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subjects related to future profession of high school girls.

여고생들의 미래 직업과 연계된 정보과목에 대한 인식 분석

  • 장혜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이원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Received : 2018.01.02
  • Accepted : 2018.02.28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It is time to release manpower to cope with and adapt to the job crisis caus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career education by measuring the information subjects and programming language awarenes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ing the adaptability to SW field of wo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300 high school girl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had a good knowledge of computer and computer literacy, the students who recognized the programming language showed more confidence in computer and the students who recognized programming language preferred the information related occupation. Also, correlation analysis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and 'motivation' factors in 'confidence' and 'preference' fac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mphasis on career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starting point of information subject are important for future female students to be connected with computer related jobs.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직업위기에 대처하고 적응하기 위해서 인력 배출이 필요한 때이다. 본 연구는 여성들의 SW분야에 대한 적응력을 고려하여 여고생들의 정보과목과 프로그래밍 언어 인지 여부를 측정하고 미래 진로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여고생 30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과목을 배운 시기가 빠르고, 컴퓨터 자격증을 보유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를 인지하는 학생일수록 컴퓨터에 대해 자신감을 보였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인지하는 학생이 정보관련 직업을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자신감'과 '선호도' 요인에서 '선호도'와 '동기' 요인에서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미래에 여학생들이 컴퓨터 관련 직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진로 교육에 대한 강조와 정보과목의 교육 시작 시점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2. 이금순, 천예진, 이해연 (2016). 초.중.고등학생 대상 효율적 SW 자격증 교육 방법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6.
  3. Frey, C. B. and M. A. Osborne(2017).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Oxford Martin School Working Paper Technological forecasting social change, Vol.114 No.-.
  4. 이채욱 (2017). 직업 흥미, 가치, 지식, 역량과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고용 대체 위험도 분석. 석사학위 논문, 고려사이버대학교 융합정보대학원.
  5. 정문숙 (2017). 여고생의 자기효능감, 부모-자녀관계 및 교사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6. 안상희, 이민화 (2015).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통합학술발표논문집, 2016.8, 2344-2364.
  7. 이윤우, 진석언 (2011). 여자대학생의 진로탐색활동을 위한 직업카드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6 No.2.
  8. 송효진 (2012). 여성 IT인력 과소공급해결을 위한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공학교육인증.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2.
  9. Good, Woodzicka (2010). The effects of gender stereotypic and counter-stereotypic textbook images on science performanc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50 No.2.
  10. https://kess.kedi.re.kr/
  11.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각년도) 교육통계연보, 학교 기본 통계.
  12. 김정민 (2016). SW여성인력 현황 비교 분석 - 국내외 여성 통계를 중심으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16-004호.
  13. https://www.techfuturegirls.com/
  14. http://womeninitawards.com/
  15. https://girlswhocode.com/
  16. 유영신 (2017).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중국의 ICT 산업 및 정책 동향. 미래창조과학부 ICT R&D기획 및 분석지원사업, s17-05.
  17. 한화진 (2017). 4차 산업혁명시대, 여성과학기술인의 도전과 기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18. 2016 - 세계경제포럼.
  19. 최윤정 외 3인 (2016). 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 실태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20. 국가 SW 역량강화를 위한 종합 계획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17.
  21. Judith S. McIlwee and J. Gregg Robinson (1993). Women in Engineering: Gender, Power, and Work Place Culture. Social forces, Vol.71 No.3.
  22. 민무숙, 이정희 (2005). 공학 분야 전공 여성들의 교육과 직업경험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Vol.15 No.2.
  23. 최보라 (2010). 여성 공학교육의 실태분석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4. T. Beaubouef and P. McDowell (2008). Computer science: student myths and misconceptions. Journal of Computing Sciences in Colleges, Volume 23 Issue 6, Pages 43-48.
  25. 손은정, 우애자 (2003).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Vol7 No.2.
  26. Beasley, Fischer (2012). Why they leave: The impact of stereotype threat on the attrition of women and minorities from science, math and engineering majors.
  27. Beyer (2003). Gender differences in computer science students. SIGCSE '03 Proceedings of the 34th SIGCSE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Pages 49-53.
  28. 유병건 (2012).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문제해결과정의 관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5 No.6.
  29. Gorp, M. J. V., Grissom, S. (2001). An Empirical Evaluation of Using Constructive Classroom Activities to Teach Introductory Programm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11(3), 247-260. https://doi.org/10.1076/csed.11.3.247.3837
  30. 차명수, 노재정, 유병항 (1996). 공업계 고등학교 남.여학생의 진로의식 비교 연구. 생산기술연구지, 3, 85-97.
  31. 손민경 (2011). 컴퓨터교육에서의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학습효과 분석 및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32. 유병건 (2014). 학습자 특성이 프로그래밍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5.
  33. 이준하 (2003). 중학교 학생의 컴퓨터 수행력 및 태도 분석. 석사학위 논문,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34. 한국 고용 직업 분류(KECO : Korea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