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eference of Baekje culture relic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adolescents

청소년의 백제문화 유물에 대한 선호도와 패션문화상품 구매행동 연구

  • Lee, Mi-sook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08.13
  • Accepted : 2018.12.21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reference of Baekje culture relics and to examine purchasing behavior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421 adolescents and measuring instruments consisted of Baekje relics preference items, fashion cultural products purchasing behaviors items, and subject' demographic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x^2$ test,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prefer crown ornaments of the King Muryong in Kongju region, and gilt-bronze incense burner and halo in Buyeo region. Second, as fashion cultural products,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prefer T-shirts and accessory items, and modern image. As product selection criteria, they considered aesthetic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symbolism and practicality. Adolescents evaluated the resonable purchase price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s less than 20,000 won for T-shirts, cap & bag, and less than 10,000 won for accessories. The adolescent's satisfaction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was low, and the main dissatisfaction was high prices, and the lack of practicality and diversity. Third, the preference for Baekje cultural relic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differed according to age and sex of adolescents. This study showed that fashion culture products for adolescents need to be designed in a modern sense with a unique cultural symbolism, focusing on T-shirts and accessories items. In addition, fashion cultural products companies should established the product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of adolesc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민. (2013). 지역 관광콘텐츠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및 산업화 방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정철. (1994). 쇼핑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태원 쇼핑관광객의 구매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정현, 권영숙. (2003). 한국 전통주머니에 나타난 감성이미지. 복식, 53(4), 1-16.
  4. 고은주, 장남경. (2003).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의복행동 연구를 통한 패션마케팅 전략제안. 대한가정학회지, 41(12), 13-26.
  5. 김하연. (2008).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한국인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희강, 윤초롱. (2011). 청소년들의 전통문화 인식에 따른 한국적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이미지 연상. 한국의류학회지, 35(1), 51-62.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051
  7. 서서영. (2014). '백제문화제'를 기반으로 한 티셔츠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17(3), 175-192.
  8. 서철현, 조지현. (2002). 방한 외래관광객의 의류상품 구매동기와 구매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67-380.
  9. 신대택, 박승철. (2012). 백제문화상품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공주.부여 국립박물관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0(5), 333-338.
  10. 이동연, 이중석. (2008). 사비 백제의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문화상품 개발 방안 연구. 디자인학연구, 21(5), 169-182.
  11. 이상미, 김정호. (2007). 충청지역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백제 문화상품 현황조사. 한국가구학회지, 18(3). 224-233.
  12. 이미숙. (2016). 백제의 전통문화를 활용한 문화상품의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3), 85-98.
  13. 이미숙. (2016). 백제 전통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현황 분석. 2016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차 학술대회 논문집, 39-41.
  14. 이미숙. (2008).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관의 내면화가 청소년들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식학회, 58(6), 96-109.
  15.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 (2005). 한국 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968-977.
  16. 이해준. (2004). 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백제문화콘텐츠 확대방안. 백제문화, 33, 209-230.
  17. 이호선. (2011). 지역특성화를 위한 문화관광 상품 브랜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9, 171-181.
  18. 장세정, 이유리. (2008).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4), 669-680. https://doi.org/10.5850/JKSCT.2008.32.4.669
  19. 장수경. 김재숙. (2000). 한국 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4(2), 214-225.
  20. 전희관. (2015). 백제 유물과 문양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백제문화권 방문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정지연. (2011). 구매특성을 중심으로 백제전통문양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조윤진. (2007). 한국방문 외국인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현선희, 배수정. (2007). 패션문화상품의 한국 전통문양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 1252-1261, https://doi.org/10.5850/JKSCT.2007.31.8.1252
  24. 한국관광공사. (2018 6. 18). 2018년 한국관광공사 핵심사업계획. 자료검색일 2018. 8. 3. 자료출처 http://kto.visitkorea.or.kr/kor/notice/news/policy/board/list.kto?ins tanceId=420.
  25. 한국관광공사. (2018. 7. 2). 2017 숫자로 보는 한국관광. 자료검색일 2018. 8. 3. 자료출처 http://kto.visitkorea.or.kr/kor/notice/data/report/org/board/view.kto?id=429964&isNotice=false&instanceId=127&rnum=1.
  26. 한국관광공사. (2014. 5. 19). 2013 청소년 국내 관광 현황 및 수요 조사. 자료검색일 2015. 10. 12. 자료출처 http://kto.visitkorea.or.kr/kor/notice/data/report/org/board/view.kto?id=421433&instanceId=127.
  27. Cave, J., Ryan, D., & Panakera, C. (2007). Cultural tourism product: Pacific island migrant perspectives in New Zealand,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 435-443. https://doi.org/10.1177/0047287506295908
  28. MacGillivary, M. S., & Wilson, J. D. (1997). Clothing and appearance among early, middle, and late adolescen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5(1), 43-49. https://doi.org/10.1177/0887302X97015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