",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35, 1987, pp. 583-606. 
  25. Han, J. S., Y. K. Kwon, and S. Y. Lee, "The impacts of technology transfer on productivity growth of firms based on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 Vol.26, No.4, 2016, pp. 542-560. 
  26. Molina, C. A., "Are firms underleveraged? An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leverage on default probabilities", Journal of Finance, Vol.60, 2005, pp. 1427-1459. 
  27. Pakes, A. and R. Ericson, "Empirical implications of alternative models of firm dynamics", Journal of Economic Theory, Vol.79, 1995, pp. 1-45. 
  28. Perez, S. E., A. S. Llopis., and J. A. S. Llopis, "The determinants of survival of spanish manufacturing firms",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25, 2004, pp. 251-273. 
  29. Schumpeter, J. A.,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Harper & Row, New York, 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