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린이집 원장의 남자교사 채용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포커스 집단 연구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on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Recognition and Improvement of Male Teacher's Employment

  • 투고 : 2018.10.30
  • 심사 : 2018.12.10
  • 발행 : 2018.12.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남자교사 채용에 관한 인식과 개선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현장에서 남자교사를 채용하였거나 실습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어린이집 원장 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포커스 집단 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였고 매회 2시간~2시간 30분 정도, 총 4회의 면담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해 본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남자교사 채용에 관한 인식은 (1) 다가올 어려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2) 보육현장 조직문화에서의 남자교사의 명과 암 등의 2가지 주제와 6개의 하위주제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가올 어려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주제에서는 '행정적인 불이익', '성과 관련된 사회적 분위기', '역할 수행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하위주제를 도출하고, 보육현장에서의 남자교사의 명과 암 주제에서는 '여성중심의 조직 문화와 적응', '보육현장의 비전', '보육현장에서의 남자교사의 역할' 등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보육현장에서 남자교사의 채용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해서는 보육현장으로 진입하기 위한 남자교사의 길의 주제가 도출되었는데, 이 주제에서는 '영유아 보육 경험 및 실습 기회 확대', '남자가 아닌 개인의 문제라는 인식으로의 전환', '남자로서의 장점 극대화', '시스템의 변화' 등의 4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무엇보다도 남자교사 채용을 위해서는 보육현장에서 교사 성불균형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aycare center director's awareness of male teacher recruitment and need for effective male teacher recruitment. Methods: To this end, eight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with male teach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study.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and a four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wo to two and a half hours. Results: After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major themes and six sub themes in awareness of male teacher recruitment by director of daycare center. The two major themes were (1) A vague fear of upcoming difficulties (2) The light and darkness of male teachers in the organization culture of childcare. Looking at the results, in a vague fear of upcoming difficulties theme includes administrative disadvantages, gender-related social atmosphere, and uncertainty about their role performance. Second, in the light and darkness theme includes women-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adaptation, the vision of child care sites, and the role of male teachers at childcare sites. Next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into one major theme and four sub themes in need for effective male teacher recruitment by director of daycare center. The major theme was a male teacher's way into the daycare site, and sub five themes were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hild care experience and practices, a shift in the perception that it's not a man, it's an individual problem, maximizing the strengths of men, and improving the system.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pecific implications of need for effective male teacher recruitment we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곽노의, 배정호(2012). 멘토링을 통한 초임 남자유아교사의 교직적응과정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6(2), 31-60.
  2. 김경숙, 지옥정(2017). 남자 유아교사의 어린이집 입사 결정 때부터 퇴사까지의 심리적 변화과정. 어린이미디어연구, 16(3), 153-179.
  3. 김대욱(2014). 유아교육과 남자 신입생이 인식하는 유아교사 이미지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8(2), 313-337.
  4. 김성재, 김후자, 이경자, 이선옥(2000).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 서울: 현문사.
  5. 김성현, 이승주(2018a). 교사가 지각한 교육기관 이탈 희망 유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23(4), 35-56.
  6. 김성현, 이승주(2018b).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 교사의 장애이해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2), 231-246.
  7. 김세웅, 이대균(2015). 유아교육기관의 여자교직원에게 비쳐진 남자교사의 모습.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419-452.
  8. 류왕효, 임정수(2005). 남성보육교사 선호에 대한 부모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1, 477-491.
  9. 문병환, 홍혜경(2011).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비교. 유아교육학논집, 15(2), 91-107.
  10. 배정호(2009).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백승훈, 노진형(2013). 남자유아교사의 "교사 되어가기" 에 대한 질적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1), 49-73.
  12. 서석원, 이대균(2012).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과 기쁨.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77-207.
  13. 성소영(2008). 유아교육에서의 성의 불균형: 남자교사의 부재. 사회과학연구, 27(1), 231-244.
  14. 원영미, 전지혜(2018).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1), 169-192.
  15. 이경민(2016).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한 유아기 행복의 구성요인과 측정방법 탐색. 유아교육연구, 36(1), 499-514.
  16. 이나미, 조경자(200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299-321.
  17. 이영선, 김래선, 조은희, 이현숙(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인식연구: 중.고생 이용자의 FGI 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1(1), 43-66.
  18. 이지희, 박윤조(2018). 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이 보육교사의 교사협동과 동료지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8(2), 103-115.
  19. 임명희(2014). 유아교육기관 평가체계의 통합화 방안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4(2), 83-102.
  20. 임명희, 박윤조, 김성현(2017).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7(4), 145-161.
  21. 임효선(2013). 유아교육기관 내 남자 유아교사 유무에 따른 유아의 성역할 발달 차이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우영, 김희영(2018). 유아 성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7(1), 107-131.
  23. 정재은, 김성현(2018).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8(1), 193-216.
  24. 조경자, 이현숙(2004). 유아교사가 되려는 남자 대학생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187-214.
  25. 조현정, 이병인(2015).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보육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2), 215-240.
  26. 주봉관, 김낙흥(2011). 남자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어려움과 교사양성기관의 지원방안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1), 485-508.
  27. 지성애, 김성현(2014). 유아의 행동문제와 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4(3), 197-219.
  28. 지옥정, 김경숙(2016). '그'가 아닌 '우리' 되기: 어린이집 원장의 초임남자교사 지원 전략. 유아교육연구, 36(5), 111-133.
