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n Welfare States Solve the Problem of Excessive Shadow Education?

복지국가는 사교육 과잉 문제를 풀 수 있나

  • 이신용 (경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1.05
  • Accepted : 2018.01.31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is research suggest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excessive shadow education in Korea as a way to compare the shadow education and income redistribution programs of advanced welfare states.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variety of measur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excessive shadow education for a long time. However, the trend of increasing shadow education costs has not stopped. The excessive use of shadow education is definitely related to university entrance. But university entrance is not the only concern. In our country, the meaning of univers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standard of future life. Therefore,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is a reasonable choice by parents or students to ensure a stable future. The belief that the future life can be stabilized when you go to a prestigious university and the reality in the labor market, which reflects this belief, is the essential cause of excessive shadow education. Advanced welfare states such as Sweden and Germany provide hope for our nation. There are shadow education in these countries, too. However, the importance is not so great and its roles are not necessarily directly related to college entrance exams. For the income redistribution programs guarantee the life of all members of society at a certain level.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excessive shadow education is not the admission system but the improvement of the income security system.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사교육 과잉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선진복지국가의 사교육과 소득재분배제도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정부는 오랜 시간 동안 사교육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들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사교육비 증가 추세는 멈추고 있지 않다. 사교육 과잉 현상은 분명히 대학 입시와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단순히 대학 입시 자체만 관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대학의 의미는 미래의 삶의 수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사교육 참여는 안정적인 미래를 보장하기 위한 학부모나 학생의 합리적 선택이다. 명문 대학교에 진학해야만 미래의 삶이 안정될 수 있다는 믿음과 실제로 이런 믿음을 반영한 노동시장의 현실이 사교육 과잉 현상의 본질적인 원인이다. 스웨덴과 독일 같은 선진 복지국가들이 우리나라에 희망을 제공한다. 이들 국가들에도 사교육은 존재한다. 하지만 그 비중이 크지 않고, 역할도 대학 입시와 반드시 직결되어 있지 않다. 소득 재분배 제도가 모든 사회 구성원의 삶을 일정 수준에서 보장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사교육 과잉 문제의 해결 방안은 입시 제도가 아니라 소득보장 제도의 개선에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 Dewey, 이홍우 역, 민주주의와 교육, 과학교육사: 서울, 2007.
  2. R. S. Peters, 이홍우.조영태 역, 윤리학과 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2003.
  3. 최상근, 김현진, 유균상, 류방란, 현주, 윤종혁, 나정, 양승실, 김양분, 류한구, 이희숙,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정책연구과제 2003-지정-19, 2003.
  4. 이정연, 경향점수매칭 방법에 의한 중학생의 사교육 효과 분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5. 통계청, "2016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결과," 보도 자료, 2017.3.14.
  6. 성낙일, 홍성우, "우리나라 사교육비 결정요인 및 경감대책에 대한 실증분석," 응용 경제, 제10권, 제3호, pp.183-212, 2008.
  7. 장윤옥, "학령기 어머니의 가계소득, 교육소비욕구 및 사교육비와 노후준비금 지출 간의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8권, 제3호, pp.135-157, 2014.
  8. 김혜숙, 한대동, 김희복, "학부모의 사교육 지원상에 한 근거이론 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65-91, 2017.
  9. 송성숙, 박수정, 윤지영, "다층모형을 이용한 사교육 참여요인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22권, 제4호, pp.109-134, 2016.
  10. 황성희, "중산층 학부모의 학교교육 인식과 사교육 선택," 학부모연구, 제2권, 제1호, pp.93-117, 년도삽입.
  11. 안선회,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정책주장의 실제적 타당성 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1권, 제6호, pp.39-69, 2015.
  12. 정석환, 배정혜, "한국 사교육의 존재방식," 동아 인문학, 제36권, pp.395-427, 2016.
  13. 이수정, "명문대 중심 대임관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계 분석: 사교육 원인에 대한 사회심리적 접근,"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pp.455-484, 2007.
  14. 이경선, "여성의 유치원.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유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464-473,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0.464
  15. 심우진, 신동일, "영어교육 열풍에 관한 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79-9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079
  16. 임걸, 정영식, "수능인터넷 강의 선호요인 사례 분석: 학업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477-491,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477
  17. 김용일, "한국 공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탐색," 한국사회정책, 제13권, 제1호, pp.49-73, 2006.
  18. 김경년, 김안나, "사교육, 교육만의 문제인가?: 복지국가의 위험 분담과 사교육 선택의 대응 원리," 교육사회학연구 제25권, 제1호, pp.29-50, 2015.
  19. Harry, K. Girvetz, "Welfare Stat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Vol.16, pp.512-521, 1968.
  20. Ritter Gerhard A., 복지국가의 기원, 전광석 역, 서울: 범문사, 2005.
  21. Alber, Jens, Vom Armenhaus zum Wohlfahrtstaat: Analysen zur Entwicklungen der Sozialversicherungen in Westeuropa, Frankfuhrt: Campus, 1984.
  22. Kaufmann, Franz-Xaver, Herausforderungen des Sozialstaates, Suhrkamp: Frankfuhrt am Main, 1997.
  23. Marshall, Class, Citizenship and Social Development, Santa Barbara: Praeger Frederick, 1964.
  24. Esping-Andersen, 복지 자본주주의의 세 가지세계, 박시종 역,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2007.
  25. Alber, Jens, Wohlfahrtstaat Sozialstaat, D. Nohlen (ed.), Kleines Lexikon der Politik, Munchen: Beck, 2001.
  26. 김경근, "한국 사회의 교육열과 과외수요 창출요인," 우천식(편): 사교육 효과, 수요 및 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4-17, pp.281-312, 2004.
  27. 우천식, "사교육비 문제의 이해: 접근방법과 주요 분석결과," 우천식(편): 사교육 효과, 수요 및 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4-17, pp.7-51, 2004.
  28. 한국경제연구원, 대학생 취업인식도 설문조사 보도자료, pp.1-6, 2017.10.20.
  29. 노민선, "기업 규모별 임금 격차: 국제 비교 및 시사점," 중소기업 포커스, 제17권, 제13호, pp.1-10, 2017.
  30. 한국직업능력개발연구원, "한국의 청년 채용시장I: 서류 전형 단계," KRIVET Issue Brief, 제112 호, pp.1-4, 2016.
  31. 오호영, "대졸자의 선망 지강 취업스텍과 정책과제," The HRD Review, 제67권, 제6호, pp.78-101, 2013.
  32. OECD, PISA2012 Results: What Makes Schools Success-Resources, Policies and Practices Volume IV, 2014.
  33. Koninzer, Thomas, "supplementary education in Germany: History and Present developments," in: Out of Shadows-the Global Intensification of Supplementary Education. Published Onlime, 2014.8.20., pp.209-220, 2014. https://doi.org/10.1108/S1479-3679(2013)0000022010.
  34. http://stats.oecd.org/index.aspx?queryid=66670# 2017.12.5.
  35. 김낙년, 김종일, "한국의 소득분배 지표의 재검토," 한국경제의 분석, 제19권, 제2호, pp.1-50, 2013.
  36.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6: OECD Indicators, 2016.