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creased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litary Deaths realized by College Students

대학생이 인식한 청년 1인 가구 및 청년 고독사 증가 현상

  • Park, Su-Sun (Department social welfare, Seowon University)
  • 박수선 (서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on college students to identify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litary Deaths of single-person households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This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address problem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cial problems such as future youth solitary death and will contribute to building a social safety net. This study conducted FGI to analyze data for five fourth grader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the case of involuntary independent living, the high poverty and unemployment rat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as cited as the cause of economic instability, housing problems and emotional relationship formation. He said that he thinks about young loneliness because he has vague fears about what happens in the media and what can happen to them. As the number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inevitably increase in the coming months and economic difficulties are the biggest problem and the biggest cause of young solitude,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first, especially for housing cost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여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청년 1인 가구와 고독사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는 청년 1인 가구의 문제점과 향후 청년 고독사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고 사회 안전망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 4학년 5명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청년 취업 문제를 청년 1인 가구 증가의 가장 큰 원인으로 제시했다. 비자발적 독립생활의 경우, 청년 1인 가구의 높은 빈곤과 실업률은 경제적 불안정, 주거 문제 및 감정적인 관계 형성의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대부분의 연구 참가자들은 청년기는 더 이상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시기가 아니라 처음부터 경제적 압력에 시달리는 시기라고 하였다. 청년 1인 가구의 높은 음주율과 흡연율도 문제로 인식되었고 이는 만성 질환, 우울증 및 자살과 같은 심각한 육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를 발생한다고 인식하였다. 청년 고독사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일어나는 사건마다 막연한 두려움을 갖게 되며 본인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하였다. 청년 1인가구는 앞으로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비자발적인 1인 가구의 경우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큰 문제이며 청년 고독사의 가장 큰 원인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도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주거비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Table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DJTJBT_2018_v16n12_635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E. H .Erikson. (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2. J. J. Arnett. (2000).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480. https://doi.org/10.1037/0003-066X.55.5.469
  3. M. H. Jang, H. S. Jung, K. H. Ma, Y. J, Kim, Y. H. Kim & Y. K. Seo. (2011).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adulthood transitio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4. K. S. Eun, G. Park, Y. I, Kweon & S. N. Jung. (2011). A study on adulthood transition of the vulnerable youth.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5. B. H. Lee et al. (2010).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adulthood transition in Korea.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 Korea Labor Institute.
  6. K. H. Kim, H. S. Ha & I. C. Shin. (2016). A study on youth society, economic situation, and policy plan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7. S. M. Lee. (2017). Youth life and support policy, Fall Conference presentation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95-108.
  8. I. J. Song. (2016). Study on the status of solitude death and support plan. Seoul Welfare Foundation.
  9.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Korean social trends 2012.
  10. M. J. Lee, Y. S. Choi & S. .S. Lee.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atus and Social Implications of Single-Person Households. Social Science Research, 27(1), 229-253.
  11. E. Y. Lee. (2018). Can Suicide Resulting From Disconnection and Alienation Be Designated As Solitude ? - Focusing On The New Formulation Of Concept And Object of Solitude. Journal of human, environment, future, 21, 71-102.
  12. S. H. Kang & D. S. Ra. (2013).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between Senior Student' University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4), 49-71.
  13. H. S, Kim. (2014).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Loneliness death in Korea, Spring Conference Document in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Social Work, 75-95.
  14. M. R. Byun. (2014). A Study on Policy for single person household in Seoul. Seoul Research Institute, 71-77.
  15. H. S. Cho, S. O. Jeong, J. S. Kim & J. S. Keown. (2009).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akji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