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ness Evalution of 18F-FDG Auto Dispenser (RIID: Radiopharmaceutical Intelligent Dispenser)

18F-FDG 자동분주기 사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 Yoo, Moon-G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Vincent's Hospital) ;
  • Moon, Jae-Se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Vincent's Hospital) ;
  • Kim, Su-Ge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Vincent's Hospital) ;
  • Shin, Min-Y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Vincent's Hospital) ;
  • Kim, Seung-Chu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Vincent's Hospital) ;
  • Lee, Tea-h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Vincent's Hospital) ;
  • An, Sung-Hye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Vincent's Hospital)
  • 유문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 문재승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 김수근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 신민용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 안성철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 이태훈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 안승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5.10.02
  • Accepted : 2015.10.13
  • Published : 2018.10.31

Abstract

Purpose $^{18}F-FDG$, which is commonly used in PET-CT examinations, is low in capacity an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amount of radioactivity busy when the specific activity is high, increasing the amount of space dose and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the distribution room. Therefore, while evaluating the actual dose administered to patients during the manual dispense process, the medical institution intend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 auto dispenser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from the actual dose administered to the patient using the new automatic dispens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16 to December 2016, 846 patients were manually administered by workers using $^{18}F-FDG$ and $^{18}F-FDG$ 906 patients were using auto dispenser from July 2017 to December 2017. Results Capacity administered to patients during the manual dispense averaged $35.41{\pm}27.79%$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ose, and the auto dispenser process showed a small difference of $-2.15{\pm}3.99%$ compared to the recommended dose(p<0.05). Conclusion Working people did not have to touch radioactive medicines directly while they were busy in the auto dispenser, and because of the availability of other tasks far away, the time and distance to receive the exposure were also advantageous. It is believed that future use by many medical institutions will not only reduce the dose to patients but also help reduce the exposure dose to workers.

$^{18}F-FDG$가 비방사능이 높을 때는 원하는 만큼의 방사능량을 분주하기 어려워 작업시간이 증가하여 분배하는 실내의 공간선량율 및 방사성 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수동분주 과정에서 환자에게 투여되는 실제 용량을 평가함과 동시에 자동분주기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되는 실제 용량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자동분주기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2016년 7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18}F-FDG$를 이용하여 작업종사자가 수동 분주하여 투여한 환자 846명과 2017년 7월 부터 2017년 12월까지 자동분주장치에서 분주된 $^{18}F-FDG$를 투여한 환자 9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 체중의 10%에 해당하는 권고용량을 기준으로 실제 투여량과 권고용량 대비 상대오차를 산출하여 두 그룹 간의 평균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동분주과정에서 환자에게 투여된 용량은 권고용량 대비 평균 $35.41{\pm}27.79%$로 나타났고 자동분주과정에서는 권고 용량 대비 평균 $-2.15{\pm}3.99%$로 나타나 자동분주과정에서의 권고용량에 대한 상대오차가 월등히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자동분주기에서 분주되는 동안 작업종사자가 직접 방사성 의약품을 만질 필요가 없으며 멀리 떨어져 다른 업무가 가능하므로 피폭을 받는 시간과 거리를 함께 감소시킬 수장점이 있었다. 향후 많은 의료기관에서 도입하여 사용할 경우 환자에게 투여되는 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종사자들의 피폭선량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준기, 고창순 핵의학 제3판
  2. 문아름, 이혁, 곽인석, 최성욱, 석재동 PET/CT 검사에서 영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한 18F-FDG 투여량의 평가.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gnology v.15 no.2,2011년, p36-40
  3. 이정은,김호성,류재광,정우영.방사성 의약품 자동 분주장 치의 유용성 및 최적화된 분주방법에 관한 고찰.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gnology. v.17 no.2,2013년,p59-66
  4. 조영권.PET 검사에서 작업종사자의 방사선 노출 선량을 줄 이기 위한 자동 분주/주사 시스템의 유용성. The Korea Contents Sosiety. v14 no.8,2014년 p220-22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20
  5. Lecchi M1, Lucignani G, Maioli C, Ignelzi G, Del Sole A.Validation of a new protocol for $^{18}F$-FDG infusion using an automatic combined dispenser and injector system. Europ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Vol.39 No.11[2012] p.1720-1729 https://doi.org/10.1007/s00259-012-2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