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Kano Jigoro's Philosophical Viewpoint of Joseon: Focusing on Martial Art Philosophy

가노지고로의 조선관 연구: 무도사상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7.29
  • Accepted : 2018.09.30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Joseon held by Kano Jigoro, who was the creator of judo and spread the martial arts ideology across the world, to shed light on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 martial arts ideology spread around Korea. Conducted in this perspective, the study genera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Kano Jigoro grew up, receiving history education from classical scholars of Japan. He was accordingly influenced by the Seikanron, which argues that Empress Jingu, a mythical character, conquered Silla, Baekje and Gaya. The Seikanron became the basis of the Imna Ilbonbu theory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was projected onto martial arts ideas Jeongryeokseonyong and Jatagongyeong that were completed by Kano Jigoro and introduced into Joseon. Secondly, Kano Jigoro distributed and expanded the tale of statehood in the prism of martial arts ideology since the Meiji Restoration, which was possible because he connected his martial arts ideas to the statehood of Japan. As a result, they were used as the logic of Korea and Japan are One in Joseon unlike the rest of the world where they were applied as peace ideas. Finally, his martial arts ideology introduced into Joseon during the Japanese rule went through acculturation and showed the contradiction of being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different individuals. Most Japanese people made use of his martial arts as a means of the Korea and Japan are One policy, whereas the pioneers of the Korean people excluded Kano Jigoro's view of state, included the nationalistic features in it, and trained their martial arts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이 연구는 유도의 창시자이며 무도 사상을 전 세계에 전파한 가노지고로의 조선관을 연구하여 한국에 보급된 무도 사상의 근원적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상의 관점에서 진행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국학자들에게 역사 교육을 받고 성장한 가노지고로는 전설 속의 인물인 진구 황후가 신라, 백제, 가야를 정복하였다는 정한론에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이 정한론은 일제강점기 임나일본부설의 기반이 되었고 가노지고로가 완성한 정력선용, 자타공영의 무도 사상 역시 조선에 유입될 당시 이 정한론이 투영되어 유입되게 된다. 둘째, 가노지고로는 메이지 유신이후 국체라는 설화를 무도 사상의 프리즘에 넣어 분산 확대시켰다. 이는 자신이 만든 무도 사상을 일본의 국체와 연결시켜 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로 인해 가노지고로의 무도 사상은 전 세계에 평화사상으로 적용된 것과 달리 조선에서는 내선일체의 논리로 무도가 사용되게 된다. 셋째,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유입된 가노지고로의 무도 사상은 문화변용현상을 거치면서 각자의 해석에 따라 달리 해석되는 모순을 보이게 된다. 대부분의 일본인은 내선일체의 수단으로 무도를 활용하는 반면 한민족 선각자들은 가노지고로의 국가관을 배제시킨 후 민족주의적 특성을 내제시키면서 민족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무도를 수련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