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Gilt-bronze Standing Buddha and Bronze Standing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영동 영국사 출토 금동여래입상, 동제여래입상 분석 및 보존처리

  • Yoo, Jayoung (Curatorial Affairs Division, Jeju National Museum) ;
  • Yang, Seulgi (Curatorial Affairs Division, Cheongju National Museum) ;
  • Lee, Minhee (Curatorial Affairs Division, Buyeo National Museum)
  • 유자영 (국립제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 양슬기 (국립청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 이민희 (국립부여박물관 학에연구실)
  • Received : 2018.03.09
  • Accepted : 2018.05.04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and bronze standing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currently held in the collection of the Cheongju National Museum,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after scientific study. Materials analysis showed that the gilt-bronze statue was made with a ternary alloy of copper, tin, and lead, while the bronze statue is of a binary alloy of copper and tin.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bronze statue contains gold, and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o change its description to gilt-bronze standing Buddha. The gilt-bronze statue appears to have been made with lead produced in Korea. The material observed on the surface that is presumed to have been used as an adhesive for the gold coloring is thought to be lacquer. For conservation treatment, the statues were minimally cleaned using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and were treated through consolidation and protective coating.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충북 영동 영국사 출토 금동여래입상과 동제여래입상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금동여래입상은 구리, 주석, 납의 삼원계, 동제여래입상은 구리, 주석의 이원계 합금으로 확인되었다. 동제여래입상 성분분석 결과 금이 확인되어 금동여래입상으로 명칭이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금동여래입상은 국내에서 생산된 납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고, 표면에 존재하는 개금을 위한 접착제로 보이는 물질은 분석을 통해 옻으로 추정되었다. 보존처리는 상태를 확인하여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최소한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안정화처리 및 보호 코팅의 과정을 거쳤다.

Keywords

References

  1. 충청대학 박물관, 영동 영국사, p332-333, 충청대학 박물관, 청원, (2008).
  2. 김동하, 영주 숙수사지 출토 금동불상군의 제작기법 고찰, 신라문화 40, p75-106, (2012).
  3. 김동하, 신라 통일기 소금동불상의 유형과 용도에 관한 시론:경주지역 발굴출토품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 18, p7-41, (2014).
  4. 강형태.정광용.조상기.이문형, 논산시 원북리 토광묘유적 출토 청동기의 과학분석, 한국상고사학보 39, p19-30, (2003).
  5. 최 미라, 조남철, 김동민, 윤선영, 성남 판교 출토 청동보살상의 제작기법 및 납 원료의 산지추정, 보존과학회지 29, p231- 241, (2013).
  6. 이병길, 충북 지역 출토 청동유물의 금속학적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2-64, (2014).
  7. 강형태.김규호.함순섭.平尾良光.早川泰弘, 납동위원소비법에 의한 청당동유적출토 청동제대구의 산지추정, 고고학지 9, p127-136, (1998).
  8. 최주.김수철.김정배, 한국의 세형동검 및 동령의 금속학적 고찰과 납동위원소비법에 의한 원료산지추정, 선사와 고대 3, p189-213, (1992).
  9. MABUCHI Hisao & HIRAO Yoshimitsu, Lead Isotope Ratios of Lead Ores in East Asia-in relation to bronze artifacts, KOKOGAKU ZASSHI 73 No.2, p71-82, (1987).
  10. Youn-Joong, J., Chang-sik, C., Dongbok, S., Kwang-Sik, L., Hui Je, J., Mukesh, K.G, Insung, L.,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61, p116-127, (2012). https://doi.org/10.1016/j.jseaes.2012.09.008
  11. 김소진.한우림.황진주.정연중.한민수, 출토 지역과 시대에 따른 한국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류 특성, 보존과학연구 36, p4-10, (2015).
  12. 이은우.김소진.한우림.한민수.황진주,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인용사지 출토 청동기의 원료 산지 연구, 보존과학회지 30, p345-351, (2014).
  13. 최석찬, (Part I.)한국 전통 칠도막의 과학적 분석 / (Part II.)몽고 고인골에서 추출한 collagen의 안정 동위원소 성분비를 이용한 고대 식생활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45-351, (2012).
  14. Mohammad Mortazavi, Ahmad Salehi Kakhki, Mohammad Ali Golozar, Hasan Tala'I, Assessment of dissolution and morphology of the surface of cuprite patina in chemical cleaning of archaeological copper-based alloys, YOCOCU 2014: Professionals' Experiences i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in America, Europe and Asia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