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Germination Rate of Grafting-Stock Gourd Seeds as Affected by Durations of Ripening and After-ripening of Fruits

성숙기간과 후숙기간을 달리한 대목용 박(Lagenaria siceraria Standl.) 종자의 발아율

  • Oh, D.G.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Woo, Y.H.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Chun, J.W.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after-ripening of gourd fruits before seed collection. Five varieties of commercial gourd varieties were cultivated and the fruits were picked after 24, 31, 50, and 70 days from pollination. For after-ripening treatments the fruits were placed for five days in a cool, air-circulated place while a number of fruits were placed for longer periods to 85 days including growing period, 24 + 62 days, 31 + 55 days, 50 + 35 days, and 70 + 15 days. The seeds collected from fruits harvested on 24th day were not emerged at all, but the seeds from after-ripening treatment for 62 days showed 78% emergence or higher. The growth of seedlings showed the effects of after-ripening treatment of the fruits before seed collection; the seeds collected after ripening treatment showed better hypocotyl growth and larger embryo size than the non-treated seeds.

대목용 박은 개화 후 50~70일 정도 지난 종과를 수확하여 10~15일 간 후숙한 후 채종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정 후 종과의 수확시기와 후숙기간에 따른 발아율(발현율)을 비교하였다. 실험재료로는 2010년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정식하여 채종한 대목용 박 5품종을 이용하였다. 채종과의 수확은 수분 후 각각 24, 31, 50, 70일에 하였으며 후숙 기간은 수확 후 5일과 수확일과 후숙일을 더하여 85일이 되도록 각각 62, 55, 35, 15일 후에 채종하였다. 수분 후 24일 후에 채종한 종자는 전혀 발아하지 않았으며, 31일과 50일째 수확한 것이 경제적인 발현율을 보였다. 24일째에 수확한 종과도 62일간 후숙하면 78% 이상의 발현율을 보여 미숙과실도 효과적인 후숙을 통해 채종이 가능함을 보였고, 50일 이상 성숙한 종과의 경우 10-15일 정도의 후숙 처리를 하여도 발아율이 높은 종자를 채종할 수 있을 것으로 추찰되었다. 종자에 대한 배의 비율과 유묘의 하배축 길이와 굵기로 본 종자의 성숙도에 있어서도 후숙의 효과가 뚜렷하였으며, 24일째 수확하여 62일 후숙한 종자는 성숙한 종과에서 채종한 종자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희대학교. (2012). 박과채소 종자의 바이러스 무독화기술 개발. 농림수산식품부 최종보고서.
  2. 유은하. (2001). 박 종자의 발달 및 발아율 향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학박사 학위 논문.
  3. 유은하, 박효근, 이정명. (2001). 시판 박 품종의 종자 발아 불량 원인 구명.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01.5, 78.
  4. 유은하, 고관달, 이정명, 엄영현. (1999). 수확후 후숙 방법 및 후숙시 온도가 박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17:652.
  5. 이정명, 고관달, 양승균. (1999). 첨단가공 및 종자처리에 따른 박과채소종자의 활력극대화 및 우량접목묘 양산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농림부 농림기술개발사업보고서. 경희대학교.
  6. 한국종자협회. www.kosaseed.org.kr
  7. 農山漁村文化協會. (1996). カボチャ. 基礎編41-42. 農業技術大系. 野菜編 5. (社)農山漁村文化協會. 東京. 日本.
  8. そ菜種子生産硏究會. (1978). 野菜の採種技術. 誠文堂 新光社. 東京. 日本.
  9. AVRDC- The World Vegetable Center. Bacterial Wilt Management in Tomato (Training Manual). AVRDC Homepage. www.avrdc.org.
  10. Bie, Z., Y. Huang and M. A. Nawaz. (2015).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Vegetable Grafting. Acta Horticulturae 1086. International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1. Boncato, T. and J. Ellamar. (2015). Offseason tomato production: A new technology in Tarlac Province of Philippines. Acta Horticulturae 1086:33.
  12. George, R. A. T. (2009). Vegetable Seed Production (3rd. edition.). Cucurbitaceae, p. 162-180. CABI.
  13. Lee, K. H. (1978). Seed production science and technology. p. 100-103. Konkuk Univ. Press, Seoul, Korea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