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by boomers' resource transfer of their adult children and level of later-life preparation

베이비붐 세대의 성인기 자녀에 대한 자원 제공과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 Ko, Eun-Bee (Dept. of Family Studies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 ;
  • Kye, Sun-Ja (Dept. of Department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
  • 고은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가족학과) ;
  • 계선자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Received : 2017.11.23
  • Accepted : 2018.02.1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source transfer for baby boomers' adult children and related factors pertaining to baby boomers' later-life prepa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16 using written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05 baby boomers resid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and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percentile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 t-test, one-way ANOVA, Cronbach's alpha,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aby boomers' average level of later-life preparation was found to be 3.45/5, a relatively rational score. Baby boomers tended to transfer more resource from their adult children when they had many adult childre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 Baby boomers' level of later-life preparation was higher when there was lesser resource transfer of their adult children. The greatest influential variables pertaining to the respondents' later-life preparation were their family's income, children's marital status, satisfaction with their romantic relationship, and level of transfer from their adult children. It was concluded that baby boomers have insufficient later-life preparation in terms of finances due to their need to support their adult children; thus, nation-wide practical programs are needed to prepare baby boomers for a happy life.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12).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03-121.
  2. 고선강(2014).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간 경제자원 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79-101.
  3. 곽인숙(2011).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07-127.
  4. 곽인숙.홍성희(2013).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전.후기집단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47-172.
  5.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6. 김정미.엄기욱(2014).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4), 197-221.
  7. 김혜경.마경희(2015). 베이비부머 세대의 집단주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전기 베이비부머 여성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9(2), 37-70.
  8. 뉴시스(2017.2.26). '미운 우리 새끼' 황혼육아에 노부모들 '번아웃 증후군'.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221_0014718460.
  9. 박다정(2015).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주희(2016).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족 특성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1-17.
  11. 방하남.신동균.이성균.한준.김지경.신인철 (2010). 한국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2.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2010). 베이비부머 연구 특집. https://ioa.snu.ac.kr
  13. 손기복(2014). 베이비부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 건강상태 및 여가활동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송경미(2016).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승희(2010).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의수(2006). 베이비붐 세대의 실버타운 입지 및 주거유형 선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여성가족부(2010).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8. 유정헌.성혜영(2009).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관계 만족도의 중재효과. 한국노년학, 29(2), 717-728.
  19. 유효순(2016). 중장년층의 가족관계 특성,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미선(2012). 베이비붐 세대의 노부모 부양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승신(2013).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여부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44(2), 73-95.
  22. 이용재(201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5), 253-26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53
  23. 이윤석(2011). 부모의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관련 태도: 자녀, 어머니, 아버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3), 1-30.
  24. 이준희(2017). 중.장년층의 가족특성, 노후인식 및 사회적지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임다영(2017).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경희(2010).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진입에 따른 정책과제. 한국사회보장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및 복지재정 학술대회 자료집. 1-21.
  27. 정경희(2012). 베이비 부머의 가족생활과 노후생활 전망. 보건복지포럼, 192, 40-49.
  28. 정경희.이소정.이윤경.김수봉.선우덕.오영희.김경래.박보미.유혜영.이은진(2010).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정순둘.김성원(2013).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 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한국노인복지학회지, 59, 237-256.
  30. 정순둘.김예솔(2014).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 영향요인: 성역할인식과 부양부담의 역할을 중심으로. 가족관계학회지, 18(4), 181-197.
  31. 최여진.이재림(2014). 성인자녀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도구적 지원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32(5), 87-105. https://doi.org/10.7466/JKHMA.2014.32.5.87
  32. 최연실(2014). 성인자녀의 부모 동거 현황 및 분석틀의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4), 75-89. https://doi.org/10.7466/JKHMA.2014.32.4.75
  33. 추기철(2000). 한국 중년층의 노후 대책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통계청(2017). 고령자통계. 통계청.
  35.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0). 여성가족패널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6. 한정애(2014). 베이비부머세대 부모와 에코부모세대 자녀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비교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한주리.허경호(2005).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에 따른 자녀의 성격 및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봄학술대회, 29-31.
  38. Buchmann, M.C., & Kriesi, I.(2011). Transition to adulthood in Europe. Annual Review of Sociology, 37, 481-503. https://doi.org/10.1146/annurev-soc-081309-150212
  39. Kobayashi, M.(2013). 한국의 미혼 성인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지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국제대학원 국제학과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