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gh-tech Employees' Job Rotation Experienc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Job Rotation

첨단기업 근로자 직무순환 경험특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직무순환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문동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 라세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 김윤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8.02.21
  • Accepted : 2018.03.30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high-tech employees' job rotation experience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job rota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t also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processes through which high-tech employees' job rotation experience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employee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results from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igh-tech employees showed higher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when they were transferred to another job voluntarily, and the frequent job rotations have an adverse effect on employees' career satisfaction. It also turned out that employees' perception of job rot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otation experience characteristic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search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직무순환인식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직무순환 경험특성(직무순환 횟수, 직무순환의 자발성) 차이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첨단기업 근로자들을 표본으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발적 직무순환 경험이 경력성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빈번한 직무순환은 오히려 경력성공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직무순환의 경험특성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근로자의 직무순환 인식이 완전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특히 첨단기업들은 직무순환제도 도입 시 업종, 직무특성, 근로자의 직무순환 인식 등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통해 제도 설계와 시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호, "노인복지관의 직무순환제도가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4권, 제1호(통권 제34호), pp.27-60, 2012.
  2. Michael A. Campion, Lisa Cheraskin, and Michael J. Stevens, "Career-related Antecedents And Outcomes of Job Rot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6, pp.1518-1542, 1994. https://doi.org/10.2307/256797
  3. E. Michaeals, H. Handfied-Jones, and B. Axelrod, "The War for Talent,"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1.
  4. 이규녀, 박기문, 이병욱, 최완식, 정현옥, "기업인 적자원개발 형태와 제도가 직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인식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제9권, 제2호, pp.174-197, 2009.
  5. 유재건, "미국 인사 부서의 직무순환," 국제노동 브리프(한국노동연구원), pp.68-73, 2011.
  6. T. Ericksson and J. Ortega, "The Adoption of Job Rotation: Testing the theories,"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Vol.59, No.4, pp.653-666, 2006. https://doi.org/10.1177/001979390605900407
  7. An-Tien Hsieh and Hui-Yu Chao, "A re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pecialization, job rotation and job burnout: example of Taiwan's high-technology industr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007.
  8. 권나경, 호텔기업의 제안된 직원가치(EVP: Employee Value Proposition)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직무순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9. R. W. Beatty, C. E. Schneier, and G. M. McEvoy, "Executive Development and Management Succession," Research in persona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Vol.5, pp.289-322, 1987.
  10. W. Tharmmaphornphilas and B. Norman, "A quantitative method for determining proper job rotation intervals," Annals of Operations Research, Vol.128, pp.251-266, 2004. https://doi.org/10.1023/B:ANOR.0000019108.15750.ae
  11. 정미현, 호텔직원의 직무순환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직무순환 형태와 직무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 석사학위논문, 2010.
  12. 권나경, 김혜린, 서원석, "직무순환이 동기 부여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특1급 호텔 F&B 종사원을 중심으로,"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16, No.4, pp.163-176, 2010.
  13. G. W. Kim,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motivation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local festival participants," J Tourism Sci., Vol.27, No.4, pp.203-218, 2004.
  14. 김광호, "공무원 순환보직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 제30권, 제2호, pp.63-97, 2008.
  15. J. H. Greenhaus, S. Parasuraman, and E. M. Wolmley, "Effect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 Job Performance Evaluation and Career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1, pp.478-493, 1990.
  16. T. A. Judge and R. D. Bretz, "Political Influence Behavior and Career Success," Journal of Management, Vol.20, No.1, pp.43-65, 1995. https://doi.org/10.1016/S0149-2063(05)80004-2
  17. U. E. Gattiker and L. Larwood, "Predictors for Manager's Career Mobility, Success and Satisfaction," Human Relations, Vol.41, No.8, pp.569-591, 1988. https://doi.org/10.1177/001872678804100801
  18. 윤수민, 이재식, "고용경쟁력과 조직시민 행동 사이의 관계: 직무 불안정성과 조직불안 및 직무 열의의 이중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제1권, 제2호, pp.297-315, 2010.
  19. 권나경, 김혜린, "직무순환이 주관적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용경쟁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8, pp.431-44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431
  20. P. Knight and M. Yorke, "Employability through the curriculum," Teriary Education and Management, Vol.8, No.4, pp.261-276, 2002. https://doi.org/10.1080/13583883.2002.9967084
  21. D. T. Hall, Career in Organizations, Santa Monica, CA: Goodyear, 1990.
  22. 윤하나, 탁진국,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19, No.3, pp.325-347, 2006.
  23. 오은혜, 탁진국,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미래시간전망과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4, pp.727-748, 2012.
  24. E. H. Schein, "Career anchors revisited: Implic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in 21st century," Academy of Management Excutive, Vol.10, No.4, pp.80-88, 1996.
  25. 최순영, 장지원, 공무원 전문성 제고를 위한 경력 개발제도의 재설계방안,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2009
  26. R. F. Morriosn and R. R. Hock, "Career building: learning from cumulative work experience," In D. T. Hall, & associates, Career development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pp.236-273, 1986.
  27. 김흥국, "경력개발 이론의 평가와 연구방향,"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2, pp.1-41, 2000.
  28. R. V. Dawis and L. H. Lofquist,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4.
  29. J. Zahrly and H. Tosi, "The differential effect of organizational induction process on early workrole assess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Behavior, Vol.10, No.1, pp.59-74,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