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us of Exercise and Evaluation of Indoor Exercise Environment of Seniors Living in Apartment Complex

아파트 거주 고령자의 운동실태 및 실내운동시설 평가

  • 오찬옥 (인제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권현주 (부산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02.27
  • Accepted : 2018.04.24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door exercise environment use and needs of older adults. The target population was seniors aged 60 years and older living in a newly developed apartment complex. Variables include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status of exercise, and indoor exercise environmental evaluation and needs. A total of 102 data item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and ANOVA. Noteworthy results are as below. First, community cent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the most desirable exercise environments because of affordability, exercise programs/spaces. Such exercise environments should be developed in more locations for increasing numbers of seniors. Second, indoor exercise environments need to be improved based on seniors' physical capabilities and environmental behavior. Third, supportive spaces such as restrooms, shower rooms, locker room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Fourth, seniors wanted to have walking trails and indoor swimming pools, the most desirable exercise spaces, within ten to 15 minutes walking distance.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섭, 스포츠센터 실내공간구성과 디자인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1호, 2002
  2. 김양례, 구해모, 조성식, 정수호, 윤찬중, 노인의 체육활동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국민체육진흥공간 체육과학연구원, 2003
  3. 박영선, 유수훈, 아파트 단지 내 휘트니스 시설의 이용자수에 따른 적정 시설과 공간규모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권, 6호, 2008
  4. 이소은, 이재영, 이재문, 16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건강관련체력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권, 1호, 2012
  5. 조영연, 휘트니스센터의 시설규모와 배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5호, 2002
  6. 조정연, 휘트니스센터 계획시 시설별 규모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권, 6호, 2006
  7. 조영연, 휘트니스센터의 실내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41호, 2003
  8. 최소영, 강영실, 은영, 운동 프로그램이 일개 지역 경로당 시설 노인의 삶의 질, 우울 및 신체 기능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권, 1호(B), 2008
  9. 최승욱, 24주간 규칙적인 운동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권, 6호, 2012
  10. 최정민, 공동주택 부속 휘트니스센터의 이용현황 및 디자인 선호도 분석-휴게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권, 1호, 2007
  11. 홍승연, 8주간의 개별화 운동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신체기능, 수행능력,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9권, 3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