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벌 화분은 오랫동안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어 온 대체요법 중 하나이다. 벌 화분은 항진균 및 항균작용, 항암작용, 면역조절, 그리고 세포의 증식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설치류를 이용하여 벌 화분의 양성전립선비대증의 개선 효과를 밝히기 위해 진행되었다. 벌 화분은 활성 성분의 추출률을 극대화하고, 생체 흡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나노 크기로 분쇄하여 이용하였다. 먼저, 나노 크기의 벌 화분은 만성 testosterone 투여에 의한 전립선 크기 증가를 유의하게 완화하였다. 게다가 나노 크기의 벌 화분은 혈중 전립선 특이 항원의 농도를 뚜렷하게 감소시켰다. 흥미롭게도 나노 크기의 벌 화분은 testosterone에 의한 혈중 prostaglandin $E_2$ 증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나노 크기 벌 화분의 약리 효능은 dutasterid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나노 크기의 벌 화분은 androgen-반응성 인간 전립선 샘암종 세포인 LNCaP 세포의 손상을 유도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나노화 된 벌 화분은 양성전립선비대증의 치료에 대체요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e pollen is one of many types of alternative remedies, and i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hroughout the world. It has numerous health effects, including antifung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immune modulation, enhanced cell proliferation, and even anti-carcinogenic effec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bee pollen o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rodents. For this experiment, we used nano-sized bee pollen produced through wet-grinding technology, thereby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active ingredients in the bee pollen was significantly enhanced. First, We found that nano-sized bee pollen significantly reduced the size of prostates enlarged by chronic testosterone administration. In addition, nano-sized bee pollen significantly reduced the plasma concentration of the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Interestingly, nano-sized bee pollen did not reduce the testosterone-induced increase i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prostaglandin $E_2$ ($PGE_2$). The beneficial effects of nano-sized bee pollen in reducing both the size of the prostate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of PSA was comparable to that of dutasteride. Finally, nano-sized bee pollen did not cause damage in LNCaP cells which are androgen-sensitive human prostate adenocarcinoma cells.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nano-sized bee pollen may be able to be used as a good alternative remedy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