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talization of Ecological, Scenic, Participative aspects of Urban Agriculture - Focusing 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Recognitions -

생태, 경관, 참여 측면의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모색 - 인구집단 특성과 개인의 주관적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12.13
  • Accepted : 2018.12.22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bjective opinions of urban agriculture in order to explore ways to vitalize urban agriculture. More specifically, we divides environmental value into three categories of ecology, landscape, and participation, and defines a function of urban agriculture to improve environmental values related to the three categories mentioned above. The main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survey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bability of gathering information about urban agriculture is higher in metropolitan cities than small cities, and the larger the residence siz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actual urban agriculture participation. Second, the positive response rate was high for the three categories of urban agriculture, while the negative response rate was high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pposite results of experiences of urban agriculture suggest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further promote urban agriculture-based investment policies. In addition, these policies need to be preceded by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groups in the region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 through urban agri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농업에 대한 경험과 주관적 의사에 대한 실증 분석을 바탕으로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환경 가치를 생태, 경관, 참여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고 도시농업이 이들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을 도시농업의 주요 기능으로 정의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에 대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도시보다는 대도시에서 도시농업 관련 정보를 접하였을 확률이 높으며, 주거공간 규모가 클수록 실제 도시농업 참여 경험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농업의 세 가지 범주별 기능에 대하여 긍정적인 응답 비율이 높은 반면, 거주지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데에서는 부정적 응답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주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도시농업에 대해 들어본 경험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참여경험이 낮은 양상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농업 기반 투자 정책이 더욱 활성화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이들 정책이 보다 미시적인 단위에서의 실질적 수행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집단 특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도시농업이 생태, 경관, 참여 측면의 환경 가치를 제고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표 1> 도시농업에 대한 경험에 대한 이항 로짓 분석 결과

GJOHB6_2018_v34n4_35_t0001.png 이미지

<표 2> 도시농업의 각 기능에 대한 우호적 태도 및 이를 포기하는 개발행위에 대한 응답 분포

GJOHB6_2018_v34n4_35_t0002.png 이미지

<표 3> 환경의 생태적 가치 및 도시농업의 ‘생태적 기능’에 관한 응답 결과

GJOHB6_2018_v34n4_35_t0003.png 이미지

<표 4> 환경의 경관적 가치 및 도시농업의 ‘경관적 기능’에 관한 응답 결과

GJOHB6_2018_v34n4_35_t0004.png 이미지

<표 5> 환경의 참여적 가치 및 도시농업의 ‘참여적 기능’에 관한 응답 결과

GJOHB6_2018_v34n4_35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수봉.조진희.정응호, 2002, 환경친화적 도시와 도시농업, 환경과학논집, 7(1), pp.71-91.
  2. 김재홍, 2006, 환경자원의 경제적 가치와 환경오염의 사회적 비용, 아산재단 연구총서 Vol. 217, 집문당.
  3. 김종덕, 2002, 농업의 세계화와 대안 농업 운동, 농촌계획, 12(1), pp.133-159.
  4. 문원.정병룡.김기선.주영규.이종석.최명철 외, 2007, 생활원예,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5. 박사근, 2007, 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이용한 심리적 소음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오대민.최영애, 2006, 자연과의 만남으로 나와 세상을 치유하는 도시농업, 서울: 학지사.
  7. 유병규, 2000, 도시근교농업의 복합산업화와 공간 활용, 농촌계획, 10, pp.37-70.
  8. 이광영, 2003, 문화 및 녹지.생물생태계 계획에 의한 녹색도시 구현에 관한 연구, 공학연구, 4, pp.93-115.
  9. 이성우.민성희.박지영.윤성도, 2005, 로짓.프라빗모형응용, 서울: 박영사.
  10. 임정빈, 2003,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제적 논의 내용과 주요 쟁점, 농업생명과학연구, 37(3), pp.83-90.
  11. 장동헌.소순열, 2005, 도시농업의 경영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농업을 사례로, 농업생명과학연구, 36, pp.86-102.
  12. 장동헌, 2006, 생태지향형 도시농업에 관한 연구-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장동헌, 2009, 도시농업 육성의 정책적 함의, 산업경제연구, 22(2). pp.979-994.
  14. 장준호.김은옥.조지은, 2010, 도시농업관련 프로그램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안양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연구, 35(2), pp.61-70.
  15. 최병덕, 2009, 아파트 단지 내 텃밭 조성의 효익에 관한 연구 : 용인동백지구 D아파트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홍근주.김수미.이범천.이동희.안성관, 2009, 컬러테라피가 스트레스와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1), pp.51-59.
  17. Bourque, M., 2000, Policy options for urban agriculture. Growing cities, growing food, Urban agriculture on the policy agenda, pp.119-145.
  18. De Zeeuw, H., Guendel, S., & Waibel, H., 2000, The integration of agriculture in urban policies. Growing cities, growing food, Urban agriculture on the policy agenda, pp.161-180.
  19. G. S. Maddala, 1983, Limited-dependent and qualitative variables in econometrics, Cambridge [Cambridgeshir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Mogk, J. E., Wiatkowski, S., & Weindorf, M. J., 2010, Promoting urban agriculture as an alternative land use for vacant properties in the city of Detroit: Benefits, problems and proposals for a regulatory framework for successful land use integration, Wayne L. Rev, 56, pp.1521-1580.
  21. Smit J, Nasr J. & Rattu A., 1996, Urban agriculture: a neglected resource for food, jobs and sustainable cities, New York: UNDO.
  22. T. F. Liao, 1994, Interpreting probability models: Logit, Probit, and Other Generalized Linear Models, Sage University Papers Series: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