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뇌전도를 활용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평가

The Brand Identity Design Evaluation Using EEG Measurement

  • 한유림 (조선대학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
  • 김다솔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 한지애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 류시천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투고 : 2018.07.23
  • 심사 : 2018.12.21
  • 발행 : 2018.12.31

초록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는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적 인지활동에 영향을 주는 핵심 자산이다. BI 디자인 개발의 초기 기획 단계에는 기업 고유의 차별화된 접근 전략이 요구되고, 더불어 마지막 BI 디자인 평가단계에서는 잠재 소비자들을 활용한 합리적인 디자인 평가 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BI 디자인 평가 과정은 대다수가 설문조사에 의존함으로써 해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험자들의 '왜곡된 심리 표출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다수의 BI 디자인 시안에 대한 우선순위의 선호도 조사 방식에 덧붙여, 피험자의 뇌파측정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이 BI 디자인 평가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피험자 선호도 조사 결과와 피험자 뇌파측정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매력성'과 '집중도'를 변수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매력성'에 관한 선호도 조사 결과와 '집중도'에 대한 뇌파 측정 결과의 상관관계가 높음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전통적인 정성적 평가방식에 덧붙여 뇌파를 활용한 디자인 평가 방법이 BI 디자인과 같은 암묵적 지식 대상을 평가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Brand identity (BI) is a key asset that affects consumers' psychological cogni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initial planning stage of the BI design development for a company, a unique approach strategy is required. In the final evaluation stage, a reasonable design evaluation method involving potential consumers needs to be prepared. However, conventional brand identity design evaluation processes tend to depend on the results of surveys, and in many cases it is impossible to be free from the distorting phenomenon of survey respondents' psychological manifestation which is often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survey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has explored whether the method of utilizing EEG data of the subjects along with the conventional survey method of preference could be helpful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brand identity design. To achieve that, we correlated the subject's preference survey results with the subject's EEG data. 'Attractiveness' and 'concentration' were used as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preference survey on 'attractiveness' and the results of 'EEG' on 'concentration'.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nventional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we confirmed that design evaluation methods using EEG are useful for evaluating tacit knowledge objects such as the BI desig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상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참여를 통한 브랜드 경험 사례 분석 : Generative logo를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제19권, 제3호, 263-272쪽, 2016년 8월
  2. 임형신, "한자 브랜드 이미지에서 시각적 매력 속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8년 2월
  3. 조성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시각적 표현요소분석 연구 : 최근 심볼 및 로고가 변경된 IT기업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29권, 359-368쪽, 2010년 11월
  4. 조은경, "로봇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뇌파분석 적용에 관한 연구 -산업용 양팔로봇의 형태적 디자인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4년 12월
  5. 이진렬, "한국과 미국의 디자인 컨설팅기업의 운영현황 비교분석,"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1호, 1-9쪽, 2016년 3월
  6. 이승환, 뇌파의 이해와 응용, 학지사, 42-55쪽, 2017년.
  7. 문서란, "노래활동이 뇌의 주의집중도와 뇌 활성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5년
  8. 심미희, "빅데이터 통계그래픽스의 유형 및 특징 : 인지적 방해요소를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저널, 제3권, 제3호, 26-35쪽, 2014년 9월
  9. 박준수, "카페공간에서 좌석 선호에 대한 뇌파의 주의집중도 활성화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6권, 제4호, 221-229쪽, 2016년 12월
  10. Yu-Rim Han, "The Psychological Stability by Change of Color Area Size," SMA2017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media & applications, pp 17, Paradise Garden Resort, Boracay, Philippines , Dec.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