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 to minimize rice damages and enhance timely control by accurately classifying Whitebacked Planthopper (WBPH). The body size of the 1st-3rd instar was 1.5-2 mm, and the body size of the 4-5 instar was 2.5-3.5 mm. In the third instar, the ratio of the front wing bud and the back wing-bud was 1:1. The fourth instar occupied 3/4 of the front wing-bud, and the 5th instar showed that the front wing-bud covers the back wing-bud. It was confirmed that the 1st instar does not have a sensory plate, the 2nd instar has 2-3, the 3rd instar has 4-5, the 4th instar has 6-9, the 5th instar has 10-15, and the adult instar has 15-20 sensory plates. The female spawning organs were reddish when the spawning horn was inserted. WBPH showed that the larvae of 2-3 larvae most actively feed on rice, and the damaged area was the stem of rice near the ground. In addition, a partial black wound was observed after the feeding. WBPH-susceptible 'Chucheong' was yellowish, and early growth was slower than that of 'Cheongcheong', which was resistant; moreover, a difference between susceptibility and resistance was observed. The identification of the number of such wounds in the bioassay will be a better basis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in susceptibility between WBPH strains and cultivars.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ultivating the WBPH-resistant varieties of rice.
본 연구는 흰등멸구를 정확히 구분하여 벼 피해를 최소화하고 적기에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 1~3 령충의 몸의 크기는 1.5~2 mm이였고, 제 4~5 령충은 2.5~3.5 mm 정도로 확인하였다. 제 3령충은 앞날개시아와 뒷날개시아의 비율이 1:1이였으며, 제 4 령충은 앞날개시아가 전체의 3/4을 차지하고, 제 5령충은 앞날개시아가 뒷날개시아를 모두 덮는 것을 관찰하였다. 제 1 령충은 감각판이 없으며, 제 2 령충은 2~3개, 제 3 령충은 4~5 개, 제 4 령충은 6~9 개, 제 5 령충은 10~15 개, 그리고 성충은 15~20 개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암컷의 산란기관과 산란 시에 산란관을 삽입한 부위가 붉게 변화됨을 관찰하였다. 흰등멸구는 주로 2~3 령충이 가장 활발하게 벼를 흡즙하였고, 그 피해부위는 지면과 가까운 볏대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흡즙후에는 부분적으로 검은 상처가 난 것을 관찰하였다. 흰등멸구의 감수성을 가지는 '추청'은 저항성인 '청청'에 비해 조기에 황변되고 초기 생육이 부진하여 감수성과 저항성간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생물 검정에 있어 이러한 상처의 수를 파악하는 것은 흰등멸구의 계통 품종 간 감수성의 차이를 보다 쉽게 파악 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는 벼의 흰등멸구 저항성 품종 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