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ourism Experience and Color Relationships Using Landmark Air Photos

랜드마크 항공 사진을 이용한 관광 경험과 색채 연관성 분석

  • 윤승식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 도진우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 강주영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Received : 2018.11.28
  • Accepted : 2018.12.31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valid link between color and tourism experience. We analyzed color that extracted by Aerial photo by IRI Image Scale to find color image. As an indicator of the experience of tourism, a review of the Tripadvisor was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Results using text mining results and IRI image scales were generally inconsistent. To identify problems with aerial pho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representative photographs provided by the Tripadvisor in the same way were the same as before. This indicate that details are key of tourism than the image of the overall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new research directions by combining color analysis studies with text mining.

본 연구는 관광지를 선택할 때 중요한 관광 경험 중 시각적 요소에 해당하는 색상과 관광 경험 사이의 유효한 연관성을 찾는 것에 있다. 즉 관광지별로 대표되는 색상이 실제 관광지에 대한 경험과 관련이 있는지 찾아봄으로써, 시각적 요소 중 색채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관광지 색상을 추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별 랜드마크 항공 사진을 사용하였고, 기술표준원의 한국 표준색 색채 분석 도구인 KSCA를 이용하여 주요 배색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색상과 색상별 형용사 간의 관계를 매칭한 IRI image scale을 통해 관광지별 주요 색상에 대한 형용사를 추출하였다. 관광 경험은 색상을 추출한 관광지에 대한 Tripadvisor 리뷰를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를 도출해 내었다. 항공 사진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Tripadvisor에서 제공하는 대표 전경 사진도 함께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색상에서 추출된 형용사과 관광지별 리뷰 주요 키워드 간의 유효한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는데, 이는 관광지 전체의 주요 색상은 관광지 세부 경험에 비해 중요한 요인이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색상 분석 연구와 텍스트 마이닝을 결합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색상을 활용한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찬, & 베나슨자르갈. (2012). 몽골 울란바타르시 관광거리의 가로 경관색채 및 이미지 분석. [Street Landscape Color & Image Analysis of Tourist Street in Ulaanbaatar, Mongolia].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4), 43-52.
  2. 김미현, 이. (2006). 영상색채 배색에 따른 IRI 이미지 스케일과의 공감도에 관한 연구 - 영화 스캔들을 중심으로. 한국색채디자인학연구, 2(4), 33-44.
  3. 김현선, 주정희, 윤혜진, 김나라, 김미숙. (2012). 자연경관을 고려한 농어촌마을 환경색채계획.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6(4), 171-183.
  4. 문은배, & 한지원. (2018). 이미지스케일을 이용 한 색채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 박혜경, & 오지영. (2012). 생태 전시공간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분석연구. [Analysis of Color Images in Ecology Exhibition Spaces].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6(1), 69-78.
  6. 이미숙. (2012). 국내 여성 정치인의 패션 이미지 분석. [A Study on the Fashion Image of Female Politicians in Korea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and Color Combination Image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4), 337-354.
  7. 전유미 (Chon Yumi) , 김선미 (Kim Sunmee). 2010. 아파트 브랜드와 패션 브랜드의 친환경 이미지 형성에 관한 비교분석 - 이미지 전략에 있어 색채 활용 연구 -. 한국디자인포럼, 29(0): 45-54
  8. 조신희, & 이문용. (2014). 온라인 제품 리뷰의 유용성 결정 요인 분석을 통한 리뷰 활용 방안 도출.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3(1), 29-40.
  9. 최문희 (Choi Moon-hee), 최문용 (Choi Mun Yong). 2008. 관광 요소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색채이미지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20(0): 283-292
  10. 최진희, & 오승희. (2015). 도시 가로의 상업공간 파사드 색채 분석을 통한 지역색채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9(1), 195-204.
  11. Amaro, S., Duarte, P., & Henriques, C. (2016). Travelers' use of social media: A clustering approa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59, 1-15. https://doi.org/10.1016/j.annals.2016.03.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