  29. 채진영, 이강이(2009). 남자영유아교사 관련 경험 유무에 따른 어머니, 아버지, 여교사, 여원장의 남자영유아교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 유아교육학논집, 13(2), 37-57.
  30. 최연철(2003). 남자 유아 교사로 살아가기.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5-43.
  31. 최지훈, 임원신(2012).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아동학회지, 33(2), 165-183. https://doi.org/10.5723/KJCS.2012.33.2.165
  32. 한국교육개발원(2015. 08). 교육통계서비스. http://kess.kedi.re.kr/index에서 2018년 12월 3일 인출
  33. 한희경(2018). 남자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설계 및 유아교사로서 역할기대 이야기. 열린유아교육연구, 23(1), 111-136.
  34. Ashley, M., & Lee, J. (2003). Women teaching boys: Caring and working in the primary school. Stoke on Trent, UK: Trentham.
  35. Berge, B. (2004). Whatever happened to the male Gendered discourse and progressive education in Sweden 1945-2000. History of Education Review, 33(2), 15-29. https://doi.org/10.1108/08198691200400007
  36. Bullough Jr, R. V. (2015). Differences? Similarities? Male teacher, female teacher: An instrumental case study of teaching in a head start classroom.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7, 13-21. https://doi.org/10.1016/j.tate.2014.12.001
  37. Cameron, C., & Moss, P. (1998). Men as carers for young children: An introduction. In C. Owen, C. Cameron, & P. Moss (Eds.), Men as workers in services for young children: Issues of a mixed gender workforce (pp. 11-28).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38. Cameron, C., Moss, P., & Owen, C. (1999). Men in the nursery: Gender and caring work. London: Paul Chapman.
  39. Carrington, B., & Skelton, C. (2003). Re-thinking 'role models': Equal opportunities in teacher recruitment in England and Wales. Journal of Education Policy, 18(3), 253-265. https://doi.org/10.1080/02680930305573
  40. Cooney, M. H., & Bittner, M. T. (2001). M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ir emergent issue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2), 77-82. https://doi.org/10.1023/A:1012564610349
  41. Cushman, P. (2005). Let's hear it from the males: Issues facing male primary school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3), 227-240. https://doi.org/10.1016/j.tate.2005.01.012
  42. Cushman, P. (2007). The male teacher shortage: A synthesis of research and worldwide strategies for addressing the shortage.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4(1), 79-98.
  43. Cushman, P. (2010). Male primary school teachers: Helping or hindering a move to gender equit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5), 1211-1218. https://doi.org/10.1016/j.tate.2010.01.002
  44. Drudy, S. (2008). Gender balance/gender bias: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impact of feminisation. Gender and Education, 20(4), 309-323. https://doi.org/10.1080/09540250802190156
  45. Froese-Germain, B. (2006). Educating boys: Tempering rhetoric with research. McGill Journal of Educationl, 41(2), 145-154.
  46. Glesne, C. (2017) 질적연구자 되기(안혜준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2006년 원저 발간).
  47. Honig, M. I. (2008). District central offices as learning organizations: How sociocultural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ies elaborate district central office administrators' particip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mprovement effort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14(4), 627-664. https://doi.org/10.1086/589317
  48. Jensen, J. J. (1998). Men as workers in childcare services: A European perspective. In C. Owen, C. Cameron, & P. Moss (Eds.), Men as workers in services for young children: Issues of a mixed gender workforce (pp. 118-31).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49. Krueger, R. A., & Casey, M. A. (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50. Lyons, M. (2005). Gender, the labour market, the workplace and policy in children's services: Parents, staff and student attitudes.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0(1), 6-13. https://doi.org/10.1177/183693910503000103
  51. MacNaughton, G., & Newman, B. (2001). Masculinities and men in early childhood: Reconceptualising our theory and our practice. In E. Dau (Ed.), The anti-bias approach in early childhood, (pp. 145-157). Sydney, Australia: Longman.
  52. Martino, W., & Rezai-Rashti, G. M. (2010). Male teacher shortage: Black teachers' perspectives. Gender and Education, 22(3), 247-262. https://doi.org/10.1080/09540250903474582
  53. Miles, M. B., & Huberman, A. M. (1984). Drawing valid meaning from qualitative data: Toward a shared craft. Educational Researcher, 13(5), 20-30. https://doi.org/10.3102/0013189X013005020
  54. Mills, M., Martino W., & Lingard, B. (2004). Attracting, recruiting and retaining male teachers: Policy issues in the male teacher debat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5(3), 355-369. https://doi.org/10.1080/0142569042000216990
  55. Noddings, N. (1996). Stories and affect in teacher education.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26(3), 435-447. https://doi.org/10.1080/0305764960260311
  56. Robinson, B. E. (1988). Vanishing breed: Men in child care programs. Young Children, 43(6), 54-58.
  57. Sanders, K. (2002). Viewpoint "Man don't care?". Young Children, 57(6), 44-48.
  58. Sumsion, J. (2000). Negotiating otherness: A male early childhood educator's gender positio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8(2), 129-140. https://doi.org/10.1080/09669760050046174
  59. Sumsion, J. (2005).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sues and case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1), 109-123. https://doi.org/10.1016/j.ecresq.2005.01.001
  60. Thornton, M. E., & Bricheno, P. (2006). Missing men in education. UK: Trentham Books.
  61. Vandenbroeck, M., & Peeters, J. (2008). Gender and professionalism: A critical analysis of overt and covert curricula.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8(7-8), 703-715. https://doi.org/10.1080/03004430802352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