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족의 가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자가족과 부자가족의 지출 비교

Determinants of household expenditure in single-parent families: A comparison between single-mother families and single-father families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7.12.01
  • 심사 : 2018.02.14
  • 발행 : 2018.02.28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for single-parent families to better underst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o consider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cisions on monetary allo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and the determinants of expenditure patterns for single-father families as compared to those for single-mother families. A series of analyses of the data, which was gathered from the 2015 Single-parent Family Survey on household expenditur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expenditure volumes and patterns between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of expenditure and variations in the share that was allocated for each expenditure category in single-father families as compared to in single-mother families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parities were found in seven categories of household expenditure between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The amount allocated from total expenditures for each expenditure categor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in regards to clothing, home equipment, housing, water/light/heat costs,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The determinants of the total household expenditure for single-parent families were age,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family members, public transfer, household income, assets, and deb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기정.박수선(2013).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 사례관리 실천 경험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39-62.
  2. 고선강(2014).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93-114.
  3. 고선강(2015). 부모의 성별에 따른 한부모가계의 경제자원 차이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95-120.
  4. 곽민주.이희숙(2003). 재무비율을 이용한 편모가계의 재정상태 평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4(1), 55-71.
  5. 김진욱(2010). 한부모 가구의 빈곤과 소득이전: 양부모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1), 101-125.
  6. 노정자.강기정(2012). 한부모 이혼 남성의 홀로서기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45-163.
  7. 문은영(2011).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공공사회연구, 1(2), 135-174.
  8. 박정윤.원아름(2014). 한부모가족 자녀의 학교 생활적응: 개인자원, 가족자원, 발달환경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21-141.
  9. 배다영.진미정(2011). 한부모의 성별 및 가구 구성별 경제적 여건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5), 1-20.
  10. 배미경(1998).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비결정 함수 분석. 소비자학연구, 9(4), 83-100.
  11. 서지원(2013).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자원의 삶에 질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03-124.
  12. 손서희(2013).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59-75. https://doi.org/10.7466/JKHMA.2013.31.2.059
  13. 손진분.박미려(2007). 한부모 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45-65.
  14. 양세정(2005). 편모가계와 양부모가계의 소비지출 행태 비교. 사회과학연구, 20, 1-20.
  15. 여성가족부(2015). 2015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6. 여윤경.양세정(2001). 가구유형에 따른 소비지출패턴 비교 분석. 소비자학연구, 12(4), 65-81.
  17. 이성림(2004). 편모가계 여성가장의 취업 및 가계의 경제상태: 양부모 가계와의 비교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69-179.
  18. 이현주(2017). 저소득층의 소비 특성과 그 함의. 보건복지 Issue & Focus, 331, 1-4.
  19.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 성미애.이현아(2010).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
  20. 진미정.김은정(2004).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사회복지연구, 27, 163-188.
  21. 최홍철.최현자(2014). 가구유형을 고려한 생애주기와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7(3), 93-125.
  22. 통계청(2014).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대전: 통계청.
  23. 통계청(2016). 2016 인구총조사 자료. 대전: 통계청.
  24. 통계청(2017). 장래가구추계: 2015-2045. 대전: 통계청
  25. 홍성희.김혜연.김성희.윤소영.고선강 (2008). 건강가정을 위한 가정자원관리. 서울: 신정.
  26. Hanson, T., McLanahan, S., & Thomson, E. (1998). Windows on divorce: Before and after. Social Science Research, 27, 329-349. https://doi.org/10.1006/ssre.1998.0625
  27. Ziol-Guest, K. (2009). A single father's shopping bag purchasing decisions in single-father families. Journal of Family Issues, 30(5), 605-622. https://doi.org/10.1177/0192513X083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